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전치태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전치태반의 정의와 특징
1.2.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대상 및 방법
2. 본론
2.1. 전치태반의 종류
2.1.1. 완전 전치태반
2.1.2. 부분 전치태반
2.1.3. 변연 전치태반
2.1.4. 하위태반
2.2. 전치태반의 원인
2.2.1. 임신 초기 착상 이상
2.2.2. 제왕절개술 및 자궁 수술 과거력
2.2.3. 다산부 및 다태임신
2.2.4. 자궁 내막 손상
2.3. 전치태반의 임상적 특징
2.3.1. 무통성 질 출혈
2.3.2. 자궁 및 태아 상태 변화
2.4. 전치태반의 진단
2.4.1. 초음파 검사
2.4.2. 질 검진
2.5. 전치태반이 미치는 영향
2.5.1. 모성 합병증
2.5.2. 태아 합병증
2.6. 전치태반의 치료
2.6.1. 보존적 치료
2.6.2. 제왕절개술
2.6.3. 질식 분만
2.7. 전치태반 환자의 간호중재
3. 결론
3.1. 요약
3.2. 시사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전치태반의 정의와 특징
정상 태반은 90% 정도가 자궁 상부에 부착되지만, 전치태반(placenta previa)은 자궁 하부에 부착되어 자궁목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이다. 전치태반은 흔히 임신 후반기(7개월 이후)에 발생하며, 출산의 약 0.5%에서 나타난다.
태반의 자궁 하부에서의 위치와 자궁 내부를 덮은 정도에 따라 완전 전치태반, 부분 전치태반, 변연 전치태반, 하위태반으로 분류된다. 완전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내구를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이고, 부분 전치태반은 자궁내구를 부분적으로 덮은 상태이다. 변연 전치태반은 태반의 가장자리만 자궁내구에 접해 있는 상태이며, 하위태반은 태반이 자궁 하부에 착상되어 있으나 자궁내구까지 도달하지 않은 상태이다. 전치태반은 또한 minor와 major 등급으로 분류되며, 세부적으로 I, II, III, IV형으로 나뉜다. 약 50%가 minor 등급이며, 나머지 50%는 major 등급이다.
1.2. 연구의 필요성
전치태반의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치태반은 임신 3기 출혈의 주요한 원인이기 때문이다. 전치태반은 자궁하부에 부착되어 자궁경부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로, 흔히 임신 후반기(7개월 이후)에 발생한다. 이로 인해 무통성 질 출혈이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산모와 태아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치태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전치태반의 위험요인 증가로 인해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우리나라 여성의 초산나이는 평균 31.5세이고, 전체 산모 중 74%가 3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 산모의 증가는 전치태반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또한 과거 제왕절개술 경험, 자궁 내막 손상 등 전치태반의 주요 위험요인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치태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예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전치태반으로 인한 산모와 태아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전치태반은 조산, 저체중아 출산, 자궁내 저산소증, 선천성 기형 등의 태아 합병증과 산전·산후출혈, 자궁절제술 등의 모성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치태반의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종합하면, 전치태반의 발생 위험 증가와 심각한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 연구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21년 9월 27일 임신 37+0주의 산모로, 2021년 10월 6일 제왕절개술이 예정된 산모이다. 해당 산모는 전방 완전전치태반(P.P totalis anterior) 소견이 있어 전치태반으로 주 진단을 받고 수술 전 입원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관찰, 면담, 환자 차트 기록, EMR, 간호수행과정 중 경험과 관찰, 간호사 선생님과의 대화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과정을 거쳐 간호진단을 내리고 이에 맞는 적절한 간호목표를 세워 간호를 수행하였다."
2. 본론
2.1. 전치태반의 종류
2.1.1. 완전 전치태반
완전 전치태반(total placenta previa)은 태반이 자궁 내구를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태반의 자궁 하부에의 위치와 자궁 내부를 전체적으로 덮고 있는 정도에 따라 분류된 전치태반의 한 유형이다."
완전 전치태반의 경우, 태반이 자궁 내구를 완전히 덮고 있어 분만 시 자궁 경부의 완전 개대를 방해하게 된다. 이로 인해 모체에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태아에게도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산소결핍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완전 전치태반이 진단된 경우, 조기 발견과 신속한 제왕절개술이 필수적이다."
완전 전치태반은 전치태반 중 가장 위험한 유형에 해당한다. 태반의 위치가 자궁 하부에 고정되어 있어 자궁 경부의 개대를 막아 심각한 모성 출혈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태아에게도 산소 공급이 불충분해져 주산기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완전 전치태반이 진단된 경우, 임신 37주 이후 신속한 제왕절개술을 통해 분만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치료 방법이다."
2.1.2. 부분 전치태반
부분 전치태반(partial placenta previa)은 자궁내구를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이다. 태반이 가장자리만이 자궁내구에 접해 있고 분만 중 자궁목 개대 시 자궁내구를 덮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부분 전치태반의 경우, 자궁내구를 부분적으로 덮고 있기 때문에 완전 전치태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출혈 위험이 낮다. 하지만 자궁목이 개대됨에 따라 자궁내구를 덮게 되어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분만 시 자궁목이 완전히 개대되면 출혈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부분 전치태반의 경우 제왕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참고 자료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 편찬위원회, 『산과학(제3판)』, 칼빈서적, 1997.
최정자, 박만룡 저, 『산과 및 부인과간호학』, 수문사.
김계숙, 김영희 외 7명 저, 『여성건강간호와 비판적 사고』, 군자출판사, 2015.
유은광, 강남미 외 3명 저, 『모성·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08.
편집부 저, 『여성건강간호학Ⅱ』, 정담미디어(6th), 2005.
이경혜, 이영숙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 2』, 현문사, 2004.
정담편집부 저,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1』, 정담미디어, 2013.
최경환 저, 『검사의학사전』, 대한의학서적, 2011.
김양호 외 편저, 『병리학(제5판)』, 현문사, 2010.
강영희 저, 『생명과학 대사전』, 아카데미서적, 2008.
이강보 외, 「전치태반의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인과학회 22권 3호(1979)
세브란스 건강칼럼, “태아 안녕검사 안내”, http://sev.iseverance.com
차병원 건강칼럼, “전치 태반”, http://www.chamc.co.kr
서울대학교병원, “전치태반”, www.snuh.org
국가건강정보포털, “전치태반”, health.mw.go.kr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6. 제8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서울아산병원(질환백과)
삼성서울병원(질환백과)
세브란스병원(질환백과)
드러그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