소개글
"은도금 화학 실험 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실험 목적
1.2. 전기 도금이 사용되는 분야
1.3. 전기 도금 원리
1.4. 실제 전기 도금 공정에서의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 역할
2. 실험 방법
2.1. 실험기구 및 시료
2.2. 실험과정
2.3. 주의사항
3. 결과 및 고찰
3.1. 결과
3.2. 고찰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실험 목적
SEM, 산화환원 반응, 패러데이의 법칙, 탈지세척 등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이 이론을 바탕으로 전해질 용액을 전기 분해 하면 각각의 전극에서 어떠한 물질이 석출되는지 알아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이다. 이를 이용하여 금속을 도금해보며, 반응을 살펴보고, 도금된 금속의 무게를 측정하고, 도금된 금속의 경계면을 관찰하고자 한다.
1.2. 전기 도금이 사용되는 분야
전기 도금은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기술로, 처음에는 주로 장식적인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하지만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그 용도가 크게 확장되었다.
오늘날 전기 도금은 자동차 내/외장 부품, 각종 롤 부품, 악세서리, 선박, 반도체/전자/통신부품용 배선 회로,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부품 등 일반 부품부터 정밀 부품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금, 은, 구리, 니켈, 크롬, 아연 등 다양한 종류의 금속을 도금하는데 사용되며, 표면 보호, 장식성, 내식성, 내마모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도금 기술은 전자 산업, 야금, 전기 화학 등 많은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3. 전기 도금 원리
전기 도금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전기 도금은 전해 분리 원리를 이용하여 제품 표면에 금속의 얇은 피막을 입히는 코팅 방법이다. 도금하려는 금속을 음극(cathode)에 연결하고 표면에 피막이 되는 금속을 양극(anode)에 연결한다. 이렇게 두 금속을 전해질 용액에 담그고 전기를 가하면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자가 이동하게 된다. 양극에서는 금속이 전자를 잃으면서 산화되어 금속 이온이 되고, 음극에서는 도금하려는 대상에 금속 이온이 전자와 만나 환원되어 도금이 된다.
이때 전기 도금이 진행될수록 양극의 금속은 이온화되어 전해질 용액에 녹아들기 때문에 무게가 줄어들게 되고, 음극에 도금되는 금속의 무게는 점점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전기 화학적 반응에 따라 제품 표면에 금속 피막이 형성된다.
전기 도금을 할 때에는 전류, 적당한 전해질 용액, 온도, pH, 첨가제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진행해야 한다. 전류가 작을 때는 결정이 서서히 커지면서 나사형으로 자라지만, 전류가 크면 불규칙한 결정이 성장하여 원하는 도금 효과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적절한 도금 조건 설정이 중요하다.
1.4. 실제 전기 도금 공정에서의 프로세스 및 프로세스 역할
실제 전기 도금 공정에서는 탈수->연마->탈지->산세->수세->전기 도금->수세->후처리(크로메이트)->수세->탈수->건조의 프로세스로...
참고 자료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교재
pubchem
이광훈, “다목적 소형 주사전자현미경 개발”, 학위논문, (2018)
백운기, 2012, “전기화학: 계면과 전극과정의 과학:기술”, 청문각, 273-288p
정철수, 2006, “전자이동의 화학: 전기화학입문”, 아진, 246-248p
Serway, 2010, "일반물리학", 북스힐
www.claimcare.co.kr / 일반상식 / 페러데이상수
세화편집부, 2001, “화학대사전 9”, 세화, p550
비상교육, 2015, “화학1”, 류해일 외 7인, p.190-200
Wikipedia- 금속의 반응성
J. G. R. Briggs, Science in Focus, Chemistry for GCE 'O' Level, Pearson Education, p.172
Wiliam L. Masterton, 마스터 톤의 일반화학, 사이플러스, p.123
우태규, 이만형, 박은광, 배태성, 이민호, 박일송, 정광희, 설경원. "전해액온도에의한구리박막의표면형상과물성변화." 대한금속재료학회지, 47.4 (2009): 256-260.
티스토리, “전기 도금 공정”. https://catcom.tistory.com/199, 2020.02.13.
표면처리세계, 도금기술사전, ”도금 효율 계산“,http://plating.kr/know/39386, 2008.07.30.
표면처리세계, 도금기술사전,“ 도금 두께 계산”,http://plating.kr/diction/47376, 2014.06.19.
윤지숙. "도금 조건에 따른 구리 도금층 미세조직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부산
Park, Da Jung, Park, Chae-Min, Kang, Namhyun, & Lee, Kyu Hwan. (2016). 도금전해액의 종류에 따른 수지상 구리 분말의 형상 및 표면적 특성. 한국표면공학회지, 49(5), 416–422. https://doi.org/10.5695/JKISE.2016.49.5.416
kyoung Wook Shin, Study on thickness uniformity use for induction system in electroplating, p19,40,49,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