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풀마인드케이스스터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최초 생성일 2024.09.04
8,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뷰티풀마인드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요
1.1. 존 내쉬 교수의 생애
1.2. 조현병 증상 및 경과

2. 신체 및 정신 사정
2.1. 인적사항
2.2. 신체사정
2.3. 정신상태 사정

3. 성장발달 및 가족력
3.1. 성장발달
3.2. 가족력

4. 간호진단 및 계획
4.1. 간호진단
4.2. 간호계획

5. 약물치료 및 정신치료
5.1. 약물치료
5.2. 정신치료

6. 간호수행 및 평가
6.1. 간호수행
6.2. 간호평가

7. 사례관리기록
7.1. 환자 정보
7.2. 개인력
7.3. 정신과 병력 및 기타 병력
7.4. 가족력
7.5. 사고 우려성
7.6. 면담 상황
7.7. 치료현황 평가
7.8. 지지체계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요
1.1. 존 내쉬 교수의 생애

존 내쉬(John Forbes Nash Jr.)는 1928년 6월 13일 미국 블루필드에서 태어난 천재 수학자로, 20세기 최고의 수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존 내쉬는 가정형편이 넉넉하지 않았지만 부모님께서 교육에 관심을 가지셔서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탁월한 재능을 보였다."" 초등학교 때부터 문제 풀이를 좋아했던 그는 고등학교 재학 시절 폭발물 제조 실험을 해 사고로 친구를 잃기도 했지만, 여전히 열정적으로 수학에 몰두했다.""

1945년 카네기멜론 대학에 입학한 내쉬는 곧바로 천재적인 두뇌를 발휘하여 학생들 사이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48년 프린스턴 대학원에 진학한 그는 1949년 박사학위 논문인 "비협조적 게임 이론"을 발표하며 대학원생으로서는 이례적인 업적을 이루었다."" 이 논문은 수학적 모형을 이용해 상호작용하는 경제 주체들의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데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950년대 초반 내쉬는 사회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점점 우울하고 불안한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다."" 마침내 1959년 조현병 진단을 받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지만, 약물 부작용으로 인해 치료를 중단했다."" 그 후 30년 동안 내쉬는 정신병원과 가정을 오가며 갈등과 고통의 시간을 보냈다.""

그러나 아내 알리샤의 끝없는 사랑과 지지 덕분에 내쉬는 1990년대 후반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했다."" 2001년 내쉬 부부는 재결합하여 행복한 노년을 보냈으며, 2015년 교통사고로 아내가 사망한 뒤에도 내쉬는 여전히 자신의 인생을 긍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2015년 5월 23일,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내쉬는 삶의 마지막까지 자신만의 방식대로 인생을 살아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1.2. 조현병 증상 및 경과

조현병은 정신병의 일종으로 사고, 지각, 정서, 행동의 장애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정신질환이다. 존 내쉬 교수는 조현병을 겪었던 사례로 잘 알려져 있는데, 그의 증상 및 경과는 다음과 같다.

조현병은 일반적으로 15~35세 사이에 발병하며, 존 내쉬 교수의 경우 28세에 처음 증상이 나타났다. 조현병의 주요 증상은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으로 구분되는데, 양성증상에는 환각, 망상, 와해된 사고 및 언어, 행동장애 등이 포함되며, 음성증상에는 무감동, 무의욕, 사회적 위축 등이 포함된다.

존 내쉬 교수의 경우 환각과 망상이 두드러졌다. 그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인물들인 '찰스', '마시', '윌리엄 파쳐' 등을 보고 대화를 나누었고, 자신의 팔에 '다이오드'가 심어져 있다고 믿는 등의 망상을 보였다. 또한 잡지와 신문의 숫자가 암호라고 생각하는 관계망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환각과 망상으로 인해 그는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지 못하고, 자신이 특별한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믿는 등 와해된 사고와 행동을 보였다.

이와 같은 양성증상 외에도 존 내쉬 교수는 사회적 위축, 무의욕, 감정의 둔마 등의 음성증상도 나타냈다. 그는 기숙사에 혼자 살며 밖으로 나오지 않는 등 사회적으로 고립되었고, 아기를 돌볼 때에도 아무런 감정 반응을 보이지 않는 등 무감동한 모습을 보였다.

