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농업회사 법인 자연하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사회적 경제 조직과 마을기업
1.1. 마을기업의 등장
1.2. 마을기업의 정의
1.3. 마을기업의 현황
2. 월곡영화골 주식회사
2.1. 기관 소개
2.2. 기관 선정 이유
2.3. 미래와 전망에 대한 본인 의견
3. 도시농업과 드론방제 체험학습장
3.1. 현 도시농업 및 드론사업 상황
3.2. 대구 드론 사업 상황
3.3. 도시농업과 드론방제 체험학습장의 접목
3.4. 드론방제체험장의 구체적인 설립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회적 경제 조직과 마을기업
1.1. 마을기업의 등장
영국에서 1978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정부의 역할과 지출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농어촌 지역 발전은 자신의 책임으로 도모하게 되면서 커뮤니티 협동조합이 생겨났는데 이것이 오늘날 마을기업의 모태가 되었다. 당시 대처 정부가 신자유주의 이념에 기반을 두어 중앙정부 주도의 경제정책과 지역개발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노동당이 장악하고 있었던 지방에서는 다소 진보적인 성격의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지역경제개발 방식을 채택했다. 따라서 커뮤니티 비즈니스는 지역공동체가 주체로 지역의 고용 및 지역 발전을 위해 운영되는 조직으로서 영국에서 정부의 실패를 작은 정부 시민사회, 육성을 통해 보완하기 위한 측면에서 등장한 것이다.
1.2. 마을기업의 정의
마을기업은 "지역주민이 각종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공동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 운영하는 마을 단위의 기업"이다.
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지역 내에서 해결이 요구되는 사항이거나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서 지역공동체의 협력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을기업은 지역 자체가 가지고 있는 능력, 즉 자원의 범위 안에서의 운영에 초점을 두며 지역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비즈니스를 추구하고, 궁극적으로 지역공동체 활성화에 목표가 있으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 경제적 수단인 이윤을 추구한다.
마을기업은 지역 커뮤니티별로 가진 자원에 따라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수 있으며 단순히 커뮤니티 활동만으로는 자생할 수 없으며 마을기업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문제해결, 경제활동, 인간성 회복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마을에는 다양한 유형의 자원이 있으며 마을기업에 있어 이러한 지역자원을 유용하게 변환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마을기업의 주체는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며 경영 목적은 지역 문제 해결 및 지역의 활력 제고에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비영리단체와 구별된다.
1.3. 마을기업의 현황
2020년 우리나라 마을기업 현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총 1,652개로, 지역별 마을기업의 숫자는 경기-전남, 충남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마을기업의 유형별 현황 역시 일반식품이 가장 많으며, 783개로 44.7%로 집계됐다. 광역시도별 마을기업의 유형별 분포를 보면 서울특별시를 포함 광역시부터 제주도까지 시·도 모두 일반식품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단 서울을 포함한 광역에서 지역으로 갈수록 일반식품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라남도의 경우 174개 마을기업 중 112개가 일반식품 유형을 보여주고 있으며, 충남의 경우 140여개의 마을기업 중 59개의 마을기업이 일반식품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시도별 마을기업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관광체험, 일반식품, 전통기업 유형에 대해 전국 단위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관광체험은 경기도와 충청남도, 일반식품은 전라남도, 경기도, 경상남도가, 전통기업은 강원도, 경기도 전라남도가 가장 많은 수량을 나타냈다. 행정안전부는 2021년 7월 지역 실정에 적합한 사업을 추진하여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사회공헌 활동 및 지역문제 해결에 기여한 14개소의 우수 마을기업을 발표했다. 이들은 주로 인구 감소지역에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고 궁극적으로 지역에 청년을 유입하고, 지역 주민...
참고 자료
권주형, 서동관, 김운성, 한국과 일본의 마을기업 비교 사회적 기업가 정신과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 8(4), pp.151-166. 기업경영리뷰(2017)
김민석, 남춘모, 김동일, 사회적 경제 영역에서 문화자본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사회적」, 10(2), p.81. 경제와 정책연구(2020)
김상대, 크라우드펀딩 기술수용이 태도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2015)
김상대, 전인오, 크라우드펀딩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통합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27(2), pp.150-156. 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2017)
김세련, 크라우드펀딩의 법적 문제와 개선방안 증권형 ․ 대출형 크라우드펀딩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 논문(2017)
김영임,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사회적 지지감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4), pp.407-419.(2015)
김영섭, 나주몽 마을기업에 대한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참여의도의 영향 요인 분석 확장된 통합기술수용모형 을 적용한 펀딩 경험여부에 따른 집단간 비교, 25(4), pp.1-20(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