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의 대상이란 사회복지가 일차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즉 문제에 봉착한 사람들이나 문제 자체 혹은 문제를 야기 시키는 조건 등을 말한다. 사회복지의 대상 역시 사회복지가 역사적 사회적 형성체이니 만큼 사회복지의 변화와 함께 여러 가지고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므로 사회복지의 대상을 일관성 있고 전체적인 특성을 조망하기 위한 것을 제시하는 일이 사실 어렵다.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의 대상을 포착하는 문제는 사회복지를 보는 관점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어, 사회복지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2.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2.1. 보편주의
2.1.1. 보편주의의 개념
보편주의는 사회복지 혜택이나 서비스를 모든 시민에게 동등하게 제공하는 원칙을 의미한다. 이는 각 개인의 경제적 상황, 출신지, 인종, 성별 등에 무관하게 모든 시민에게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여 사회적 평등을 추구하는 철학이다. 보편주의는 사회복지정책의 중요한 기조로, 각 개인의 차별 없는 접근과 공정한 기회 제공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인 불평등을 최소화하고, 모든 시민이 기본적인 삶의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2.1.2. 보편주의의 특징
보편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시민에게 동등한 혜택을 제공한다. 보편주의는 경제적, 사회적 배경, 인종, 성별 등에 관계없이 모든 시민에게 동일한 사회복지 혜택을 보장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차별을 없애고 모든 개인이 균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한다. 보편주의는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에게도 충분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안전망을 확고히 한다. 이를 통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모든 시민이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셋째, 균등한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보편주의는 교육, 건강, 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든 시민에게 동등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모든 시민이 최소한의 생활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1.3. 보편주의 정책 사례: 국민연금
국민연금제도는 보편주의의 원칙을 반영한 대표적인 사회복지정책이다. 모든 국민이 일정한 보험료를 납부하고, 이를 기반으로 노후에 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제도이다.
첫째, 국민연금은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기회를 제공한다. 개인의 경제적 상황, 출신지, 인종, 성별 등에 상관없이 모든 국민이 가입하고 보험료를 납부함으로써 동일한 범위의 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보편주의의 핵심 가치인 사회적 평등을 실현하는 것이다.
둘째, 국민연금은 노후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안정적인 연금 혜택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