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대학생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전공만족도와 학업 스트레스 과 정체감 확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전공 만족도
2.1. 학업 스트레스
2.2. 전공 만족도
3. 연구 방법
3.1. 연구 설계
3.2. 연구 대상
3.3. 연구 도구
3.4. 자료수집 방법
3.5. 자료 분석 방법
4. 기대되는 결과
5.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 자아존중감, 실습만족도와 직업정체감
5.1. 연구 설계
5.2. 연구 대상
5.3. 연구 도구
5.4. 자료수집
5.5. 윤리적 고려
5.6. 자료 분석
6. 간호대학생의 현실충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6.1. 연구설계
6.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6.3. 연구도구
6.3.1. 임상실습에서의 현실충격
6.3.2. 스트레스 대처방식
6.3.3. 진로정체감
6.4. 자료분석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간호대학생은 다른 학과 학생들에 비해 빡빡한 교과과정, 방대한 학습량, 엄격한 행동 규범, 간호사 면허를 취득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감과 압박감이 있다. 이때 학생들은 학교 수업과 병행되는 다양한 임상 실습환경과 환자간호에 대한 전문성 요구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특히 간호대학생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 중 학업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환경과 이를 비롯한 바쁜 학사일정으로 스트레스가 과도하며, 대학 생활 동안 취득해야 할 많은 학점, 다양한 전공 지식 습득, 낯선 실습 환경에서의 적응과 학습목표 달성 등으로 학업 스트레스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학업 스트레스, 전공 만족도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전공 만족도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전공 만족도
2.1. 학업 스트레스
간호대학생은 다른 학과 학생들에 비해 빡빡한 교과과정, 방대한 학습량, 엄격한 행동 규범, 간호사 면허를 취득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감과 압박감이 있다. 이때 학생들은 학교 수업과 병행되는 다양한 임상 실습환경과 환자간호에 대한 전문성 요구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특히 간호대학생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 중 학업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환경과 이를 비롯한 바쁜 학사일정으로 스트레스가 과도하며, 대학 생활 동안 취득해야 할 많은 학점, 다양한 전공 지식 습득, 낯선 실습 환경에서의 적응과 학습목표 달성 등으로 학업 스트레스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보면 학업 스트레스로 학업 문제와 학업성취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대와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로서, 전공에 만족도가 높은 사람은 자신의 진로를 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더 노력함을 의미한다.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은 대학생은 학업에 대하여 더 흥미를 갖는다.
과다한 스트레스는 학업에 대한 포기와 우울로 이어질 수 있으며, 대학생의 자살과 우울유발 위험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초기에 스트레스나 우울을 잘 평가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은 이후에 나타나는 문제들을 감소시키고 학교생활 촉진의 중요한 자원이기도 하다.
2.2. 전공 만족도
전공 만족도는 간호대학생이 자신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전공하는 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이다.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는 간호 전문직관의 올바른 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공 만족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최근 사회의 취업난이 가중되면서 전공 선택 시 취업률이 우수한 전공을 우선시하는 분위기로 간호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는데, 간호대학생들은 취업 후 간호사의 직무수행의 바탕이 되는 이론과 간호 핵심술을 익히고 실제로 임상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실습에 임해야 한다는 점에서 타 학과에 비해 과중한 학업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와 실습, 그리고 불만족에 대해 고찰해볼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 중에는 자신의 적성과 선호를 고려하기보다 취업 가능성이 높다는 기대로 입학하거나, 본인 의견보다 부모의 권유로 간호학 전공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간호학전공은 다른 학과에 비하여 학업과정이 어렵고 실습까지 병행해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중도에 매우 힘들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공 만족도가 낮아질 경우 재학 중 전공을 포기하거나 졸업 후 임상현장에 적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높을 때 간호직에 대한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교육과정의 수정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므로 전공교육과정에 몰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은 중요한 교육방법이지만, 실습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해 전공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처럼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자신의 적성이나 흥미가 아닌 취업률과 성적에 따라 전공을 선택한 경우 전공 만족도는 낮아질 수 있으며, 이는 자퇴나 전공 변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면 현재 소속된 전공학과에 대한 자신의 이상이나 진로, 직업에 대한 기준과 합치한다면 전공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중한 전공 공부량과 임상실습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이 학업 과정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 대한 자아존중감, 감정노동, 실습만족도, 직업정체감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간호 대학생의 직업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3.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
참고 자료
민소영(2006),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5(4), 409-419
신미경, 이혜련, 원종순(2013),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4), 419-428
안혜경(200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6), 2249-2263.
송영숙(2012).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질.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8(1), 71-80.
차남현.(2013).간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통제위.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177-185.
Nurse Education Today Volume 22, Issue 3, April 2002, Pages 203-211.
송영숙(2013).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2), 965-974.
장문영(2005).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귀인성향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봉회・김영미・전인경(2011), “간호대학생의 직업존중감, 직업관, 전공만족도 연구”, 한국 산업간호학회지, 20(3): 240-249, .
유계숙, 신동우(2013). 대학생의 학업, 취업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업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 및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4(6), 3849-3869.
김계현, 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學科)(학부(學部))만족(滿足)의 要因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신승호, 이정원, 김창태(2020).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전공 몰입에 미치는 영향.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7), 136-145.
박병기, 박선미 (2012)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 563-585.
서명자 (2020).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국내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충청남도
윤순영, 김민숙 (2014).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및 간호윤리 가치관 관련성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2), 363-372
최현주 (2017).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68-77
강경숙, 고영숙 (2016).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의료커뮤니케이션, 11(2), 179-189
박인숙, 한용준 (2017). 간호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정체감, 스트레스 대처와 전공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7(1), 145-167
양경미 (2017).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5(12), 445-453
신승옥 (2017).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실습교과목 만족도 및 전공만족도와의 융합적 관계. 융합정보논문지, 7(6), 19-24
박현정, 오재우 (201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417-426
차주애 (201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과의 관련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은진, 공정현 (2017).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진로성숙태도,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인문사회21, 8(3), 245-259
남문희, 이미련 (2014). 간호대학생의 건강행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가 주관적 행복지수에 미치는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2(10), 363-374
박슬기, 이희승 (2016).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2(1), 219-235
최현주 (2017).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6), 68-77
양승경, 정미라 (2016). 간호대학생의 학업소진,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613-629
송효숙, 임소희 (2017).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21-36
손영주, 송영아 and 최은영. (2010).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스트레스 硏究, 18(4), 345-351.
차남현 ( Nam Hyun Cha ). "간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건강통제위."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2013): 177-185.
신소홍. (2014). 간호대학생들의 부모 성취압력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분화의 조절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11), 6756-6766.
박재연,and 김정기.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자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1 (2014): 167-189.
남문희, 이미련. (2016).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 자아존중감, 실습만족도가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2(4), 2016년 11월, 527-536
은영 외 6명, 제 7판 간호연구개론, 현문사, 2022
윤희장. "신규간호사의 현실충격 측정도구 개발." 국내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인천
남숙향.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와 대처방식."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대구
이혜경(2003).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응 방법에 관한 연구”.정신간호학회지, 12(4), 586-93.
김은주. "간호대학생의 태움 인지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2020. 대구
이순희와 차은정(2017).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언어폭력, 성폭력 및 우울, 자아존중감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7(4), 550-560. doi:10.5392/JKCA.2017.17.04.550
오재우, 허보윤과 김미란(2019).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간호사의 근무환경, 감정노동, 업무스트레스가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0(4), 59-74. doi:10.22143/HSS21.1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