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도역량 관점에서 효과적인 축구지도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체육학 분야의 효과적인 운동부 지도 방안
1.1. 체육 영재(스포츠 영재)의 개념과 특성
1.2. 축구 영재 선발 전략
1.3. 축구 영재 훈련 전략
1.4. 스포츠 윤리 교육의 필요성과 지도 방안
1.5. 유도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과 운동몰입의 관계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육학 분야의 효과적인 운동부 지도 방안
1.1. 체육 영재(스포츠 영재)의 개념과 특성
스포츠 영재는 단순히 신체 능력과 기능이 뛰어난 아이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피지컬이 우수하고 신체적 수행 능력이 뛰어날 뿐 아니라 지능, 창의성, 과제 집착성 등이 충족되는 아이를 영재라고 이야기한다. 과거에는 스포츠영재를 엘리트 운동 선수와 동의어로 이해했으나, 모든 엘리트 운동 선수가 스포츠영재라고 이해할 필요는 없다. 어린 나이에 다른 선수들에 비해 두각을 드러내서 영재라고 부를 만한 아이들은 대체로 피지컬이 뛰어나거나 기능 구사 능력이 뛰어난 아이들이다. 그런데 성인이 되어서도 뛰어난 기량을 보이는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판단 능력, 창의성, 공간지각 능력 같은 인지적 영역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우리나라의 스포츠 영재 발굴 및 훈련 전략은 단기적이고 근시안적인 관점에서 당장 보이는 선수의 피지컬이나 운동 수행 능력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런데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스포츠 영재의 발굴은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특히 '경기 운영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이것을 기를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지를 유심히 살펴보아야 한다.
1.2. 축구 영재 선발 전략
영재는 희소한 존재이다. 모든 클럽 내지 구단에 영재가 포함되어 있을 수는 없다. 그렇지만 영재를 발굴하고 이들의 능력을 향상시켜서 이들이 장차 훌륭한 선수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은 지도자로서 매우 큰 기쁨이자 즐거움일 것이다. 그런데 그들에게 타고난 재능이 있더라도 이것이 발굴되고 강화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결국 영재를 발굴하고 이들을 훌륭한 선수로 길러내는 것은 지도자의 역량과 안목이다.
지도자는 영재를 발굴할 때 다음과 같은 7가지의 요건을 따져 보아야 한다. 첫째, 이미 습득한 지식이나 운동능력이 얼마인지보다는 습득한 것을 얼마나 적극적이고 창의적으로 활용하느냐를 중심으로 선수를 평가해야 한다. 둘째, 습득 능력이 얼마나 빠르냐에 중점을 두어 평가해야 한다. 셋째, 영재를 선별하는 단계는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방법과 준거를 활용한다. 다섯째, 지도자는 선수의 수행 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평가해야 한다...
참고 자료
김형태.2007.7.4.FIFA ‘전세계 인구의 4%는 축구인’.조선일보
김홍식.2007.한국 스포츠영재 개념 정립 및 판별 방법 연구.교육인적자원부
김성중.2015.4.23. 축구영재 육성 프로그램 본궤도.전북일보
안홍석.2023.6.13. 김은중호 U-20 월드컵 4강 자양분 된 축구협회 ‘골든에이지’
대한 체력 코치 협회(http://kcakorea.co.kr/home)
고교 역도선수들의 경기력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김동현, 2009
스포츠윤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 김소은, 2016
박일용. "남자 고등학교 유도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2009.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1810010
정운용. "유도지도자 지도유형이 선수만족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3564718
이승수. "중·고등학교 유도선수의 지도자 신뢰와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2018.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4936402
김진아. "유도지도자의 리더십, 신뢰와 운동 몰입과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경기도
http://www.riss.kr/link?id=T13477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