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사회모델을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심리사회모델 정의
2.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
2.2. 심리사회모델의 배경
3. 심리사회모델의 주요 기법
3.1. 지지
3.2. 직접적 영향
3.3. 탐색-기술-환기
3.4. 인간상황에 관련된 고찰
3.5. 유형역동 고찰
3.6. 발달과정 고찰
4.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의 적용
4.1. 장점
4.2. 단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사람은 겉보기에 항상 건강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항상 건강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힘들다. 때문에 의학전문가나 사회복지 전문가 등의 도움을 꾸준히 받을 수밖에 없다. 육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경우에는 바로 병원에 가면 볼 수 있다. 몸 밖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우리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정밀 검사 등을 받으면 그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우리의 몸은 끊임없이 우리가 어디가 아픈지, 왜 아픈지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의학 연구의 역사가 100년 이상 되었으며 지금도 활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신적인 건강을 잃을 경우에는 그 원인을 알아내려면 꽤나 많은 시간이 걸린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끊임없이 다양한 사례를 접해야 한다. 어떤 합리적으로 보이는 결과여도 쉽게 정의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사례를 모아서 연구하고 고민하는 작업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등 부딪혀봐야 한다. 게다가 연구의 역사는 비교적 짧으며 인식 또한 좋지 않아 비교적 소극적인 태도로 고쳐나가려고 한다. 하지만 사람의 마음과 심리는 개인의 문제라고만 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심리사회모델이 나오게 된 계기나 배경, 정의 등에 대해 먼저 언급해보고자 한다.
2. 심리사회모델 정의
2.1. 심리사회모델의 개념
심리사회모델은 개인의 문제를 심리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 모델에 따르면 개인의 내적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환경적 요소의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사회환경적 문제 속에서도 개인의 경험과 요인에 따라 문제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심리사회모델은 개인과 상황 간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며,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협력관계 형성을 강조한다. 이 모델은 클라이언트를 수용하고 개별화하며, 클라이언트가 처한 현재 상황에서부터 출발하는 실천 원칙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개인과 환경 간의 최적의 적합 또는 적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2. 심리사회모델의 배경
심리사회모델의 배경은 모든 개인이 생태적 가치와 존엄성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 기반을 두고 있다. 모든 사람들은 성장능력, 학습능력, 적응력, 그리고 사회 또는 물...
참고 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안
https://www.welfare24.net/ab-3822-493
코로나 대유행 시기 한국인의 외로움: 생물심리사회모델에 기반한 잠재계층분석, 김예진 외3명, 한국심리학회지, 2022.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실천능력 및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 도향선, 원광대학교, 2014.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biopsychosocial model. In The Journal of Medicine and Philosophy: A Forum for Bioethics and Philosophy of Medicine (Vol. 6, No. 2, pp. 101-124), Engel, G. L.,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발달 및 전문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김태순,황혜원, 2009.
사회복지교육 실태진단 및 사회복지교육의 질 관리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홍선미,최명민, 20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강의 교안 참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급기본서, 2016, 나눔의집,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조미숙, 2020, 동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