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주요 병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상세정보

소개글

"나무의 주요 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식물병의 전염원과 전반방법
1.1. 식물병 전염원의 종류
1.1.1. 병든 식물의 조직이나 잔재
1.1.2.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1.1.3. 오염된 토양
1.1.4. 잡초와 곤충
1.2. 병원체의 전반 방법
1.2.1. 풍매전반
1.2.2. 수매전반
1.2.3. 종묘전반
1.2.4. 토양전반
1.2.5. 곤충전반

2. PLS와 식품안전성
2.1. PLS(허용물질등록관리제도)
2.2. PLS 시행 목적과 식품 안전성

3. 커피나무의 재배조건과 커피녹병
3.1. 커피나무의 중요성과 재배조건의 중요성
3.2. 커피나무 재배조건
3.2.1. 토양
3.2.2. 온도
3.2.3. 습도
3.2.4. 높이
3.2.5. 빛
3.3. 커피나무의 커피녹병
3.3.1. 원인
3.3.2. 증상
3.3.3. 예방법
3.3.4. 치료법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식물병의 전염원과 전반방법
1.1. 식물병 전염원의 종류
1.1.1. 병든 식물의 조직이나 잔재

병든 식물의 조직이나 잔재는 주요한 식물병 전염원이다. 식물의 병든 조직이 죽어도 그 죽은 조직의 표면이나 내부에서 병원체는 살아남곤 한다. 따라서 병든 이파리, 나뭇가지, 열매 등의 잔재를 꼼꼼히 제거하는 것이 병의 예방이 된다. 예를 들어 벼깨씨무늬병균, 벼도열병균은 병든 볍씨나 볏짚에서 여러 해를 생존할 수 있고, 사과탄저병균, 감귤궤양병균, 배나무검은무늬병균은 병든 열매나 가지에서 겨울을 버티기도 한다. 오이노균병균, 맥류흰가루병균, 토마토겹둥근무늬병균, 사과점무늬낙엽병균도 식물의 병든 조직에서 월동을 한다."


1.1.2.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

병든 종자 및 영양번식기관은 식물병의 주요한 전염원이다. 식물의 영양번식기관인 알뿌리, 종자, 덩이줄기, 비늘줄기, 묘목 등에 병원체가 감염되어 있을 경우 이를 통해 병이 전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벼키다리병균, 보리속깜부기병균, 콩세균성점무늬병균, 밀비린깜부기병균, 보리겉깜부기병균 등은 병든 종자로 인해 전염되며, 감자둘레썩음병균과 감자역병균은 덩이줄기에, 양파깜부기병균은 비늘줄기에, 자주날개무늬병균과 과수뿌리혹병균은 묘목에 감염된다. 이처럼 병든 영양번식기관을 통해 병원체가 전파되어 새로운 기주식물을 감염시키는 것이 "종자전염성" 또는 "영양기관전염성" 질병의 주된 특징이다. 따라서 건강한 종자와 번식기관의 사용은 식물병 예방에 매우 중요하다. 종자와 영양번식기관을 소독하거나 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1.1.3. 오염된 토양

토양이 오염되어 있을 경우, 다양한 병원체가 토양 내에서 월동하며 식물체 내부까지 침입할 수 있다.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대표적인 예로는 맥류오갈바이러스와 가짓과작물풋마름병균 등이 있다. 이러한 병원체는 병든 식물조직을 이용해 토양 속에서 월동하며, 토양이 오염될 경우 새로운 기주식물로 전염될 수 있다. 또한 토양에서는 시들음병균의 후벽포자, 모잘록병균의 난포자, 채소류균행병균의 균핵 등이 생존하다가 적절한 조건이 되면 새로운 기주를 감염시킨다. 이처럼 오염된 토양은 다양한 병원체를 포함하고 있어, 토양전염성 병해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고 할 수 있다.


1.1.4. 잡초와 곤충

잡초와 곤충은 식물병의 주요한 전염원이다. 먼저 잡초의 경우, 병원체가 잡초의 조직에서 생존하다가 건전한 작물로 옮겨갈 수 있다. 대표적으로 벼 오갈병균은 둑새풀, 겨풀 등 논 잡초에서 월동한 뒤 벼로 옮겨 가며,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도 시금치, 무와 같은 작물뿐만 아니라 물레나물, 별꽃 등의 잡초에서 생존한다. 따라서 병원체 관리를 위해 포장 내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곤충 또한 병원체의 전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많은 바이러스성 병해가 흡즙성 곤충에 의해 전염되는데, 대표적인 예로 끝동매미충과 번개매미충이 각각 벼오갈병과 벼줄무늬잎마름병을 전파한다. 이들 매개충은 병원체를 체내에 보유하고 있다가 건전한 식물을 가해하면서 병을 전염시킨다. 또한 녹병균의 경우 담자포자의 수정을 매개하는 곤충이 있어, 밀 줄기녹병균이나 배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의 전반에 관여한다. 따라서 해당 매개충에 대한 방제 활동도 병 관리에 중요하다.

이처럼 잡초와 곤충은 다양한 식물병원체의 저장소 및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병 발생의 주요한 원...


참고 자료

식물의학 최재을 저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8.02.19
누구나 쉽게 따라하는 친환경 농법 주정현 저 | 메이킹북스 | 2019.05.08
농사로 홈페이지 http://www.nongsaro.go.kr/portal
김형무외(1999)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김길하외 (2012). 삼고 해충학. 향문사
김길하 외. 2012. <삼고 해충학>. 향문사
김시권. 2004. “WTO 체제하에서의 우리나라 식품안전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국제통상학과.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5452ff86496703f9
식품의약품안전처. 2018.02.22.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https://www.mfds.go.kr/brd/m_207/view.do?seq=13810
식품의약품안전처. 2019.10.31. “2019년 10월 30일 농약잔류허용기준 및 PLS 설명회 발표자료.” https://www.mfds.go.kr/brd/m_220/view.do?seq=32768
최재을 외. 2018.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