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피임 방법의 종류
1.1. 일시적 방법(일회성)
1.1.1. 성교중절법(질외사정법)
성교중절법(질외사정법)은 성행위는 하여도 사정을 질 외에서 하여 정액이 질 내에 들어가지 않게 되어 임신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 특히 젊은 층에서 실패가 많으므로 수태조절법으로 효과가 적다. 이는 널리 쓰이고 있는 피임방법이지만, 엄밀히 말하면 정자가 질 내에 들어가지 않게 하는 것이지 수정을 막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는 수태조절의 효과가 크지 않다. 따라서 성교중절법의 장점은 널리 쓰이고 있다는 점이지만, 단점으로는 실패율이 높다는 것이다."
1.1.2. 질세척법
질세척법은 성교 후 질을 세척하는 방법으로, 정자가 질 내에 들어가는 것을 기계적으로 제거하고 산의 살정효과를 이용하여 피임을 하는 방법이다. 물 또는 물에 식초산을 혼합하여 세척한다.
장점으로는 콘돔 파열 시 응급 처치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단점으로는 질 내 정상 세균총에 변화를 일으키고 질 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특히 질 내 정상 세균총에 변화를 일으켜 여성 건강에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질세척법은 가장 효과가 낮은 피임 방법에 속하며, 적절하지 않은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1.1.3. 다이어프램, 캡
다이어프램과 캡은 고무컵 모양의 장치로 경부를 덮어 정자가 자궁경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물리적 장벽 피임법이다.
다이어프램은 경부를 씌울 수 있게 만든 볼록한 모양의 고무마개로, 가장자리가 있어 가해지는 압박에도 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하지만 고정이 정확하지 않으면 정자가 통과할 수 있으므로 살정제를 넣어 피임효과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살정제는 질 내에서 보통 2시간 효과가 있다. 다이어프램은 2년마다 교체해야 한다.
경부캡은 컵 모양의 부드러운 고무제품으로 요즘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경부캡은 48시간 동안 성교 횟수와 상관없이 한 번 투입된 살정제로 충분하다.
다이어프램과 경부캡은 고정이 정확하지 않으면 정자가 통과할 수 있는 단점이 있지만, 부부가 임신을 원치 않을 때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살정제를 사용하면 피임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사용 중 불편감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1.4. 살정제
살정제란 정자가 경관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물리적, 화학적 차단방법이다. 살정제에는 "거품, 크림, 정제, 좌약, 얇은 막"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살정제는 성교 5~10분 전에 질 안에 깊이 넣어 사용한다. 살정제 단독 사용 시 실패율이 높기 때문에 콘돔이나 페서리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살정제 사용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교 후 6시간 이내에는 질 세척을 하지 않아야 한다. 질 세척 시 살정제의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둘째, 살정제 사용으로 여성에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여성은 성교 후 배뇨를 하여 비뇨기감염을 예방해야 한다. 넷째, 살정제는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전문가의 진찰 없이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살정제는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른 방법에 비해 피임 효과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선의 피임 효과를 위해서는 반드시 콘돔이나 페서리 등의 다른 피임법과 병행하여 사용해야 한다.
1.1.5. 월경주기법
1.1.5.1. 월경력법
월경력법은 월경이 시작된 첫날을 제1일로 간주하여 월경주기를 계산하고, 배란일이 월경주기의 12~16일 사이에 일어난다는 가정 아래 수정 가능한 8일간을 피하는 방법이다. 일본의 오기노 박사가 주장한 월경력법은 비교적 간단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월경주기의 길이가 개인마다 다르며 1~2일씩 차이가 있어 정확한 계산이 어렵다. 따라서 최소 6개월 이상의 월경 기록을 참고해야 한다. 둘째, 월경주기가 불규칙하거나 극단적으로 짧거나 긴 경우에는 배란일 예측이 어렵다. 셋째, 성교 시 자제력이 필요하고 1년 내내 매달 일정 기간 동안 금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넷째, 성교 시 피임기구나 살정제 등 보조적인 피임방법을 병행해야 한다.
따라서 월경력법은 다른 피임방법에 비해 실패율이 높고 부부 간의 성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