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스포츠 스태킹 개요
1.1. 스포츠 스태킹의 정의 및 역사
스포츠 스태킹은 12개의 스피스스택스 컵을 빠르게 쌓고 내리는 스포츠로, '손으로 하는 육상경기'라고도 불린다. 1980년대 초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되었으며 초기에는 어린이들이 하는 놀이에 불과했다. 1990년 미국 NBC의 유명 토크쇼인 투나잇 쇼에서 소개된 후 미국 전역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밥 팍스가 투나잇쇼에서 스포츠스태킹을 처음 접하고 이를 교육활동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면서 스포츠스태킹이 본격적으로 미국 전역에 퍼져나갔다. 2007년에는 전 세계 2만여 개의 학교에서 정규 체육 수업 시간에 이를 활용하게 되었고, 2010년대 들어서는 4만여 개 학교로 그 수가 증가했다.
1.2. 스포츠 스태킹의 종목과 규칙
스포츠 스태킹에는 총 여섯 가지 세부 종목이 있다. 먼저 3-3-3 스태킹은 9개의 컵을 사용해 3개의 컵으로 이루어진 스태킹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3번 쌓고 내리는 경기이다. 3-6-3 스태킹은 12개의 컵을 사용해 왼쪽 3개, 가운데 6개, 오른쪽 3개의 컵으로 이루어진 스태킹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쌓고 내린다.
사이클(Cycle) 스태킹은 3-6-3 스태킹, 6-6 스태킹, 1-10-1 스태킹이 순서대로 결합된 스태킹 경기로 3-6-3 스태킹을 반드시 다운 스태킹한 상태로 경기를 끝내야 한다. 더블(Doubles) 스태킹은 2명이 한 팀이 되어 빠르게 사이클 스태킹을 수행하는 경기로 한 명은 오른손만, 다른 한 명은 왼손만 사용해야 한다.
팀 3-6-3 시간 릴레이(3-6-3 Team Timed Relay) 스태킹은 4명이 한 팀이 되어 한 명씩 차례대로 3-6-3 스태킹을 수행하는 경기이다. 팀 대항 릴레이(Head-to-Head Relay) 스태킹은 4명으로 한 팀이 되어 한 명씩 차례대로 사이클 스태킹을 수행하는 경기로 페널티가 더 적은 팀이 승리한다.
이처럼 스포츠 스태킹에는 다양한 종목이 있으며, 각 종목마다 고유한 규칙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3-3-3 스태킹과 3-6-3 스태킹의 경우 업스태킹과 다운스태킹 순서, 손의 사용 방법 등이 다르다. 또한 사이클 스태킹에서는 3-6-3 스태킹을 반드시 다운스태킹한 상태로 경기를 끝내야 한다는 규칙이 있다. 더블 스태킹의 경우 오른손과 왼손을 각각 다른 선수가 사용해야 한다는 특별 규칙이 존재한다. 이처럼 스포츠 스태킹의 각 종목마다 공통적으로 지켜야 할 기본 규칙과 함께 해당 종목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규칙들이 있다.
1.3. 스포츠 스태킹 장비 및 기록
스포츠 스태킹에 사용되는 장비는 WSSA(World Sport Stacking Association)에서 공인한 스피드스택스(Speed Stacks) 제품이다. 스피드스택스는 경기에 사용되는 스태킹 컵으로, 12개의 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컵들은 경기 시 3-3-3, 3-6-3, 1-10-1 등의 패턴으로 쌓고 내리는 데 사용된다.
스피드스택스 컵은 일반 종이컵과는 달리 독특한 디자인과 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컵의 소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며, 낮은 마찰계수와 내구성이 특징이다. 또한 컵 사이에 배치된 단(step)으로 인해 원활한 스태킹이 가능하다. 컵의 색상은 다양한데, 경기에는 투명한 색상의 컵이 주로 사용된다.
스포츠 스태킹 경기에서는 정확한 시간 측정을 위해 WSSA에서 공인한 스택매트(Stack Mat)를 사용한다. 스택매트는 전자식 타이머가 내장된 플랫폼으로, 스태커가 양손을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시간 측정이 시작된다. 스태커가 양손을 떼면 시간 측정이 종료된다. 이를 통해 1/100초 단위로 매우 정밀한 기록 측정이 가능하다.
스포츠 스태킹의 기록은 개인전, 더블, 릴레이전 등 다양한 경기 방식으로 인증된다. 개인전의 경우 3-3-3, 3-6-3, 사이클 스택 등의 종목별 기록과 종합 기록이 공인된다. 더블 경기에서는 2인 1조로 사이클 스택을 수행하는 팀의 기록이 인증된다. 릴레이 경기에서는 4인 1조로 3-6-3 스택을 순서대로 진행하는 팀의 기록이 공인된다.
WSSA는 전 세계 각국의 스포츠 스태킹 기록을 공인하고 관리하고 있다. 개인전과 더블, 릴레이 등 각 경기 종목별로 세계 최고 기록과 국가별, 지역별 기록을 공개하고 있다. 또한 연령별, 성별 구분에 따른 기록 관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스포츠 스태킹은 전문적인 경기 장비와 정밀한 기록 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스태커들의 정확하고 빠른 기술 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며, 스포츠 스태킹 대회의 공정성과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2. 스포츠 스태킹의 국내·외 현황
2.1. 스포츠 스태킹의 국내 보급 현황
국내에 스포츠 스태킹이 보급되기 시작한 시기는 2000년대로, 미국의 "스포츠 스태킹 전도사" 밥 팍스(Bob Fox)의 노력을 통해 점차 알려지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어린이들이 즐기는 놀이 수준이었지만, 2007년 여름 전 세계 20,000개의 학교에서 정규 체육 교과 수업으로 활용하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전 세계 32,000개 이상의 학교에서 스포츠 스태킹을 체육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천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참여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3년 스포츠 스태킹이 가장 활성화된 나라로 선정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더욱 빠르게 보급되었다. 대한스포츠스태킹협회(KSSA)가 2011년에 설립되어 국내 스포츠 스태킹 대회를 주관하고 있으며, 국내 기록 관리와 공인 절차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전국 각지의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스포츠 스태킹 수업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전국 스포츠 스태킹 대회를 개최하여 대회 참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