존 내쉬 교수의 조현병 경과는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그는 1959년 첫 입원 당시 50일간의 입원 치료를 받고 호전되어 퇴원했으나, 이후 1980년대 후반까지 주기적인 입원과 퇴원을 반복했다. 이는 조현병 환자의 일반적인 경과와 유사한데, 조현병은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존 내쉬 교수의 경우 특이한 점은 1990년대 이후 증상이 크게 호전되어 학계로 복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조현병 환자들이 치료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장애를 겪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회복은 그의 노력과 배우자 알리샤의 지지, 그리고 당시 정신치료 분야의 발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종합하면, 존 내쉬 교수는 조현병의 전형적인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을 모두 경험했으며, 수차례의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는 전형적인 경과를 보였다. 그러나 그는 결국 질병을 극복하고 학계에 복귀할 수 있었던 특별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 신체 및 정신 사정
2.1. 인적사항

환자의 인적사항은 다음과 같다.

환자 성명은 John Nash(존 내쉬)이며, 성별은 남성이다. 생년월일은 1928년 6월 13일로 현재 나이는 92세이다. 의학진단명은 조현병(Schizophrenia)이며, 최초 발병시기는 1948년 프린스턴 대학원에 입학하면서부터이다. 교육 정도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수학자이며, 결혼상태는 기혼이다. 아내는 Alicia Nash로 1957년~1963년 간 이혼했다가 1970년부터 다시 같이 살아왔고, 2001년에 재결합하였다. 환자는 1959년~1990년 사이 정신병원 입퇴원을 반복하였으며, 50일간 첫 입원 경력이 있다. 주호소는 "빨간색 넥타이를 맨 공산주의자 스파이들이 저를 감시해요. 괴롭고 두려워요"라는 추적망상과 "잡지에 나오는 숫자들이 미국을 공격하기 위한 소련의 암호에요"라는 관계망상이었다. 주증상으로는 환청, 환시, 환촉을 경험하고 있으며 현실과 망상의 구분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2. 신체사정

신체사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존 내쉬는 신장 185cm, 체중 65kg으로 BMI 19.0kg/m2로 정상 체중 범위였다. 활력징후는 혈압 130/75mmHg, 맥박 105회/분, 호흡수 26회/분, 체온 36.8도이었다. 신체 검진 결과 환각과 관련된 행동을 보였는데, 환청과 환시로 인해 자신의 팔에 "다이오드"가 있다고 믿고 팔을 뜯는 등의 자해 행동을 보였다. 또한 환각 증상으로 인해 아기를 혼자 욕조에 두어 위험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청력과 시력에는 특이 사항이 없었지만 작은 소리에도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소화기계와 호흡기계에서는 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불안감이 높아 호흡...


참고 자료

정신간호 총론 제 8판(수문사. 2020. 김선아 외 공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현문사. 2019. Meg Gulanick, Judith L. Myers외 공저)
정신건강 간호학 실습Ⅱ 지침서
정신건강 간호학Ⅰ,Ⅱ의 강의자료
식품의약품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196700045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정신건강 의학과- 전기경련치료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NP&MENU_ID=008040
청년의사 뉴스레터-인슐린 쇼크요법 칼럼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6491
이투데이- 비운의 천재수학자 존 내쉬, 영화처럼 떠난 ‘뷰티풀 마인드’
https://www.etoday.co.kr/news/view/1130765
Vanity fare- A BEAUTIFUL MIND(by SYLVIA NASAR)
https://www.vanityfair.com/news/1998/06/a-beautiful-mind-199806
Living with schizophrenia
https://livingwithschizophreniauk.org/john-nash/
사례연구 논문-Overcoming Paranoid Schizophrenia: The Inspiring Case of John Forbes Nash, Jr.
https://ripleeforensicpsych.umwblogs.org/2012/08/02/overcoming-paranoid-schizophrenia-the-inspiring-case-of-john-forbes-nash-jr/
The newyork times-John F. Nash Jr., Math Genius Defined by a ‘Beautiful Mind,’ Dies at 86
https://www.nytimes.com/2015/05/25/science/john-nash-a-beautiful-mind-subject-and-nobel-winner-dies-at-86.html
The science times- 칼럼: 천당과 지옥 사이를 오간 천재 수학자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B2%9C%EB%8B%B9%EA%B3%BC-%EC%A7%80%EC%98%A5-%EC%82%AC%EC%9D%B4%EB%A5%BC-%EC%98%A4%EA%B0%84-%EC%B2%9C%EC%9E%AC-%EC%88%98%ED%95%99%EC%9E%90/#.YbHiodtp-zQ.link
Reserch gate- Why Did John Nash Stop His Medication?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7757848_Why_Did_John_Nash_Stop_His_Medication

론 하워드. 뷰티풀 마인드 (2001).
공성숙 (2019). 정신건강간호학. 군자출판사.
박은영 외 (2019). NANDA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약학정보원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