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피임의 역사와 현대 사회에서의 인식
1.1. 피임의 역사
피임의 역사는 무려 2천년이나 되었다고 한다. 과거 의학 기술이 발달하기 전의 피임 방법은 의학 기술의 무지함이 가진 비참함의 말로였다고도 볼 수 있다. 과거 피임의 방법을 거슬러 살펴보면 이집트같은 경우에 남성의 음경에 헝겊을 둘러 쌓은 모습을 볼 수 있으나 이것은 피임보다는 벌레 쏘임을 방지했던 것이라고 한다. 현대 사회에서 바라 보았을때 그 모습은 피임의 종류중 하나이나 그 당시에는 피임이 이러한 체계적인 방법이 아닌 미신과 같은 민간요법이 더 많았다. 고대 그리스 같은 경우에는 섹스 후 재채기를 한다거나 7번정도 뒤로 팔짝 뛰라는 지침이 있는데 이것은 정액을 질 밖으로 흘러내게 하기 위한 시도였다. 그 외는 악어의 똥을 먹거나 질을 자극하는 모종의 물질과 벌꿀과 탄산나트륨을 배합하여 질 내에 넣기도 했고 마른 똥을 질안에 넣거나 아편 뭉치를 질 안에 넣고 금속 물건을 질 안에 넣는등 현대에 와서는 도저히 이해하기 힘든 피임 방법이 많았다. 하지만 인간의 섹스에 대한 욕구와 남녀간의 사랑에 교류에 대한 욕구는 남달랐고 의학 기술이 발달혀 현대에는 아주 안전하고 건강한 피임법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1.2. 현대 사회에서의 피임에 대한 인식
현대 사회에서의 피임에 대한 인식은 사회 문화와 관습에 따라 달라진다. 출산율이 높거나 세속주의적인 사회에서는 성문화가 개방되어 피임이 권장되지만, 이슬람 율법주의와 일부 기독교 교파, 유대교 같은 경우에는 피임이 금기시된다. 한국 사회 또한 과거에는 유교적 문화로 인해 피임에 대한 거부감이 높았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산아제한 정책 이후에는 피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피임법이 발전하여 피임률도 높아졌지만, 실패율에 대한 관심이 여전히 크다. 이처럼 현대 사회에서는 피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으나, 각 사회와 문화에 따라 여전히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3. 피임에 대한 각국의 입장
피임에 대한 각국의 입장은 국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출산율이 높거나 세속주의적인 사회에서는 성문화가 개방되어 있어 피임이 권장되지만, 이슬람 율법주의와 일부 기독교 교파, 유대교 등에서는 피임이 금기시된다.
한국 사회 또한 과거에는 유교적 문화로 인해 피임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산아제한 정책 이후 피임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다. 현재 한국에서는 피임법을 제공하고 교육하는 등 피임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2. 다양한 피임법 소개
2.1. 콘돔
2.1.1. 남성용 콘돔
남성용 콘돔은 라텍스 고무 재질의 피임용 도구로, 성교 시 발기된 성기에 씌워서 사용한다. 사정 시 정액이 여성의 질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고 고무 재질로 인한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여 임신과 성병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현대 사회에서 남성용 콘돔은 가장 대표적이고 보편적인 피임법 중 하나이다. 콘돔은 휴대가 간편하고, 각 모텔이나 호텔 등에 항상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법이 간단하여 발기된 성기에 씌우고 사정 후 빼서 버리기만 하면 된다는 점에서 편리하다. 또한 가격이 저렴한 편이고 편의점이나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다. 그러나 콘돔도 완벽한 피임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격렬한 성교로 인해 콘돔이 찢어지거나 빠질 수 있고, 사정 직후에 바로 콘돔을 제거하지 않으면 정액이 누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라텍스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이처럼 남성용 콘돔은 편리성과 경제성이 있지만 완벽한 피임 효과는 아니므로, 보조적인 피임법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
2.1.2. 여성용 콘돔(페미돔)
여성용 콘돔(페미돔)은 남성용 콘돔과 달리 여성의 성기 내부에 장치되어 사용하는 피임기구이다. 페미돔은 콘돔의 여성용 버전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름 또한 여성을 뜻하는 Feminine과 콘돔을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페미돔은 거대한 콘돔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끝이 볼록 튀어나온 콘돔과 달리 끝이 둥글고 조그만 플라스틱 링이 들어 있다. 이 링을 쥐고 페미돔을 질 안에 깊숙이 넣으면 착용이 된다.
페미돔의 가장 큰 장점은 여성이 자신의 의지로 피임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여성 입장에서 엄청난 장점이 된다. 왜냐하면 남성들은 여성보다 피임이나 성병 예방에 무관심한 경향이 있고, 콘돔을 착용하기를 부탁하면 거절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의 피임은 남성의 피임보다 훨씬 까다롭고 번거롭다. 예를 들어 여성은 독한 약을 한번이 아닌 며칠동안 빠짐없이 꼬박꼬박 먹어야 하는데, 이에 비하면 페미돔이 얼마나 여성들에게 편리함을 주었는지 알 수 있다.
페미돔의 또 다른 장점은 보호하는 신체부위가 남성용 콘돔보다 넓다는 것이다. 성병은 정액만 조심하면 다 막아지는 것이 아니다. 일부 성병은 외음부 접촉 등을 통해 옮는 것도 있기 때문에, 페미돔은 외음부를 덮어버리므로 이러한 성병에 대해서도 보호받을 수 있다. 이는 페미돔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이다.
그 외에도 페미돔은 편하고 매끄러우며 윤활제가 발려 있어 질 내부가 건조한 여성들도 통증없는 잠자리를 가질 수 있다는 점, 성행위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 등 많은 장점이 있다. 특히 다이어프램이나 자궁경부캡과 달리 골반계측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점도 편리하다.
반면 단점으로는 콘돔에 비해 가격이 비싸다는 점, 섹스 중 발기가 되어야 콘돔을 낄 수 있는 것과 달리 건조한 질 내에 페미돔을 착용하기 어려워 인공 윤활액을 병행해야 한다는 점, 풍선속을 쑤시고 있다는 느낌을 줘 쾌감을 방해한다는 점 등이 있다. 또한 남성이 콘돔을 착용하는 것에 비해 착용이 더디다는 단점도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페미돔은 여성에게 피임의 주도권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가격이나 착용의 편리성 등에서 남성용 콘돔에 비해 부족한 면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여성의 피임 선택권을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페미돔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경부차단법
2.2.1. 다이아프램
다이아프램은 경부차단법 중 하나로, 볼록한 모양의 고무마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