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갑상선절제술 간호과정 a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갑상선절제술 간호과정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갑상선절제술 간호과정
1.1.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
1.1.1. 정의
1.1.2. 원인
1.1.3. 증상
1.1.4. 진단
1.1.5. 치료
1.2. 수술실 관리
1.2.1. 수술명 및 수술정보
1.2.2. 수술기구 및 장비
1.2.3. 수술과정
1.3. 회복실 관리
1.3.1. 간호사정
1.3.2. 간호진단
1.3.3. 간호계획
1.3.4. 간호수행
1.3.5. 간호평가
1.4. 참고문헌

2. 갑상선암 간호과정
2.1. 대상자 기본사항
2.1.1. 이름, 성별, 연령, 진료과
2.1.2. 진단명
2.1.3. 병력
2.2. 갑상선암의 병태생리
2.2.1. 원인
2.2.2. 발생빈도
2.2.3. 증상
2.3. 진단 및 검사
2.3.1. 초음파검사 및 전산화단층촬영
2.3.2. 미세침흡인세포검사
2.3.3. 유전자 검사
2.3.4. 갑상선 기능검사
2.4. 치료
2.4.1. 갑상선 전절제술 및 엽절제술
2.4.2. 방사성 요오드 치료
2.5. 합병증 및 간호
2.5.1. 합병증
2.5.2. 간호중재

3. 갑상선절제술 간호중재
3.1. 수술 후 호흡기능 관리
3.1.1. 활력징후 모니터링
3.1.2. 호흡양상 사정
3.1.3. 산소요법 및 체위 관리
3.1.4. 호흡운동 교육
3.2. 수술 후 통증 관리
3.2.1. 통증사정
3.2.2. 진통제 투여
3.2.3. 이완요법 적용
3.2.4. 통증 완화 교육
3.3. 수술 후 합병증 예방
3.3.1. 출혈 및 출혈징후 관찰
3.3.2. 신경손상 및 부갑상선기능저하 예방
3.3.3. 감염 예방을 위한 관리
3.4. 퇴원 교육 및 관리
3.4.1. 퇴원 시 환자 교육
3.4.2. 퇴원 후 추후 관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갑상선절제술 간호과정
1.1.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
1.1.1. 정의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이란 갑상선 세포의 과증식으로 조직의 어느 한 부위가 커져서 혹을 만드는 경우를 말한다. 갑상선 결절은 가장 흔한 내분비질환 중 하나로, 성인의 4~7%에서 임상적으로 만져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그 발생률도 함께 증가하며, 여성에게서 남성보다 3~4배 더 잘 발생한다. 갑상선 결절 중 암의 비율은 지역에 따라 4~25% 사이로 보고되고 있다.


1.1.2. 원인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의 원인은 다양한 환경적 소인과 유전적 소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이다. 요오드 결핍 등 갑상샘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환경인자로 인해 과증식성 결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갑상샘 세포에서 만들어내는 콜로이드라는 액체 성분이 축적되어 콜로이드 결절이 생길 수 있으며, 림프구성 갑상선염 등의 염증으로 인해 갑상샘염성 결절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 외에도 기존의 결절이 괴사 및 변성을 일으켜 낭성 결절이 생길 수 있다. 종양성 결절의 경우, 대부분 양성이지만 4~25% 정도가 악성 결절(갑상선암)로, 이 경우 여러 유전자 변이가 병인으로 작용한다.


1.1.3. 증상

대부분의 갑상선 결절은 갑상선암이라 하더라도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일부의 환자에서는 결절이 주위 조직인 식도나 기도를 압박하여 연하(삼킴) 곤란,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그 밖에도 결절 안에서 출혈성 괴사가 일어나거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갑상선염이 발생하는 경우, 수일 사이 통증을 동반하면서 갑자기 결절이 커지기도 한다. 수개월 사이에 비교적 갑자기 크기가 커지는 경우 갑상샘암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또한 주위 조직에 유착되어 자라기 때문에 성대를 침범하여 목이 쉬거나, 기도 압박으로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갑상선 결절 중 암의 비율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4~25% 사이로 보고되어 있다. 일부 유전성 질환과 방사선 노출과 연관된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갑상선 결절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양한 환경적 소인과 유전적 소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갑상선 결절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과증식성 결절, 콜로이드 결절, 염증성 결절, 낭성 결절 그리고 갑상선 암이 포함되어 있는 종양성 결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양성 결절인 과증식성 결절은 요오드 결핍 등과 같이 갑상샘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환경인자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로이드 결절, 갑상샘염성 결절, 낭성 결절 등 다양한 종류의 결절이 있다. 종양성 결절은 대부분 양성 결절이지만 4~25% 정도가 악성 결절(갑상선암)로서, 이 경우 여러 유전자 변이가 병인으로 알려져 있다.


