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당뇨병의 정의와 증상
1.1. 당뇨병의 정의
당뇨병은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되거나 제기능을 못하여 혈액속 포도당(혈당)이 너무 많아져서 소변으로 포도당이 빠져나가는 병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 몸이 에너지를 적절히 사용하지 못해서 신체기능이 저하된다.
1.2.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유전적 요인에는 가족력, 인종 등이 있으며, 환경적 요인에는 비만, 고령, 스트레스, 임신, 감염, 약물 등이 포함된다.
유전적 요인은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 저하나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 제1형 당뇨병의 경우 자가면역 질환으로 인해 베타세포가 파괴되는데, 이는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나타난다. 제2형 당뇨병의 경우에도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더 높다.
환경적 요인 중 비만은 당뇨병 발병의 가장 큰 위험 요인이다.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베타세포 기능 저하를 가속화한다. 특히 내장지방 축적은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령은 췌장 베타세포의 기능 저하, 인슐린 저항성 증가 등으로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인다. 스트레스, 임신, 감염, 일부 약물 등도 인슐린 저항성 및 베타세포 기능 저하를 유발하여 당뇨병 발병을 촉진한다.
따라서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1.3. 당뇨병의 증상
당뇨병의 증상은 주로 다음, 다뇨, 다식으로 대변되는 3대 증상이 있다"". 다음은 과도한 갈증으로 인해 물을 많이 마시게 되는 증상이며, 다뇨는 과도한 양의 소변을 보게 되는 증상이다"". 다식은 음식에 대한 섭취량이 늘어나는 증상을 의미한다"".
이 외에도 당뇨병 환자들은 피로감, 권태감, 체중감소, 비만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피로감과 권태감은 세포 내 포도당 이용이 저하되어 에너지 대사가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이다"". 체중감소는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출되면서 영양분 손실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증상이며,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서 체중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 원인이다"".
이처럼 당뇨병의 주요 증상은 다음, 다뇨, 다식을 포함하여 전반적인 건강상태 저하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즉시 의사의 진찰을 받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1.4. 당뇨병의 합병증
당뇨병의 합병증은 당뇨병이 진행되면서 다양한 장기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당뇨병의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급성 합병증인 케톤산증과 고삼투압성 혼수, 그리고 만성 합병증인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당뇨병성 심혈관질환 등이 있다.
급성 합병증인 케톤산증은 세포 내 포도당이 부족해지면서 지방 분해가 활발해져 케톤체가 과다 생성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로 인해 혈액의 산성도가 높아지고 탈수, 구토, 혼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고삼투압성 혼수는 체내 수분 부족으로 인해 혈장 삼투압이 높아져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심한 갈증, 구토, 혼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 합병증 중 당뇨병성 망막증은 망막의 미세혈관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시력 저하와 실명의 주된 원인이 된다. 당뇨병성 신증은 신장 사구체 및 세뇨관의 기능 저하로 단백뇨와 신부전이 발생하는 것이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말초신경, 자율신경, 그리고 근육 등의 손상으로 통증, 감각 저하, 근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당뇨병성 심혈관질환은 혈관 내막의 섬유화와 경화로 인해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당뇨병은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혈당 조절, 합병증 모니터링, 그리고 생활습관 관리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
2. 당뇨병의 진단
2.1. 혈당 검사
혈당 검사는 당뇨병 진단 및 혈당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검사이다. 공복혈당이 2회 이상 126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