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상세정보

소개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 이용현황 및 관련요인 분석
1.1. 서론
1.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1.2. 연구목적
1.2. 문헌고찰
1.3. 연구가설
1.4. 연구방법
1.4.1.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1.4.2. 조사내용
1.4.3. 자료 분석
1.5. 연구결과
1.5.1. 보건진료소 이용현황 분석
1.5.2. 연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1.6. SWOT 경영진단을 통한 개선방향
1.6.1. 서울대학교와 연계사업 다각화 통해 경쟁력 강화
1.6.2. 관악시민대학 수료자를 '동네배움터', '학습동아리활동'의 구심점으로 활용
1.6.3. 학습 선택권과 접근성 개선
1.6.4. 인문학&평생학습 유튜브 콘텐츠 강화
1.7. 결론

2. 한국 행정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긴 행정 인물: 김재익
2.1. 선정이유
2.2. 생애 및 업적
2.2.1. 생애
2.2.2. 업적
2.2.2.1. 군인 출신 대통령을 가르치다
2.2.2.2. 물가안정과 경제안정화
2.2.2.3. 세제 및 부실기업 개혁
2.2.2.4. 3대 전략산업 추진
2.3. 스타일
2.3.1. 업무처리 스타일
2.3.2. 리더십 스타일과 일화
2.4. 나의 생각

3. 평생교육기관 경영 전략 사례: 관악구평생학습관
3.1. 기관소개
3.2. 경영전략
3.2.1. 외부환경
3.2.2. 내부역량
3.2.3. 기관의 사명
3.2.4. 차별화 전략
3.2.5. 맞춤화 전략
3.2.6. 거점화 전략
3.3. 대표프로그램
3.3.1. 교육문화강좌
3.3.2. 관악약초학교
3.3.3. 재능나눔학교
3.3.4. 관악시민대학/관악시민대학원/관악시민대학원 최고위과정
3.3.5. 무학력 성인을 위한 문해교실
3.4. SWOT 경영진단을 통한 개선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 이용현황 및 관련요인 분석
1.1. 서론
1.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학교보건은 학생들과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하고 유지·증진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사업으로, 학생들이 건강한 생활을 통하여 행복을 느끼고 최대의 학습능률을 높이고 평생건강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더 나아가 육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건전한 국민을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학교보건의 목적에 따라 대학 교내 보건소 또한 대학(원)생과 교직원들의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경찰청의 보고에 따르면 대학(원)생 자살자 수가 한 해 평균 200~300명에 달하는 등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또한 대학생 흡연율도 평균 47.7%로 높아졌으며, A형간염 등 전염병의 발병률도 대학(원)생에게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내 보건소가 대학(원)생들의 정신건강, 금연, 전염병 예방 등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 또한 1차 진료와 건강검진, 예방 프로그램 등을 갖추고는 있으나 구성원들의 수요를 잘 반영했는지, 이용률이 어떤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토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내 보건진료소 이용현황과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보건진료소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구성원(대학원생을 포함한 학생, 교직원 등)의 관악캠퍼스 내 보건진료소에 대한 인식과 이용현황을 알아보고 보건진료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내 보건진료소에 대한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인식을 조사한다.
둘째,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학내 보건진료소 이용현황을 알아본다.
셋째, 보건진료소 이용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분석한다.
넷째,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실제적인 수요에 적절한 서비스 마련을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


1.2. 문헌고찰

질병의 예방과 이를 위한 1차 의료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지역 보건소 이용 및 관련요인 분석과 이용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학교 내의 보건진료소의 이용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손꼽히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제에 부합하는 보건진료소의 이용관련 요인에 대한 최근의 연구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에서 학교보건과 관련하여 교내 보건진료소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먼저 살펴보았다.

학교보건의 중요성과 교내 보건진료소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는 1992년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 운영개선방안 연구'(신영수 등)로부터 시작했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의 현황과 대상자에 대한 분석을 시작으로 그들의 진료서비스, 예방보건서비스 등의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대상자의 수요를 진단하였으며, 그 후 진료서비스, 예방보건 서비스, 보건진료소의 관리와 운영, 그리고 학생의료공제회의 이용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또한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면서 연구를 마무리하는데,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학생과 교직원의 정기건강검진의 장려, 건강 상담 인력투입,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계획과 필요 자원의 마련추진, 환경위생관리에 추가 인력 부여, 진료소 직원의 동기부여, 운영의 개선, 상주의사인력의 확보, 예방보건서비스의 강화 등이 포함되었다.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쓰인 이 논문은 교내 보건진료소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전반적이고 깊이 있는 고찰이라고 평가될 수 있으나,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들에 대한 설문과 근거를 바탕으로 하지 않은 기술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같은 해인 1992년 '일개 여자대학교의 안전사고 환자 발생에 관한 조사연구'라는 제목 아래 박정선과 위자형은 이화여자대학교의 보건진료소의 현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의 대학생, 대학원생 및 교직원 18,566명 중 1988년 8월부터 1990년 7월까지의 기간 중에 사고로 인해 대학 보건소 진료실을 찾아온 환자들을 상대로 객관적인 자료를 집계, 분석한 이 연구에서는 교내 안전사고의 연간발생률과 분포, 그리고 그 발생의 장소, 발생의 원인, 손상부위 등을 기술하였고, 보건진료소를 방문한 안전사고 환자의 처치에 소요된 시간을 조사하는 단순 기술연구로, 교내 보건진료소의 이용에 관련된 요인 및 이용 향상을 위한 방안의 제안 등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드러냈다.

