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재 분석 및 평가
1.1. 교재 분석의 필요성
교육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교사, 교육과정, 교재, 교수 방법 등의 교수 변인과 학습자, 학습 장소, 학습 목표 등의 학습 변인이 이상적인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 가운데서 교재는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 방법, 평가 방법 등을 담고 있으며 교수 변인과 학습 변인이 반영되어 있으므로 교재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일은 효율적인 교수 학습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활동이다."
1.2. 교재 분석 및 평가 기준
1.2.1. 이지영의 교재 분석 기준
이지영(2004)은 교재를 구성(형식)과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재 구성은 교재의 단계, 단원 수 등과 교사용 지침서, 학습자용 워크북 등의 구성물로 세분하였으며, 교재 내용은 주제, 언어, 기능, 과제 및 활용, 문화로 분석하고 그 각각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1.2.2. 배두본의 교재 평가 기준
배두본(1999)은 교재 평가 기준을 교육과정에의 적합성, 구성, 교수 적합성, 언어적 적합성, 교수-학습 활동 유형, 실용성의 6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배두본은 교재 평가 기준을 총 50개의 세부 항목으로 제시하였는데, 각 영역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의 적합성 영역은 교재의 목표, 내용, 교수 요목, 언어 기능, 문화 내용 등이 교육과정의 목표와 부합하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둘째, 구성 영역은 교재의 단원 구성, 단원 내 구성, 보조 자료의 구성 등이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셋째, 교수 적합성 영역은 교수 방법,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유발, 피드백과 평가 등이 적절한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넷째, 언어적 적합성 영역은 언어 자료의 수준, 정확성,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기준이다""
다섯째, 교수-학습 활동 유형 영역은 교재에 제시된 활동이 학습자 중심적이고 의사소통 중심적인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마지막으로, 실용성 영역은 교재의 편의성, 경제성, 활용도 등을 평가하는 기준이다""
이와 같이 배두본은 교재 평가를 위해 다양한 기준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교재의 질적 수준을 면밀히 점검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2.3. 이해영의 학습자 중심 교재 평가 기준
이해영(2001)은 학습자 중심 수업의 교재가 갖추어야 할 구성 요건을 학습자의 요구 반영과 자기 주도적 학습 유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학습자 요구 반영의 경우, 교수-학습상황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수준, 관심사, 목표 등을 파악하고 교재에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주제, 내용, 활동 등을 선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자기 주도적 학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