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학대에 관한 고찰 및 견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학대 아동 가족의 요인
2.1. 아동이 어려서 예속물로 생각
2.2. 가장의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로 인한 폭력
2.3. 엄마의 육아에 지친 후유증으로 인한 학대
3. 아동의 정서 및 발달적 문제
3.1. 아동의 표현 능력 저하
3.2. 아동의 공감 능력 저하
3.3. 아동의 비관적 성향 짙어짐
4. 학대 아동 가족의 요인과 아동의 정서 및 발달적 문제에 대한 견해
5. 한국 부모의 양육태도
6. 정서적 학대와 훈육
6.1. 학대의 정의
6.2. 정서적 학대의 기준
6.3. 훈육과 정서적 학대에 대한 견해 고찰
7. 결론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 주위에는 아빠, 혹은 엄마로부터 구타당하는 아동들이 더러 있다. 내 경우, 내 친척 동생이 이모의 학구열로 인해 공부를 열심히 해 오는 것을 봐 왔는데, 매번 전교 1등을 하다가, 한 번 전교 10등을 했다는 이유로 이모가 이를 회초리로 30대나 때려 혀를 내둘렀다. 동생은 무참히 이모에게 짓밟혔다. 이처럼, 다수의 아이가 부모에게 폭력을 당하고 있다. 아이들은 아직 어리고 유약해 말 한마디 제대로 못 하고, 입 한번 제대로 벙긋하지 못하고 어른들에게 유린당한다. 한편, 이렇게 학대당하는 아동이 있는 가족을 학대 아동 가족이라고 부르는데, 이 가족의 부모는 어떤 이유에서든 아이를 필요 이상으로 폭행해서는 안 된다는 법을 망각하고 무차별적으로 때려 짐승보다 못하다는 인식을 갖게 한다. 그러다 보니 이런 학대로 인해 나는 이런 학대 아동 가족에 관해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학대 아동 가족이 생기는 요인과 학대 아동의 정서 및 발달적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고찰해 보았는데, 지금부터 서술해보고자 한다.
2. 학대 아동 가족의 요인
2.1. 아동이 어려서 예속물로 생각
학대 아동 가족이 생기는 요인 중 하나는 부모가 아동을 어려서부터 예속물로 생각하는 것이다"" 실제로 얼마 전 발생한 정인이 사건의 경우, 양엄마가 정인이를 입양하면서도 이를 예속물로 생각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양엄마는 정인이를 하나의 생명체로 생각하지 않고 물건이나 장난감 정도로 열등하고 하등하게, 무가치하게 여겼기 때문에 학대로 이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와 행위는 정인이를 동물보다 못하게 다룬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어떤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다"" 실제로 일부 엄마들은 어린 아기를 보면 작고 힘이 없다는 이유로 괴롭히고 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며,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거나 꼬집고 때리기도 한다"" 이는 인간 이하의 행동으로, 합리화될 수 없다"" 또한 어떤 엄마는 10살 딸이 수학 경시대회에서 2등을 했다는 이유로 무지막지하게 구타하기도 한다"" 이처럼 일부 몰지각한 엄마들이 어린 자녀들을 자신에게 속박된 예속물처럼 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2.2. 가장의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로 인한 폭력
가장의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로 인한 폭력은 아동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이다. 실제로 A씨는 40대 남성으로, 직장에서 상사가 내준 과제를 제대로 해내지 못해 받은 스트레스를 자신의 9살배기 외동 아들에게 상습적으로 풀었다. A씨는 아들이 자신에게 놀아달라고 할 때마다 "왜 이렇게 보채? 맞아야 정신을 차리지?"라고 하면서 아들의 머리를 쥐어박고 쇠파이프로 엉덩이를 때려 피멍이 들게 하였다. 이를 목격한 연구자는 A씨의 행동에 대해 잔인하고 악랄하다는 생각을 하였으며, 스트레스가 쌓이기 전에 여러 방법을 동원해 스트레스를 제때 해소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이처럼 가장이 직장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어린 아이들에게 풀어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로 인해 폭력적인 행동이 표출되어 아동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용납될 수 없다. 부모는 자녀에 대한 무조건적인 사랑과 배려심을 가져야 하며, 스트레스가 쌓이기 전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를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아동에게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2.3. 엄마의 육아에 지친 후유증으로 인한 학대
또, 엄마들이 육아에 지쳐 후유증이 생겨 아이들을 학대하기도 한다. 특히,...
참고 자료
아동학대 없는 세상, 예방이 관건-2021.08.23., 경향신문-
5살 친딸 학대해 성장 부진 빠지게 한 친엄마와 외할머니 최후-2021.09.29., 서울신문-
통계청 학대피해아동보호현황 : 아동학대 발생빈도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보건복지부 피해아동연령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박정란 외, 아동복지론, 양서원, 2006
이용란. 가정폭력 재발억제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대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06:1-62p
김준호. 가정폭력에 대한 서비스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경찰과의 협력관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04:1-74p
최영. 가정폭력의 의학적 대처.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클리닉. 2000.1-10p
강수경, 정미라, 이방실, 김민정.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과 프랑스 어머니의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및 양육불안에 대한 비교연구. 유아교육연구, 34(6), 539-555.
고성혜. 1992. 아동학대 개념규정 및 아동학대에 대한 모·자녀의 지각성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김민정. 2016. 부모훈육 방법과 부모유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관계 비교문화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80-281
김혁돈, 손지아 2018. 아동복지적 관점을 고려한 아동학대 개념. 법학논고, 63, 347-372
이기학, 조은정. 2004.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상담학연구, 5(3), 583-595.
조옥자, 현온강. 2005.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3), 141-161.
한겨레 신문. 2008.02.18. 훈육과 학대는 종이 한 장 차이. 서천석 소아정신과 전문의·행복한아이연구소장.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27034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