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13. 음극선의 편향
실험 13. 음극선의 편향은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편향 현상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 목적은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편향 현상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다. 음극선관은 전자를 발생시키고 가속시켜 화면에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로, 전자의 편향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실험 도구이다.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가속전압을 고정시키고 편향판 전압을 변화시킨 첫 번째 실험에서는 편향판 전압이 커질수록 음극선이 더 많이 편향되어 스크린 상에서의 y 좌표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편향판 사이의 전압을 고정시키고 가속전압을 변화시킨 두 번째 실험에서는 가속전압이 커질수록 음극선의 편향 정도가 작아져 y 좌표가 작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과 분석을 통해, 가속전압을 고정시키고 편향판 전압을 변화시킨 경우 편향판 전압이 커질수록 음극선의 편향 정도가 커지는 비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편향판 사이의 전압을 고정시키고 가속전압을 변화시킨 경우에는 가속전압이 커질수록 음극선의 편향 정도가 작아지는 반비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험 과정에서 음극선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오차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토의 부분에서는 실험 조건별로 전자의 속력을 계산해보고, 전자빔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측정하여 전자들 사이의 척력을 계산해보았다. 또한 편향전압이 0일 때 전자빔이 편향되는 이유와 근거를 지구자기장의 영향으로 설명하였다.
이 실험은 음극선관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전자의 편향 현상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실험이다. 전자의 운동에 미치는 전기장과 자기장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오차 요인을 고려하여 실험 결과를 보다 정확히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1.1. 실험 제목
실험 13. 음극선의 편향이다.
실험 13. 음극선의 편향은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편향 현상을 직접 확인하는 실험이다. 전자가 운동하는 과정에서 전기장의 영향을 받아 편향되는 모습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이 이 실험의 핵심 목적이다.
1.2. 실험 목적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편향 현상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전자빔이 전기장에 의해 어떤 방향으로 편향되는지, 전기장의 세기와 가속전압의 변화에 따라 편향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전자의 전하와 질량, 속도 등의 물리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지구자기장의 영향으로 인한 전자빔의 편향 현상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음극선관의 기본적인 구조와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가속전압, 편향판 전압, 저항 등 실험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전자빔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분석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전자의 전하, 질량, 속도 등의 물리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전기장과 자기장이 전자의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1.3. 실험 결과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속전압을 고정시켰을 때 실험 결과이다. 가속전압을 200V로 고정하고 편향판 전압을 0V, 20V, 25V, 30V로 변화시켰다. 편향판 전압이 0V일 때 편향되지 않아 y값이 0cm로 나왔으며, 20V, 25V, 30V로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편향된 정도가 1.3cm, 1.6cm, 1.8cm로 점점 커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편향판 전압이 증가할수록 전자의 편향 정도가 커지는 비례관계를 잘 보여준다."
둘째, 편향판 사이의 전압을 고정시켰을 때 실험 결과이다. 편향판 전압을 20V로 고정한 상태에서 가속전압을 150V, 175V, 200V로 변화시켰다. 가속전압이 150V일 때 편향된 정도가 1.8cm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175V, 200V로 가속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편향된 정도가 1.7cm, 1.3cm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가속전압이 증가할수록 전자의 속력이 빨라져 편향이 감소하는 반비례관계를 잘 보여준다."
1.4. 결과 분석
음극선의 편향 실험에서 결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가속전압을 고정시켰을 때의 실험 결과를 보면, 가속전압을 200V로 고정시키고 편향판 전압을 변수로 정하여 각각 0V, 20V, 25V, 30V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표를 보면 0V일 때의 오차율은 0%, 20V일 때의 오차율은 42.29%, 25V일 때의 오차율은 43.18%, 30V일 때의 오차율은 46.73%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편향판 전압이 높아질수록 전자의 편향 정도가 커지는 비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험방법상의 한계로 인해 오차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정밀한 위치 측정이 어려웠기 때문에 편향된 음극선의 정확한 위치를 표시하지 못한 것이 주된 오차 요인이었다.
두 번째로 편향판 사이의 전압을 고정시켰을 때의 실험 결과를 보면, 편향판 사이의 전압을 20V로 고정시키고 가속전압을 변수로 정하여 150V, 175V, 200V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표를 보면 150V일 때의 오차율은 40.07%, 175V일 때의 오차율은 33.27%, 200V일 때의 오차율은 42.29%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해 가속전압이 높아질수록 전자의 편향 정도가 줄어드는 반비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가속전압의 차이를 25V로 설정한 것이 다소 작은 편이었고, 이 때문에 편향된 음극선의 위치 차이를 뚜렷하게 관찰하기 어려웠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 분석을 통해 음극선의 편향 실험에서는 전압 변화에 따른 전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