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사회의 다양성 및 복합성은 일련의 사건·상황을 유발시키고, 이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발생시켜 개인과 가족의 생존과 행복에 위협을 주는 부정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와 방안을 갖고 있지 못하여 위기·취약가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기·취약가족은 경제적 자원, 물적자본, 인적자본, 사회자본 등 가족 내·외적 자원이 부족하여 가족의 기능 및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족지원정책의 필요성이 강력히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어떤 가족이든 사고, 문제, 갈등의 상황에 처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과거에 학생 본인의 가족이 겪은 문제를 Hill의 ABCX 모델에 적용하여 설명하고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스트레스 상황을 잘 극복하기 위하여 어떤 노력을 기울일 것인지 ABCX 모델의 B요인과 C요인으로 나누어 본인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서술해 보겠다.
2. Hill의 ABCX 모델 개요
2.1. ABCX 모델의 구성 요소
ABCX 모델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먼저 A 요인은 스트레스원으로, 가족체계에 변화를 일으키는 생활사건이나 긴장을 의미한다. 이는 통례적인 사건과 비통례적인 사건, 그리고 외적 스트레스 요인과 내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구분된다. 통례적인 사건은 예측 가능한 발달적 변화를 의미하며, 비통례적인 사건은 예기치 못한 변화를 말한다. 또한 외적 스트레스 요인은 사회적, 신체적, 환경적 요인에서 기인하고, 내적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 또는 가족 내부의 상황에서 발생한다.
B 요인은 위기극복을 위한 자원으로, 가족이 위기 발생 전부터 이용할 수 있었던 자원을 의미한다. 이는 가족구성원의 개인적 자원, 가족체계의 지원, 그리고 사회적 지지 자원으로 구분된다. 개인적 자원에는 인지 능력, 가정관리 능력, 자립 능력, 재정, 교육, 건강 등이 포함된다. 가족체계 자원에는 의사결정 능력, 개방적 의사소통, 응집성 및 적응성 등이 해당된다. 사회적 지지 자원에는 친구, 이웃, 지역사회, 사회기관의 보조 등이 포함된다.
C 요인은 스트레스원에 대한 가족의 인지를 말한다. 이는 가족이 경험하는 위기 상황에 부여하는 의미로, 스트레스와 긴장을 야기하는 요인에 대한 개인이나 가족의 지각 여부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X 요인은 위기 반응 및 결과를 말한다. 이는 스트레스원(A), 가족의 자원(B), 스트레스원에 대한 가족의 인지(C)가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최종적인 가족의 반응과 결과를 의미한다. 즉, 가족이 경험하는 위기 상황과 그에 대한 적응 양상을 나타낸다.
2.2. 가족 스트레스와 위기 대처 방식
가족 스트레스는 가족생활에서 발생하는 긴장이나 위험으로, 가족원들이 이를 인지하는 어려움의 정도와 정서적 반응을 의미한다. 가족 스트레스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가족생활 중 발생하는 사건으로 인한 육체적·정신적 고통인 디스트레스(Distress)이고, 다른 하나는 긴장으로 인해 가족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유스트레스(Euistress)이다.
Hill의 ABCX 모델에 따르면, 가족의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적응 과정은 스트레스원(A), 가족의 위기 극복 자원(B),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가족의 지각과 판단(C), 그리고 가족의 위기(X)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모델에서 중요한 개념은 A, B, C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X요인의 발생 여부와 성격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첫째, 스트레스원(A)은 개인이나 가족체계에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생활사건이나 긴장을 의미한다. 이는 예측 가능한 통례적 사건과 예기치 못한 비통례적 사건, 그리고 외적 요인과 내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례적 사건은 개인의 발달 과정에서 예측 가능한 변화이고, 비통례적 사건은 예상하지 못한 변화를 말한다. 외적 스트레스 요인은 사회적, 신체적, 환경적 요인에서 발생하는 고통스러운 사건이며, 내적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 또는 가족 내부의 상황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둘째, 위기 극복을 위한 자원(B)은 위기 발생 전부터 가족이 이용할 수 있었던 자원으로, 스트레스의 충격을 최소화하거나 위기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원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