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생태학적 체계 이론의 특징을 정리하고 브론펜브르너가 정리한 인간 환경의 5가지 체계(미시/중간/외/거시/시간)를 학습자 자신을 주인공으로 선정하여, 현재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하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생태학적 체계이론의 특징
3. 브론펜브레너의 인간 환경 5가지 체계
3.1. 미시체계
3.2. 중간체계
3.3. 외체계
3.4. 거시체계
3.5. 시간체계
4. 5가지 체계로 인한 학습자의 상황 분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유아의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다양한 관점 중 생태 체계 관점은 사람이 태어나서 성장하는 순간순간 변화하는 과정을 알아가는데 중요한 관점 중의 하나이다. 브론펜브레너는 개인과 환경 사이에 서로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인간의 발달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설명한다. 이 이론은 개인의 발달이 단순히 유전적 요인이나 직접적인 환경적 변화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태적 환경구조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였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본인에게 대입시켜 다섯가지 체계에 대해 알아보고 서술하고자 한다.
2. 생태학적 체계이론의 특징
생태학적 체계이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생태학에서 강조하는 자연환경적 영향과 체계이론에서 강조하는 환경의 체계수준이 함께 고려된 통합적 관점으로, 일반체계론에 생태학적 관점을 결합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 보완성을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인간과 환경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이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상호교류와 상호적응해 나가는 하나의 체계로 본다. 환경 속에서의 인간을 설명함에 있어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교류, 적응을 지지하거나 또는 방해하는 요소 등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개인이 속한 가족, 학교, 직장과 같은 직접적인 환경에서부터, 그보다 더 넓은 지역사회, 문화, 사회적 구조에 이르기까지 각 환경 체계 간의 상호작용과 그로 인한 영향력을 중심으로 개인과 환경 간의 적합성과 상호교류를 강조한다. 즉,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개인의 발달이 단순히 유전적 요인이나 직접적인 환경적 변화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태적 환경구조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생태학적 체계이론은 인간 발달을 이해하는데 있어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3. 브론펜브레너의 인간 환경 5가지 체계
3.1. 미시체계
가정, 학교, 친구 집단 등 개인이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미시체계이다. 개인에게 가장 근접한 환경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미시체계에는 개인이 살고 있는 집의 크기나 구조와 같은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부모, 형제자매, 친구, 교사 등 개...
참고 자료
김보기 외9명 공저 (2019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수양재
김태임 외7명 공저 (2023년) 「전 생애 인간성장발달」 교문사
심성경,김경의 (2010년) 「아동발달」 학지사
유아발달 학습자료실 500075_2020_유아발달_1~14주
네이버 블로그 (2023년)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한 아이를 키우는데 온 마을이 필요한 이유 https://blog.naver.com/writer_bome/223250293467
신명희 외(2016), 「유아발달」, 학지사.
이기숙 외, 「영유아 교육과정」, 공동체, 2019.
백순근(2002), 「학습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교육평가에 주는 시사」, 아시아교육연구 3(1), pp.27-42.
허창덕(2012),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석」, 재활복지 16(2), pp.57-80.
정희영 외, 「유아발달」, 파워북, 2014
고명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민사, 2018
박희숙·박영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창지사, 2015
장수한, 「청소년상담(이론과 실제)」, 양서원, 2016
성현란 외,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9
이기숙 외, 「영유아 교육과정」, 공동체, 2019
천덕희 외,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창지사, 2012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3
백순근, 「학습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교육평가에 주는 시사」, 아시아교육연구 3(1), 2002
허창덕,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석」, 영남대학교, 2012
김희선,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폭력 유발요인이 학교폭력에 끼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