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인공 호흡기의 이해와 적응증
인공 호흡기는 호흡부전이 있는 환자의 효과적인 환기와 산소화를 도와주는 의료기기이다. 주된 적응증으로는 무호흡 상태, 호흡부전, 산소-이산화탄소 수준 유지가 어려운 경우, 장기간 자발적 환기가 불가능한 경우, 두개내압 상승, 심장질환 환자의 호흡부담 감소 등이 있다. 인공 호흡기는 환자의 자발 호흡 여부와 정도에 따라 필수 호흡과 보조 호흡을 적절히 제공하여 생리적 환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인공 호흡기는 호흡 부전이 있는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2. 인공 호흡기의 작동 원리 및 모드
인공 호흡기는 환자의 폐를 보조하여 적절한 환기와 산소 공급을 유지하는 장치이다. 인공 호흡기는 환자의 호흡 상태에 맞추어 다양한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인공 호흡기의 주요 작동 모드에는 Volume Control modes와 Pressure Control modes가 있다. Volume Control modes는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유지하는 방식이고, Pressure Control modes는 정해진 기도압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Volume Control modes의 대표적인 모드로는 AC(Assist Control Ventilation), CV(Control Ventilation), 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가 있다. AC 모드는 환자의 자발 호흡과 기계 호흡을 모두 제공하고, CV 모드는 기계 호흡만을 제공한다. SIMV 모드는 환자의 자발 호흡과 기계 호흡을 함께 제공한다.
Pressure Control modes의 대표적인 모드로는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S(Spontaneous Ventilation), S/T(Spontaneous/Timed Ventilation), T(Timed Ventilation), PC(Pressure Control Ventilation), PC-SIMV(Pressure Controlled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가 있다. CPAP 모드는 연속적인 양압을 제공하고, S 모드와 S/T 모드는 자발 호흡을 지원한다. T 모드는 기계 호흡만을 제공하며, PC 모드와 PC-SIMV 모드는 압력 제어 방식의 호흡을 제공한다.
이처럼 인공 호흡기는 환자의 호흡 상태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작동 모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의료진은 환자의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여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고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호흡 보조를 제공할 수 있다.
2. 환자 사례
2.1. 자발적 환기장애
대상자는 폐렴으로 인한 자발적 환기장애를 겪고 있다. 대상자는 home ventilator PSV 모드로 적용 중이며, 주요 활력징후는 IPAP 14, EPAP 4, RR 16, FiO2 0.28이다. 대상자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과거력이 있다.
현재 대상자의 폐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폐음 청진 시 양쪽 폐에서 호기 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들리며, 기관지내시경 검사 결과 기관지에 다량의 농성 분비물이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