비교적 최근에 이루어진 교내 보건진료소 관련 문헌으로는 서울시내 여자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대학보건소의 현황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연구'(권수경, 2001)를 들 수 있는데, 이 연구는 보건소의 시설, 인력, 보건서비스, 교육현황 등을 분석하여 보건소의 역할과 기능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대학 보건소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저자는 서울시내 5개 여자대학의 교내 보건소의 전산 및 행정자료를 분석하는 것 외에 보건소를 이용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을 기술하였고, 이를 토대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보건서비스의 개선방안까지 제시하였다. 세부적인 내용은 첫째로 전문 인력 확보, 기자재 및 약제 구비, 예방접종, 신체검사, 건강검진, 보건교육, 예산확보 등을 위한 연구와 노력, 둘째 응급진료 연계, 셋째, 학생들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등이었다.

같은 맥락에서 최종명 등(2005)의 '일부대학 학생들의 보건소 이용에 관한 인식과 태도' 또한 일개 대학의 학부학생, 대학원생을 상대로 그들의 보건소 이용실태와 보건소 이용에 따른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캠퍼스의 학생과 분교의 학생들을 비교 연구하여 이용도의 차이를 추가로 분석하긴 하였고, 대학보건소 활동에 대한 참여와 학생의료 공제회 이용경험 유무를 조사하였다. 하지만 보건소를 이용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따라서 현실적으로 보건소이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의 제시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두 연구 모두 기존의 연구에서 더 나아간 연구결과를 얻진 못했다.

기존의 연구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2003년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지역사회실습으로 진행되었던 연구논문에서는 서울대학교 연건 캠퍼스와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의 의과대학생과 타과대학생의 보건소 이용실태와 보건소 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의대생과 타대생의 보건소 이용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설계 과정에서 접근성, 의료의 질에 대한 불신, 의료서비스, 의료시설, 홍보의 정도, 경제성이 보건소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에 포함시켰다는 점이 기존의 연구와 다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인들을 설정함에 있어서 근거가 있는 연구의 틀이 부재하였다. 또한 연구의 대상을 의대생과 타과 대학생으로 나누어 보건소 이용과 관련요인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전반적인 대학생의 교내 보건진료소 이용실태와 관련요인, 더 나아가 이용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교내 보건진료소관련 연구들을 고찰해 본 결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역 보건소 이용 및 관련요인 분석과 이용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교내 보건진료소의 이용 및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고, 대부분이 현황 파악에 그치는 연구였으며, 또한 관련 요인의 설정에 있어서 체계적인 틀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단 한 연구도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를 포함한 앞으로의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1.3.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보건진료소 의료서비스 인식수준이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보건진료소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학내 보건진료소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보건진료소 이용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의료서비스 접근성(물리적, 시간적, 경제적 요인)이 서울대학교 구성원의 보건진료소 이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보건진료소의 위치, 운영 시간, 의료비 등 접근성이 용이할수록 이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보건진료소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질(만족도)이 서울대학교 구...


참고 자료

권수경, 대학보건소의 현황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서울시내 여자대학을 중심으로), 동덕여자 대학교, 2001
권병임, 우리나라 대학생보건관리실태에 관한 조사, 이화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8.
김윤기, 전문대학의 보건문화와 학교보건사업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대학요람, 2002.
대한보건협회지, 2002.
문영선, 보건소 진료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박영수, 학교보건사업의 효율화를 위한 대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88.
송현종,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펴가지표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신영수, 서울대학교 보건진료소 운영개선방안 연구보고서, 서울대학교, 1992
윤계순, 보건의료서비스의 고객만족도에 대한 연구 (동대문구 보건소를 대상으로), 건국대 행정대학원, 2009
이성애, 보건소이용자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 만족에 관한연구(경북 칠곡군보건소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정문희 외, "보건교육", 2002.
지역사회 실습 1조, 대학생들의 대학 보건소 이용실태와 이용 의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대학을 중심으로) 보고서,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최중명, 일부 대학 학생들의 보건소 이용에 관한 인식과 태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2005
황보선 외, "보건교육의 이론과 실제", 1994.
Charles E. Kupchella,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Give More Broad-Based Attention to Health and Wellness—At All Level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09
Cheryl L, Assessing needs for youth health proimotin, Division of Epidemiology, 2004
Joshua M. Westheimer, Primary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With an Integrated Healthcare Model,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08
Linthicum, Considerations for Integration of Counseling and Health Services on College and University Campuse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10
Nancy Allen, Introduction to the American College Health Association’s “Standards of Practice for Health Promotion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S.Thaddeus, What delays access to abstetric care in developing countries?, Too far to walk: maternal mortality in context, 1994
매거진 한경(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글로벌이코노믹(https://cmobile.g-enews.com).
평생교육경영론 교안, 위더스
관악구청 홈페이지 관악구청 (gwanak.go.kr)
관악구 교육기관 안내 인사말 : 관악구 교육포털 (gwanak.go.kr)
관악구, 평생학습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2025년까지 52억 예산 투입, 아주경제 (ajunews.com), 2020.12.15
관악구, 2022년 예산 9056억 원 편성, 노컷뉴스, 2021.11.2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