1.1.4. 진단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은 갑상선 세포의 과증식으로 조직의 어느 한 부위가 커져서 혹을 만드는 경우를 말한다. 갑상선 결절은 가장 흔한 내분비질환 중 하나로, 성인의 4~7%에서 임상적으로 만져진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도 증가하며, 여자에서 남자보다 3~4배 더 잘 발생한다. 갑상선 결절 중 암의 비율은 지역마다 다양하게 4~25% 사이로 보고되어 있다.

일부 유전성 질환과 방사선 노출이 연관된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갑상선 결절의 발생 원인은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다양한 환경적 소인과 유전적 소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갑상선 결절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과증식성 결절, 콜로이드 결절, 염증성 결절, 낭성 결절 그리고 갑상선암이 포함되어 있는 종양성 결절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갑상선 결절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결절이 주위 조직인 식도나 기도를 압박하여 연하곤란,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결절 안에서 출혈성 괴사가 일어나거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갑상선염이 발생하는 경우, 수일 사이 통증을 동반하면서 갑자기 결절이 커지기도 한다. 악성 결절인 경우 주위 조직에 유착되어 자라기 때문에 성대를 침범하여 목이 쉬거나, 기도 압박으로 호흡곤란, 기침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다.

갑상선 결절의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 갑상선 스캔, 갑상선 초음파, 미세침흡인세포검사 등의 검사가 시행된다. 혈액검사에서는 대부분 정상 갑상선 기능이 확인된다. 갑상선 스캔은 결절이 기능성인지를 감별하고, 초음파 검사는 결절의 크기와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미세침흡인세포검사는 악성 여부를 가장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양성 결절의 경우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로 추적 관찰할 수 있으며, 암이 의심되거나 갑상선종이 크게 커져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다. 기능성 결절은 수술, 방사성 요오드 치료, 고주파 절제술 등의 치료가 시행되며, 갑상선암의 경우 수술 후 갑상선 호르몬 억제 요법과 방사성 요오드 치료 등의 추가 치료를 받게 된다.


1.1.5. 치료

갑상선 결절의 치료는 결절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양성 갑상선 결절의 경우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와 추적 관찰을 실시한다. 그러나 암이 의심되거나 결절의 크기가 커져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수술 대상이 되는 갑상선 결절 중에서도 무증상의 작은 크기의 결절은 경과 관찰만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하지만 결절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주변 구조물을 압박하여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악성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등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수술의 종류로는 갑상선 엽절제술, 갑상선 전절제술 등이 있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동반한 결절의 경우에는 수술 외에도 방사성 요오드 치료나 고주파 절제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다. 방사성 요오드는 갑상선 기능을 억제하고 결절을 축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고주파 절제술은 초음파 유도 하에 결절을 직접 소작하여 크기를 줄이는 방법이다.

이처럼 갑상선 결절의 치료는 개별 환자의 특성과 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되며, 수술, 약물 요법, 방사선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1.2. 수술실 관리
1.2.1. 수술명 및 수술정보

Right thyroid lobectomy이다. 수술 시간은 08:35-11:20이며, 전신마취로 진행되었다. 절개 크기는 5cm이고, 출혈량은 25cc이다.


1.2.2. 수술기구 및 장비

전동식의료용 칼(에너지 디바이스)인 Harmonic scalpel과 Harmonic focus는 조직을 절개하고 지혈하는 데 사용된다. Bovie pencil, Bovie plate, Bovie tip cleaner(anti fog)는 전기소작기로 조직을 절개하고 지혈할 때 사용된다.

수술을 위한 thyroid pack에는 1개의 Back Table cover, 4개의 scrub towels, 4개의 Gowns, 1개의 Mayo stand cover, 1개의 suture bag, 4개의 Utility Drapes, 1개의 Thyroid Drape, Arm board covers, diamond fenestration, tube holders 등이 포함된다.

needle counter, gauze 4x4 20개와 4x8 20개, polysorb 4-0, vicryl 4-0, vicryl 6-0, nylon 6-0 등의 봉합사, irrigation syringe, 크린조, scrub povidone, povidone, forceps, marking pen, suction tube, Baro-vac, towel, bowl, 무영등 손잡이, guardix SG 유착방지제, surgical fibrillar 지혈제 등의 기구와 물품이 사용된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neck set 기구들이 준비되는데, Senn(sharp) Adson tissue, Allis, Senn(blunt), ABD suction tipe, kocher, Small richardson ret, knife handle No.3, Babcock, Army navy knife handle No.7, Fine hemostate str., vein ret, Needle holder(General), Fine kelly, Cushing forceps, Needle holder(Intestine), Mosquito cur., Dressing forceps, Kelly(blunt), Towel clip, sponge forcep kip, needle holder, Mayo scissor str., right angle 大, right angle 小, Mayo scissor cur., metzenbaum scissors 5", metzenbaum scissors 7", General cut scissor, Kidney basin 등이 포함된다.


