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식생활과 건강
1.1. 식생활의 현대적 변화
1.1.1. 현대인의 식생활
현대인의 식생활은 산업화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해왔다. 과거에 비해 식품 공급이 풍족해지고 서구식 식생활이 자리 잡게 되었다. 특히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의 섭취가 늘어나면서 열량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등의 과잉섭취가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비타민, 무기질 등의 대사 영양소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영양불균형으로 인해 현대인들은 소위 "현대판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외식이 증가하면서 음식의 영양 균형을 잡기 힘들어졌고, 편식과 폭식의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과 성인병 등의 문제가 새로운 사회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한편 영양에 대한 잘못된 인식도 여전히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전통적인 금기 식품에 대한 선입견이 남아있으며, 보식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부정확한 정보가 오히려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처럼 현대인의 식생활은 영양 불균형, 편식, 외식 증가, 잘못된 영양 인식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식습관, 그리고 식품과 영양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1.1.2. 한국인의 영양문제
우리나라의 영양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일부 영양소의 부족이 문제이다. 국민 영양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 영양 권장량에 대한 영양소 섭취비율 중 비타민A, 칼슘이 부족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영양과잉과 영양부족 계층의 공존이 문제이다. 영양과잉과 영양부족의 계층 간 격차 분포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낙후지역에서는 영양결핍으로 인한 만성적 영양불량, 체중부족, 발육부진 등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어린이와 청소년의 식습관 변화가 문제가 되고 있다. 동물성 지방 과다 섭취에 따른 고칼로리의 식사로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 이로 인해 어린이 비만과 성인병 등에 쉽게 노출되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넷째, 외식의 증가이다. 현재 한국인의 소득수준에 비해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 식생활에서 과소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이는 결국 영양과잉, 영양불균형, 편식위주의 식사를 유도하게 되어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영양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문제이다. 우리나라에는 옛날부터 내려오는 금기 식품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어 영양부족을 가져오는 경우가 있으며, 보식에 대한 집착이 높은데, 부정확한 식품이 과장·왜곡되어 부작용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1.2. 주요 기호식품과 건강
1.2.1. 차의 종류와 성분
차(Tea)의 종류와 성분은 다음과 같다. 차는 발효 정도에 따라 크게 녹차, 우롱차, 홍차로 구분된다. 녹차는 발효하지 않은 비발효차로, 탄닌의 쓰고 떫은맛과 카페인의 온화한 쓴맛, 아미노산의 감칠맛과 당의 단맛이 독특한 막과 향을 낸다. 녹차에는 감기와 독감을 예방하고 니코틴과 중금속을 배출하며 체내의 지방을 분해하는 등의 효능이 있다. 우롱차는 차의 싹을 잠시 발효시킨 후 곧 볶아서 건조한 반발효차로 대만에서 많이 생산된다. 홍차는 발효차로, 생잎을 실내에서 장시간 동안 효소활성을 충분하게 작용시켜 차 잎 속의 각종 산화요소의 작용에 의해 카테킨류를 중화, 중합시켜 특유의 적등색을 만들고 발효작용으로 새로운 향기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홍차의 효능으로는 노화방지, 충치예방, 항암작용과 면역력증가 등이 있다. 따라서 차의 종류에 따라 고유의 맛과 향, 그리고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2. 커피의 성분과 질병
커피의 성분과 질병은 다음과 같다.
커피 원두에는 수분, 회분, 지방, 조섬유, 조당분, 조단백, 카페인 등이 들어 있다. 각 성분의 비율은 품종과 재배하는 곳의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조당분이 가장 많은 30%를 차지한다. 조당분은 열을 가하면 캐러멜로 변해 커피색이 된다. 지방은 커피의 향과 가장 깊은 관계가 있는 성분으로 12~16%가 들어 있다. 카페인과 카페인은 약 1.3%가 들어 있는데, 이것은 커피 맛을 좌우하며 흥분 작용을 일으킨다. 커피의 독특한 쓴맛은 카페타닌산 때문이며 3~5%가 들어 있다. 커피 한 잔에는 약 40~108mg의 카페인이 들어있는데 보통 2~3잔의 커피는 신체에 큰 영향을 끼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