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코로나-19와 비만 변화
1.1.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국민 전체 비만율 비교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국민 전체 비만율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국민 전체 비만율은 34.6%였으나, 이후인 2019년에는 33.8%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는 38.3%, 2021년에는 37.1%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즉, 코로나-19 이전에는 평균 0.5% 안팎의 변동 폭을 보였지만, 코로나-19 이후에는 평균 4% 이상 급증하면서 유의미한 상승 추세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식생활 변화, 운동 및 야외 활동 감소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전체 국민의 비만율이 크게 상승했음을 알 수 있다.
1.2.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성별 비만율 비교
성별 비만율 비교를 보면,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남성의 비만율은 41.8%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48.0%, 2021년에는 46.38%로 크게 상승했다. 반면 여성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25%였으나 2020년에는 27.7%, 2021년에는 26.9%로 증가했지만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증가를 보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유행 이후 남성의 비만율이 여성에 비해 더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패턴의 변화, 특히 외부 활동 감소와 배달 음식 섭취 증가 등이 남성의 비만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여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러한 생활 패턴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국민 전체의 비만율 상승 추세는 특히 남성의 비만율 급증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코로나-19 이후 비만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 시 성별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1.3.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연령별 비만율 비교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연령별 비만율 비교 결과를 보면, 대체로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특히 젊은 연령대에서도 비만율이 상승하고 있어, 젊은 세대의 비만 관리가 중요한 이슈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9세~29세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27.6%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32.6%, 2021년에는 28.6%로 상승하였다. 30세~39세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34.9%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41.6%, 2021년에는 39.4%로 상승하였다. 40세~49세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35.67%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39%, 2021년에는 42.9%로 상승하였다. 50세~59세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36.5%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40.2%, 2021년에는 36.8%로 상승하였다. 60세-69세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비만율이 37.3%였으나, 이후 2020년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