1.2.3. 수술과정

우선 환자의 활력징후를 안정될 때까지 15분마다 확인하며 이상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이후 12시간 동안 30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이는 수술 후 출혈과 호흡기 폐쇄의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이다.

의식이 돌아오면 세미파울러 자세를 취하게 하여 머리와 몸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고, 수분을 천천히 섭취하도록 한다. 오심과 구토가 있는 경우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이후에는 연식을 섭취하게 한다.

통증 완화를 위해 메페리딘 50~100mg을 필요에 따라 3~4시간 간격으로 투여한다. 이는 수술 초기 통증을 줄이고 안정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심호흡과 기침은 30분마다 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구강과 기도의 분비물을 흡인한다. 이는 점액이나 기도, 기관지, 폐에 차이 발생하여 호흡기 폐쇄로 인한 무기폐나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기관절개 세트와 산소는 방안에 준비해두어 출혈이나 성문의 부종, 후두신경 손상으로 인한 급성 호흡기 폐쇄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폐음이 깨끗해질 때까지 계속 가습을 시킨다.

수술 후 24시간 동안 4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는데, 이는 갑상선 위기의 첫 징후가 체온 상승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수술 과정에서는 활력징후 및 호흡, 통증, 출혈 등 다양한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모니터링하며, 필요한 간호중재를 신속히 수행함으로써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정적인 회복을 도모한다.


1.3. 회복실 관리
1.3.1. 간호사정

갑상선 결절 대상자의 인구학적 정보 및 병력을 파악한다. 대상자의 이름, 성별, 연령, 진료과를 확인하고 진단명과 병력을 확인한다. 관련 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현재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대상자는 Rt. thyroid 4.3cm Tracheal deviation(기관 전위) 소견으로 수술을 위해 내원한 48세 여성 환자이다. 검사 결과, 갑상선 결절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수술이 필요한 상태이다.

대상자의 신체 증상을 확인한다. 갑상선 결절로 인한 증상과 그 양상,...


참고 자료

윤은자 등. (2021). 성인간호학 1. 수문사.
윤은자 등. (2021). 성인간호학 2. 수문사.
송경애 등 (2021). 기본간호학 1. 수문사.
박정수 등 (2000),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전통적 갑상선 수술법의 변형술식.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제16권 제2호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갑상선 결절 thyroid nodule. 23.11.28
Goguma 블로그, Thyroidectomy
Total thyroidectomy, “AMI 2020 webinar weries” https://meetingarchive.ami.org/2020/project/total-thyroidectomy/. 23.11.29
Clayman thyroid cancer center youtube. “Left Thyroid Loectomy”.https://www.youtube.com/watch?v=EhQ-yXqB8no. 23.11.29
Thyroidectomy, “Icahn school of medicine”. https://www.youtube.com/watch?v=DPMCWGvHlho&t=470s. 23.11.29
Ethicon youtube. “Thyroidectomy using HARMONIC FOCUS®+ Shears with Dr. Pellitteri”. https://www.youtube.com/watch?v=2tCajgpPcGo. 23.11.19
Columbia University Department of Surgery Youtube. “Surgery for thyroid Disease: Minimally invasive Thyroid Lobectomy”. https://www.youtube.com/watch?v=QOQYRDA8z_E. 23.12.01
부산백병원 신규간호사 OR procedure: thyroidectomy
김원배, “갑상선암의 치료 지침”, 대한내과학회지(2009), vol.77(5)
김지수, “갑상선암의 광음향 분석 기술”, International Journal of Thyroidology(2022), vol.15(1), pp.23-27.
이은경, “예후가 좋지 않은 갑상선암에 대한 최신 치료 방침”,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2022), vol.38(1), pp.1-9.
문희정 외 2명, “한 눈에 보는 베데스다 갑상선 세포병리 보고체계”, 대한초음파의학회지(2011), vol.30(1)
Francesco Paolo Prete, “Transaxillary robotic-assisted thyroid surgery: technique and results of a preliminary experience on the Da Vinci Xi platform”, Prete et al. BMC Surgery(2019), vol.18(1)
국가암정보센터 홈페이지(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2/cancer/view.do?cancer_seq=3341)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94)
윤은자 외,(2020), 아홉 번째판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윤은자 외,(2020), 아홉 번째판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 찬 외,(2020), 인체의 구조와 기능2, 은학사
박억숭 외,(2019), 병리학, 수문사
성민혜 외,(2019),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