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흡연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1. 지리적 특성
1.1.2. 인구구조
1.1.3. 건강 수준
1.1.4. 환경 특성
1.1.5.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1.1.6. 오락-휴식
1.1.7. 지역사회자원
1.2. 지역사회 간호진단
1.2.1. 간호진단의 수립
1.2.2.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설정
1.3. 지역사회 간호계획
1.3.1. 간호계획 목표 설정
1.3.2. 간호방법 및 수단 선택
1.3.3. 수행계획
1.3.4. 추진 일정표
1.3.5. 평가 계획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1. 지리적 특성
원주시는 강원도 남서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한강과 섬강을 경계로 경기도 여주시, 양평군, 충청북도 충주시, 제천시와 접해있다. 원주시의 총 면적은 867.6㎢으로 강원도 전체 면적의 5.1%를 차지하고 있으며, 행정구역상 1개의 읍, 8개의 면, 16개의 동으로 구분되어 있다. 원주시는 산이 많은 지역으로 농가가구가 9,512가구이며, 주택(56,980수)과 아파트(10,725수)가 고루 분포되어 있는 도농복합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원주시는 강원도와 경기도, 충청북도 등 2개의 다른 도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1.1.2. 인구구조
원주시의 인구구조는 항아리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총 인구는 376,799명으로 20-60세 중간층 연령대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성별 구성은 남성 49.5%, 여성 50.4%로 전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0-19세 청소년기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30-64세 중년인구와 65세 이상 노년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생산가능 인구가 줄고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연령별 인구 비중을 살펴보면, 0-9세 10.96%, 10-19세 9.38%, 20-29세 12.53%, 30-49세 26.99%, 50-64세 24.19%, 65세 이상 15.95%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장년층 및 노년층에 대한 건강관리와 복지 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1.3. 건강 수준
건강 수준은 원주시의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연간 사고 및 중독 경험률, 현재 흡연율, 월간 음주율, 비만율, 저작불편호소율,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율, 고혈압 진단 경험율, 당뇨병 진단 경험율 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원주시의 연간 사고 및 중독 경험률은 1.28로 전국 대비 28% 높고 강원도 대비 33% 높은 수준이다. 현재 흡연율은 37.7%로 전국 대비 16% 높고 강원도 대비 5% 높은 편이다. 월간 음주율은 1.01로 전국 수준과 비슷하다. 비만율은 1.08로 전국 대비 8% 높은 편이다. 저작불편호소율은 1.04로 전국 수준과 유사하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24.4%로 전국 대비 38% 높고 강원도 대비 31% 높은 수준이다. 우울감 경험율은 1.07로 전국과 유사하다. 고혈압 진단 경험율은 0.97로 전국 수준과 비슷하며, 당뇨병 진단 경험율은 1.00로 전국과 동일한 수준이다.
이를 종합해볼 때 원주시 주민들의 건강수준은 전국 및 강원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사고 및 중독, 흡연,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이 우려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원주시 보건당국은 이러한 건강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1.4. 환경 특성
원주시의 환경 특성은 다음과 같다.
원주시의 연간 강수량은 1,113mm이다. 2021년 대비 강수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기온은 평균 13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원주시의 미세먼지 농도는 43.7㎍/㎥로 측정되었다. 전년 대비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향후 호흡기계 질환 유병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전국 호흡계통 질환 외래환자수는 2020년 94,773,093명에서 2021년 81,199,827명으로 감소하였다.
상수도 보급률은 95.6%, 하수도 보급률은 90.7%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생활폐기물 처리량은 460.6톤 규모이다. 원주시의 주택보급률은 103.32%로 양호한 편이다. 전력 사용량은 7,006.2 MWh 수준이다. 1인당 급수량은 360ℓ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원주시는 깨끗한 환경과 양호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미세먼지 농도 증가로 인한 호흡기계 질환 발생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5.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
원주시의 교통 및 통신 공공시설은 다음과...
참고 자료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2020)
지역건강통계 김해 보건소(2020)
전세계 3억2천만명 우울증…10년새 18% 증가/연합뉴스/ 이광철기자 2017
코로나19로 전세계 우울증 5,300만명↑/메디컬칼트리뷴/박지영기자/2020.
김지은. (2021).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노인의 사회접촉, 우울, 불안 정도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1(12), 870-878.
장우심(Woo-Shim CHANG). "팬데믹 상황(COVID-19)에서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8.4 (2021): 235-246.
허성은 and 김유린. (2021). COVID-19로 인한 우울정도와 구강건강행위, 자가구강건강증상, 삶의 질의 융합적인 관련성.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3), 27-34.
임지선.(2021) 코로나 시대의 스트레스 및 우울감 완화를 위한 온라인 미술치료 프로그램, 한남대학교 대학원
권문선.(2021) 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화상통화 심리도식치료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동명대학교 대학원
세종특별자치시 보건소, 흡연과 건강 https://www.sejong.go.kr/health/sub05_01_06.do
흡연으로 1년간 12조8000억원 사회적 손실 발생/조선일보/ 배준용기자 2021
보건복지부. 2012년도 국가 흡연예방 및 금연사업 안내
보건복지부·질병관리청, 「국민건강통계-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2차년도(2020)
김진실, 강수정, 김대진, 최인영, & 최병선. (2018). 전국 보건소 금연클리닉 신규등록자의 성별 금연 성공요인. 대한보건연구 (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44(1), 17-30.
이혜정, 박소영, 이상진, & 홍창곤. (2019). 한국인 성인 남자에서 흡연이 신체구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1), 413-421.
국가암정보센터, 흡연과 금연 https://www.cancer.go.kr/lay1/S1T204C225/contents.do
보건복지부, 사업장 금연환경조성 우수사례집(2019~2020)
양미영, 안경민, & 손애리. (2013). 직장 남성의 스트레스 및 정서 상태에 따른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4(12), 6364-6372.
박미경, & 변혜선. (2020). 성인 근로자의 금연유지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1(3), 545-557.
김한주, 박진주, 김혜경, & 임민경. (2020). 성인 흡연자의 ‘국가 금연지원서비스’이용 경험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금연학회지, 11(1), 24-31.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김해시청 건강증진과 자료실 https://www.gimhae.go.kr/00954/01023/01
김해시 보건소 https://www.gimhae.go.kr/00976/01553/
최선하 외 1명, 『21C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신광출판사, 2018
권문희·김정임·정혜영·송명경,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 은학사, 2023년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1」, 수문사, 2022년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2」, 수문사, 2022년
강원도 원주시 제8기(2023년~2026년) 지역보건의료계획
국민건강보험 > 건강프로그램 > 금연프로그램 > 금연정보
https://www.nhis.or.kr/nhis/healthin/wbhacc02200m01.do
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원주시 보건소
https://www.wonju.go.kr/health/index.do
원주시통계사이트
http://stat.wonju.go.kr/main.php
원주시청
https://www.wonju.go.kr/www/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