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치매 간호과정보고서 써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알츠하이머병의 이해
1.1. 정의
1.2. 병인 및 병태생리
1.3. 임상 증상
1.3.1. 인지기능 저하
1.3.2. 행동 및 심리 증상
1.4. 진단
1.4.1. 신체검사 및 신경학적 검사
1.4.2. 인지기능 평가
1.4.3. 검사
1.5. 치료
1.5.1. 약물치료
1.5.2. 비약물적 치료
2. 알츠하이머 환자의 간호
2.1. 인지기능 증진
2.2. 신체기능 관리
2.3. 행동 및 심리증상 관리
2.4. 가족 지지
3. 사례 보고
3.1. 대상자 개요
3.2. 건강사정
3.3. 간호과정 적용
3.4. 간호중재 및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알츠하이머병의 이해
1.1. 정의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은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적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되다가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은 그 진행과정에서 인지기능 저하뿐만 아니라 성격변화, 초조행동,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 장애 등의 정신행동 증상이 흔히 동반되며 말기에 이르면 경직, 보행 이상 등의 신경학적 장애 또는 대소변 실금, 감염, 욕창 등 신체적인 합병증까지 나타나게 된다. 알츠하이머병의 호발 연령은 65세 이후이나 드물지만 40, 50대에서도 발생한다. 발병 연령에 따라 65세 미만에서 발병한 경우를 조발성 알츠하이머병, 65세 이상에서 발병한 경우 만발성(노년기) 알츠하이머병으로 구분할 수 있다.
1.2. 병인 및 병태생리
알츠하이머병의 병인 및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과 관련된 이론에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아밀로이드 가설, 타우 단백질의 기능 부전으로 인한 타우 가설, 혈관 손상으로 인한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과 관련된 혈관성 가설 등이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적인 병리 소견은 신경반과 신경섬유 덩어리가 뇌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신경반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포함하는 퇴행된 축삭과 수상돌기 말단이 뭉친 것이고, 신경섬유 덩어리는 기억과 학습을 조절하는 뇌의 해마, 뇌 피질 등의 영역에 있는 비정상적인 신경원의 세포질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와 더불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부족으로 기억과 학습 문제가 나타난다. 중요한 타우 단백질은 중추신경계에서 세포 내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변성이 오면 엉겨서 알츠하이머병의 뇌에서와 같은 신경섬유 덩어리를 형성한다.""
신경반과 신경섬유 덩어리는 신경세포를 죽게 하지만 그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이러한 병리 소견은 인지적 장애가 없는 뇌에서도 발견되지만 알츠하이머병의 경우 훨씬 더 많이 관찰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기억과 인지에 중요한 영역에서 콜린성 신경원을 상실하며, 세로토닌이나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다른 신경흥분전달물질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상실된다. 또한 알츠하이머병은 뇌 피질의 위축과 뉴런 소실이 특히 두정엽과 측두엽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1.3. 임상 증상
1.3.1. 인지기능 저하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은 가장 대표적인 인지기능 저하 증상으로 기억력 감퇴를 보인다. 알츠하이머병의 초기에는 최근의 일이나 대화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등 단기 기억력의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후 병이 진행됨에 따라 과거의 기억까지도 점차 소실되어 자신의 신상 정보나 가족 관계, 과거 직업 등도 잊어버리게 된다.
또한 언어장애도 초기 단계부터 관찰될 수 있는데, 적절한 단어를 찾지 못하거나 대화 중 말이 막히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병이 진행되면서 자발적인 언어 표현이 감소하고 말수도 줄어들며, 심한 경우 앵무새처럼 상대방의 말을 그대로 따라 하는 모습을 보인다.
공간지각능력의 저하로 인해 익숙한 장소에서도 길을 잃거나 집안에서 안방이나 화장실 등을 찾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와 함께 실행, 실인 능력의 저하로 인해 과거에 능숙하게 할 수 있었던 일상동작들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운동화 끈을 매는 것, 밥상 차리기 등의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판단력의 저하로 인해 돈 관리나 생활 주변의 문제 해결 등에서도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외에도 치매 환자들은 다양한 정신행동증상을 동반하는데, 이로 인해 가족들에게 큰 고통을 주게 된다.알츠하이머병은 진행성 치매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인지기능 저하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기억력 저하이다. 초기에는 최근의 일이나 대화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단기 기억력 저하가 나타나고, 이후 점진적으로 과거 기억까지 소실된다. 뿐만 아니라 언어 능력, 공간 지각 능력, 실행 및 실인 능력, 판단력 등 다양한 인지기능이 저하된다.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병 초기에는 적절한 단어를 찾지 못하거나 말이 막히는 등의 언어 장애가 나타나며, 익숙한 장소에서도 길을 찾지 못하는 공간지각능력 저하가 관찰된다. 또한 과거에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었던 일상 동작들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실행, 실인 능력 저하도 특징적이다.
더불어 판단력 저하로 인해 돈 관리, 문제 해결 등의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인지기능 저하 증상들은 점차 악화되어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1.3.2. 행동 및 심리 증상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은 기억력 저하 이외에도 다양한 행동 및 심리증상을 보인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망상, 환각, 초조행동, 공격성, 불안, 우울, 무감동 등이 있다.
우선, 망상은 현실과 맞지 않은 잘못된 생각을 말하는데, 치매 환자들은 남들이 자신의 물건을 훔치거나 해치려 한다는 등의 피해의식에 빠지기도 한다. 또한 환각은 외부에 자극이 없는데도 소리, 시각, 후각, 미각, 체성감각 등의 잘못된 지각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초조행동은 걸어다니거나 문을 열었다 닫는 등 불안정하고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이며, 공격성은 화를 내거나 타인에게 해를 가하는 등의 공격적인 언어 및 행동으로 나타난다. 또한 불안, 우울, 무관심 등의 정서적 증상도 흔히 동반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환자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돌봄제공자들에게도 큰 스트...
참고 자료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 상,하 (9판), 수문사, 2019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 상, 하 (9판), 메디컬사이언스, 2019
한국노인간호학회, 노인간호학, 현문사, 2020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년, 원종순
비판적 간호과정, 김혜령, 신한대학교, NANDA2018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 포널스 출판사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 JMK
EduCase, 핵심임상간호 매뉴얼, 성인간호학
KIMS 의약정보센터 (www.kims.co.kr)
국가건강정보포털 (www.health.mw.go.kr)
변재종, 노인 맞춤운동, 우송대학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학술대회, 2008년
서울 아산병원,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관리, https://www.youtube.com/watch?v=v5yapmVIA0Y
이경희외/(2022)/정신건강간호학/정문각
이은희외/(2021)/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고문사
김영미/(2023)/정신간호학실습3 임상실습지침서/경운대학교 간호학과
서울대학교 N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 15
이연주기자/(2023.7.26.)/“단 한번이라도 ‘우울증’겪었다면,‘치매’위험 2배 높아진다. 왜?”/헤럴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