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장폐색은 소화와 흡수, 배설능력에 변화를 가져오며 영양결핍과 체중감소를 초래하는 위험한 질환이다. 이론으로만 접하던 장폐색 질환을 가진 대상자를 직접 마주하면서, 이 질환의 치료 방법, 발병 원인,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에 대해 깊이 있게 알고 싶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폐색에 대해 심층적으로 공부하고, 향후 임상에서 관련 질환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2. 장폐색 개요
2.1. 소장의 구조와 기능
소장은 샘창자(십이지장), 빈창자(공장), 돌창자(회장)로 구성되며 그 길이는 성인의 경우 약 6m 정도이다. 소화관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은 복강동맥, 위창자간막동맥, 아래창자간막동맥이며, 작은 창자의 혈액 공급은 위창자간막동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소장 벽은 점막층, 점막밑층, 근육층, 장막층의 4층으로 구성된다. 점막층은 가장 안쪽 층으로 얇은 평활근과 외분비샘세포를 포함하며, 점막밑층은 결체조직으로 되어 있다. 근육은 돌림층과 세로층으로 된 민무늬근으로 관을 따라 내용물을 이동시킨다. 내벽은 모세혈관과 림프선이 들어있는 약 400만~500만 개의 융모로 되어 있어 소화와 흡수를 도와준다. 소장에서는 하루 8.0~8.5L 정도의 수분, 영양소, 전해질, 비타민 등이 대부분 흡수된다. 샘창자는 철분, 마그네슘, 칼슘,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을 흡수하고, 빈창자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흡수한다. 이자에서 분비되는 아밀라제에 의해 탄수화물이 분해되며, 이자와 담즙산염에 의해 지방이 유화되어 흡수된다. 또한 소장 벽의 효소에 의해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흡수된다. []
2.2. 장폐색의 정의
장폐색의 정의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장폐색은 소장에서 발생하고 약 15%정도가 대장에서 발생한다. 기계적인 원인으로 장이 막히는 경우(기계적 장폐색)와 장의 운동이 중지되어 기능적으로 폐쇄되는 경우(마비성 장폐색)가 있다. 기계적 장폐색은 어떤 원인에 의해 장 내용물이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종양, 유착, 장중첩, 감금탈장, 꼬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