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임상병리학과 소개
1.1. 임상병리학과의 특징
임상병리학과는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혈액, 체액, 소변, 조직 등을 분석하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의 진단과 치료, 예후 판단에 필요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의 지식이 융합된 응용학문이다. 임상병리사는 암, 심장질환, 당뇨병 등 많은 질환을 규명하고 치료하는데 필수적인 데이터를 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인간의 건강증진을 목표로 발전하고 있는 의학과 자연과학 지식을 임상에 접목하여 첨단 의생명과학 전문가를 양성한다. 따라서 임상병리학과는 인간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질병 진단, 검사방법 연구, 질병 예방 및 보건복지 증진, 생명공학 분야 등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1.2. 진단검사의학의 역할
진단검사의학의 역할이다. 진단검사의학은 혈액이나 체액, 소변, 조직 등을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진단과 치료 및 예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암, 심장질환, 당뇨병 등 많은 질환을 규명하고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를 산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인간의 건강증진을 목표로 의학과 자연과학 학문의 첨단 지식을 임상에 접목하는 역할을 한다.
1.3. 임상병리사의 전문성
임상병리사는 인간의 질병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정보를 산출하는 의료 전문인이다. 임상병리사는 혈액, 체액, 소변, 조직 등을 화학, 생물학, 물리학, 유전학적으로 분석하여 질병의 진단, 치료 및 예후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신뢰성 있는 정확한 검사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임상 화학, 진단 혈액학, 임상 미생물학, 임상 면역학, 수혈의학, 진단조직세포학, 세포유전학 및 분자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한다. 이를 통해 암, 심장질환, 당뇨병 등 많은 질환을 규명하고 치료하는데 기여하며, 인간 생명현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검사 방법을 연구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질병 예방, 보건복지증진, 생명공학 등 관련 산업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2. 임상병리학과 졸업 후 진로
2.1. 공공부문 취업 분야
임상병리학과 졸업생들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직 및 의료 기술직으로 진출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경찰청 검사관, 적십자혈액원, 국립보건원, 보건소 등에서 일할 수 있다. 이들 기관에서 임상병리학과 졸업생들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다양한 검사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