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오마하체계 소개
1.1. 오마하체계의 구성요소
오마하체계는 문제분류틀, 중재틀, 결과에 대한 문제등급 척도의 3가지 주요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연계성이 있고 신뢰도, 타당도가 인정된 시스템이다. 오마하체계의 3가지 구성요소는 대상자의 간호요구와 강점을 기록하고, 다학제적 현장의 실무자들이 공통된 용어로 사용하며, 대상자의 간호결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포괄적인 접근방법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첫째, 문제분류틀은 영역, 영역별 문제(진단), 문제별 수정인자, 증상·징후 4가지 수준으로 구성되어 대상자 문제 진단 시 활용된다. 문제분류틀은 대상자의 건강관련 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해 고안된 포괄적이고 순서적이며 상호배타적인 분류법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건강 실무자의 우선순위 영역과 대상자의 건강 관련 문제를 나타낸다.
둘째, 중재틀은 간호사가 제공하는 간호활동 목록으로, 실무자의 행위와 활동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괄적이고 순서적이며 상호배타적인 분류이다. 중재틀은 대상자에 따른 4가지 범주의 중재 활동(교육 안내 상담, 치료 및 절차, 사례관리, 감시)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결과에 대한 문제등급척도는 대상자의 지식, 행위, 상태를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여 서비스 전 과정을 통한 대상자의 발전과정을 평가한다. 이를 통해 특정 문제나 간호진단과 관련된 대상자의 경과를 측정할 수 있다.
1.2. 문제분류틀
문제분류틀은 오마하체계의 3가지 주요 요소 중 하나로, 대상자의 건강 관련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고안된 포괄적이고 순서적이며 상호배타적인 분류법이다. 문제분류틀은 4가지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수준은 영역으로, 지역사회 건강 실무자의 우선순위 영역과 대상자의 건강 관련 문제를 나타낸다. 환경, 심리사회, 생리, 및 건강관련행위 등 4개의 영역으로 분류된다.
환경 영역은 대상자, 가정, 이웃 및 광범위한 지역사회의 물질적 자원과 물리적 환경을 말하며, 대상자의 건강상태, 건강행위, 생활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를 포함한다.
심리사회 영역은 행위, 감정, 의사소통, 관계, 발달의 양상을 말하며 개인, 가족, 지역사회 간 관계를 나타내는 문제를 포함한다.
생리 영역은 생활을 유지하는 기능과 과정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가족보다는 개인의 신체건강 상태에 초점을 둔 문제를 포함한다.
건강 관련 행위 영역은 안녕상태의 유지·증진, 회복 향상, 질환의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포함한다.
두 번째 수준은 영역별 문제로, 현재나 미래에 개인이나 가족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총 44가지 대상자 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세 번째 수준은 문제별 수정인자로, 대상자와 문제의 심각도를 규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상자는 개인, 가족, 지역사회로 구분하고, 심각도는 건강증진, 실제적 결핍 또는 손상, 잠재적 결핍 또는 손상으로 구분한다.
네 번째 수준은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증상과 징후이다. 증상은 대상자나 가족, 친지 등에 의해 보고된 대상자 문제의 주관적 증거이고, 징후는 지역사회 간호사나 기타 건강관리제공자에 의해 관찰되는 대상자 문제의 객관적 증거이다.
1.3. 중재틀
중재틀은 간호사가 서비스를 하는 간호활동 목록이다. 실무자의 행위와 활동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포괄적이고 순서적이고 상호배타적인 분류로서, 세 가지 수준의 전문적인 활동 또는 행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수준은 중재의 4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교육 안내 상담, 치료 및 절차, 사례관리, 감시이다. 교육 안내 상담은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활동과 자가간호 및 대응에 필요한 행동과 책임을 격려하고,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을 돕기 위해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