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 낙상예방 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동 낙상 교육
1.1. 교육 목적
1.2. 낙상의 위험요인
1.2.1. 연령 및 성별
1.2.2. 발생 장소
1.2.3. 보호자 관찰 부족
1.3. 낙상 예방법
1.3.1. 침대 난간 사용
1.3.2. 이동 시 안전 수칙
1.3.3. 보호자 동행 및 관찰
1.3.4. 환경 점검 및 관리
1.4. 낙상 발생 시 대응
1.5. 보호자 교육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동 낙상 교육
1.1. 교육 목적
아동 낙상 교육의 목적은 병원 내에서 아동의 낙상 위험성을 낮추고, 낙상의 위험요인을 알아 제거하며, 낙상의 예방법을 이해하는 것이다"병원 내 환자 안전은 필수적인 요건이며, 낙상은 환자 안전사고의 주요 발생 항목 중 하나이다. 아동의 경우 낙상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상해를 입지 않았거나 경미한 수준의 손상을 입은 경우 보고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실제 발생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낙상으로 인해 아동은 신체적 손상을 경험할 뿐 아니라, 회복 과정에서 추가적인 검사나 수술, 재활치료 등이 요구되며 이로 인해 재원기간이 연장되고, 관련된 추가비용과 시간적인 소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아동의 낙상 위험요인과 상황에 대한 교육을 통해 낙상 관련 지식을 제공하고, 낙상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는 행위를 증진시키는 것이 이 교육의 목적인 것이다.
1.2. 낙상의 위험요인
1.2.1. 연령 및 성별
아동의 연령 및 성별은 낙상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 취학 전 아동(만 6세까지)이 학령기 아동에 비해 낙상 위험성이 3.8배 높은데, 이는 취학 전 아동의 운동발달이 미숙하여 위험성을 감지할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남아가 여아에 비해 낙상 위험성이 1.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호기심이 많고 활동적이어서 위험한 행동을 더 많이 시도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낙상의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아동의 발달 수준과 특성에 맞는 맞춤형 낙상 예방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1.2.2. 발생 장소
발생 장소에 따른 아동 낙상 사고의 발생 위험은 다음과 같다.
아동 낙상 사고는 침대나 휠체어, 기타 장소에서 주로 발생한다. 미국의 26개 어린이병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재원일 1,000일당 0.4-3.8건의 낙상이 발생하였으며, 국내 한 연구에서는 1,000명의 입원 환아 당 0.63-2.45건의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병원 내에서 아동의 낙상 사고가 빈번하게 ...
참고 자료
김영혜 외(2021)최신 아동건강간호학 Ⅰ, 수문사, p. 331~333,336
병원 내에 비치된 낙상 예방 팜플렛
낙상예방법, 분당서울대병원 뇌신경재활센터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BCD8&MENU_ID=006008013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아동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