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이기적 유전자와 협력
1.1.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주장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주장은 유전자 단위의 자연선택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도킨스에 따르면 생존기계인 개체는 유전자의 복제 수단에 불과하며, 유전자들은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이기적으로 행동한다. 그에 의하면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자신의 유전자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복제하고자 하는 "이기적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기적 유전자"의 생존본능은 개체의 외양과 행동양식에 반영되어 그것을 통해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개체가 이타적으로 보이는 행동일지라도 그 이면에는 유전자의 이기적 동기가 자리 잡고 있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이를테면 부모가 자식을 돌보는 행동은 결국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고자 하는 유전자의 이기적 생존전략에 다름 아니라는 것이다. 이처럼 도킨스는 유전자 수준의 자연선택을 강조하며, 생물학적 관점에서 보면 생명체가 보이는 모든 행동은 결국 유전자의 복제를 목적으로 한 이기적 전략의 발현이라고 주장한다.
1.2. 유전자의 생존본능과 이타적 행동
유전자의 생존본능과 이타적 행동은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주장에서 핵심적인 부분이다. 도킨스는 유전자가 생존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기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유전자의 이기적인 행동 양식 속에서 때로는 이타적인 행동도 확인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기적인 유전자가 다른 몸 속에 있는 자신의 복사본을 도울 수 있을 때 개체의 이타주의가 나타난다. 도킨스는 '혈연자'를 예시로 들었는데, 부모와 자식 간 '근연도'가 언제나 1/2이라는 점에서 부모가 자식에게 이타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엄마 쪽이 더 많은 이타주의를 보인다.
더 나아가 모든 유전자를 지닌 생물은 이타적인 행동이 이기적인 행동이 될 때 '협력'을 하게 된다. 꿀벌과 꽃, 악어새와 악어 등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자신의 생존을 위한 이타적인 행동이 결국 자신의 이기적인 생존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리처드 도킨스는 이러한 이기적인 유전자를 가진 생물 간의 협력이 필연적이라고 주장했다.
즉, 유전자는 생존본능을 가지고 있어 보이는 이기적인 행동을 하지만, 때로는 이타적 행동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로 협력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번식하고 진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생물의 생존과 진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
1.3. 협력을 통한 유전자의 진화
유전자는 생존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기적인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유전자들의 행동 양식 속에서는 이타적인 행동도 발견된다. 이기적인 유전자가 다른 몸 속에 있는 자신의 복사본을 도울 수 있을 때 개체의 이타주의가 나타나는 것이다.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서 부모가 자식에게 보이는 이타주의가 그 예이다. 이처럼 유전자들은 개체의 이기성과 집단의 협력을 통해 진화해왔다.
더 나아가서, 모든 유전자를 지닌 생물은 이타적인 행동이 이기적인 행동이 될 때 '협력'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꿀벌과 꽃, 악어새와 악어 등 자신들의 생존을 위한 이타적인 행동은 결국 자신이 생존하기 위한 이기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협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인 유전자를 가진 생물 간의 협력은 필연적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