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낙상 방송교육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낙상 방송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안전관리의 개요와 중요성
1.1. 안전관리의 개요
1.2. 안전관리의 목적
1.3. 안전관리의 범주

2. 안전사고 유형과 예방대책
2.1. 낙상 예방
2.2. 화재 예방
2.3. 재난 관리

3. 병원 내 재난관리
3.1. 병원 내 재난 유형
3.2. 재난대응체계 및 매뉴얼
3.3. 환자 대피 및 이송

4. 소아병동 및 신생아실의 안전관리
4.1. 소아병동 내 안전사고 예방
4.2. 신생아실 내 안전관리
4.3. 신생아중환자실 방역 및 방문객 관리

5. 어린이집 안전관리
5.1. 어린이집 내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 유형
5.2. 보육교사의 안전 관리 수칙
5.3. 어린이집 안전 관련 법규 및 지침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안전관리의 개요와 중요성
1.1. 안전관리의 개요

안전관리의 개요는 위험상황이나 사고를 초기에 파악, 조정하는 등의 계획을 사전에 수립하고 수행하는 활동을 말한다. 안전관리는 의료의 질 향상의 확대된 개념으로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계획된 과정이다. 이는 정상인에 비해 주의력이 떨어져 있는 환자, 직원 및 방문객에 나타날 수 있는 손상의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제거하여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안전관리에는 정확한 환자 확인, 낙상예방, 화재예방, 투약오류예방, 수혈오류예방, 화재예방, 화상예방, 자살예방, 도난방지, 고위험의료기기 관리, 위해의료폐기물 관리, 방사능 안전관리, 재난관리 등이 포함된다.


1.2. 안전관리의 목적

안전관리의 목적은 정상인에 비해 주의력이 떨어져 있는 환자, 직원 및 방문객에 나타날 수 있는 손상의 가능성을 조기에 발견하고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제거하여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것이다.

안전관리는 의료의 질 향상의 확대된 개념으로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할 수 있는 계획된 과정이다. 즉, 안전관리를 통해 의료기관의 안전을 확보하고 의료사고를 예방함으로써 환자, 직원 및 방문객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1.3. 안전관리의 범주

안전관리의 범주는 정확한 환자 확인, 낙상예방, 화재예방, 투약오류예방, 수혈오류예방, 화상예방, 자살예방, 도난방지, 고위험 의료기기 관리, 위해의료폐기물 관리, 방사능 안전관리, 재난관리 등이 해당된다" 안전관리의 범주는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치료와 간호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와 위험으로부터 환자와 의료진, 방문객을 보호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고 유형별 예방대책과 대응 매뉴얼 마련,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안전관리의 범주는 단순히 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도 포함한다.


2. 안전사고 유형과 예방대책
2.1. 낙상 예방

입원 시부터 환자/보호자에게 입원생환 안내 및 각종 낙상의 가능성을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준화된 낙상위험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결과에 따라 낙상예방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모스(Morse)의 낙상위험사정 도구는 낙상 위험요인을 포함하고 있어 간단하여 병원에서 적용이 용이하며 타당도가 입증되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아동 낙상위험평가, 진단명, 인지 장애, 환경요인, 수술/진정/마취에 대한 반응, 약물 사용을 평가해야 한다. 그리고 (Graf-PIF) 도구를 이용하여 1개월 이내의 낙상 과거력, 정맥주사 여부, 항 간질약물 복용 여부, 급만성 골질환 여부, 재원일 수 등을 평가한다. 낙상 고위험환자로 분류된 경우 지속적으로 예방적 중재활동을 해야 한다. 환자가 혼자 침상에 누워 있을 경우 양쪽 침대 난간을 모두 올리며, 낙상 고위험 환자를 혼자 두지 말아야 한다. 수면 전 화장실에 다녀오도록 하며 수면 중 깨여서 화장실에 갈 때는 반드시 간호사/간병인의 보조를 받아 침상 밖으로 나오도록 해야 한다. 갑작스런 이상과 보행을 금지하며 서서히 단계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며 필요시 보행기를 사용해야 한다. 병실/복도/바닥에 물, 액체 등 미끄러운 물질을 흘리지 않도록 자주 순회점검한 후 제거해야 한다. 욕실이나 샤워실 바닥을 미끄럽지 않게 처리하며 미끄럼방지 매트를 사용하고 욕실/복도 등 환자의 운동동선에는 손쉽게 잡을 수 있는 바(bar)를 설치하고 사용법을 교육해야 한다. 휠체어, 침대, 이송용 침대 이동시 항상 잠금장치를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한 후에 옮겨야 한다. 고위험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반드시 부작용 발생상황을 모니터링 해야 하며 낙상이 발생 되였다면 보고체계에 따라 신속하게 보고하고 대처해야 한다.


2.2. 화재 예방

환자와 보호자에게 화재예방교육을 실시하며 병원의 모든 구역이 금연구역임을 알려야 한다. 간호사실과 다인실, 복도에는 소화기를 구비하고 병실복도에 비상구 위치가 표시된 도면을 부착한다. 비상구에는 피난을 방해할 수 있는 장애물을 두지 않으며 모...


참고 자료

간호관리학(수문사) 개정 7판 703~718폐지
응급재난간호(현문사) 2019년 8월28일 발행 78~112폐지
보건복지부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 https://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29536&page=1
대한노인요양병원협회 요양병원 재난대응 매뉴얼(화재재난방지 매뉴얼) http://www.kagh.co.kr/KchaMain/Index.nm
서울세브란스 병원 응급코드 매뉴얼
·박은숙 외, 아동간호학:NURSING CARE OF CHILDREN(현문사,2016)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한 소중한 행동지침 소아편-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YOUTUBE.2020.06.19.접속 https://www.youtube.com/watch?v=r4-cU7i9iLQ
”번개맨안전캠페인1편-유치원안전(3분)”.EBS안전캠페인.2020.06.18접속
http://primary.ebs.co.kr/course/pop/clipPopup?courseId=BP0PHPI0000000027&lectId=10384224&clipId=CS000000000000003094
“신생아실 입원안내”,서울아산병원,2020.06.18.접속
http://neo.amc.seoul.kr/asan/depts/neo/K/content.do?menuId=1736
“삼성 서울 병원 낙상 예방 교육용 일러스트”.그리닥.2020.06.18.접속.
http://www.gleedoc.com/?p=13330
대한병원협회. 신생아중환자실 감염예방및관리 표준지침(안).대한병원협회,63-65
이윤실. "입원 아동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 =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the prevention of hospitalized children safety accidents." 석사학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함신이(2018). 유아안전사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지도 방안.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조아라(2019). 영유아 어린이집 화재위험성 평가를 통한 피난 안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채혜선·임미혜·김종배·이순자·안경일(2014). 아동안전관리. 양서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