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사회복지조사,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 논하고 실례 들어보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2.1. 신뢰도의 개념과 측정방법
2.2. 타당도의 개념과 평가방법
3.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4. 신뢰도와 타당도의 중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회복지 영역에서 측정은 사회복지 발전에 있어서 물질적인 기초를 다지는 분야로서, 변화와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측정 수단을 통하여 현재 사회복지의 현실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측정은 조사 대상의 상태나 특성, 행동 등의 일정 규칙에 따라 양적, 질적 값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람과 사물이 지는 특성 또는 속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다양한 측정 도구에 있어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2. 측정의 신뢰도와 타당도
2.1. 신뢰도의 개념과 측정방법
신뢰도는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반복적으로 검사해도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동일한 값을 산출해내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정확한 측정의 일관성을 의미한다. 신뢰도가 높으면 유사한 환경에서, 유사한 대상으로 조사하면 유사한 결과가 산출되는 예측도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검사-재검사법은 동일 측정 도구, 동일 집단에 시간 차를 두고 2번 이상 반복측정하여 그 결과값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는 시간이 경과했을 때도 동일한 결과가 나오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신뢰도를 평가한다.
둘째, 대안법은 1차 측정도구와 유사한 형태의 2차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측정 후 1차 결과와 2차 결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측정도구 간 일관성을 평가할 수 있다.
셋째, 조사가 간 신뢰도는 2인 이상의 조사자가 같은 내용을 측정한 뒤 그 결과 값의 유사도, 상관관계를 파...
참고 자료
심리검사에서 타당도의 중요성과 개념, 교육문화연구소,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psychology.php?ptype=view&code=psychology&idx=529&category=
사회복지조사론, 이수천, 서울기독대학교, 2013, 사회복지통계연구소
https://isws.tistory.com/entry/5%EA%B0%95-%EC%B8%A1%EC%A0%95%EB%8F%84%EA%B5%AC-1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제7장 신뢰도와 타당도, 김재남, 광주여자대학교
https://kjn.kwu.ac.kr/index.do
권구영 외,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강택원, 「세상에서 가장 쉬운 사회조사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김경우, 「사회복지조사방법론 강의」, MJ미디어, 2008
김갑용, 「사회복지조사론」, 학현사, 2009
채구묵,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2008
김진규, 「교육과정과 평가」, 동문사, 2005
유용식,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6
박영준, 「사회복지조사론」, 신정, 2015
김갑용(2009), 사회복지조사론, 학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