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권력은 왜 역사를 장악하려 하는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개로왕의 정치 활동과 그 평가
1.1. 머리말
1.2. 개로왕의 즉위와 그 배경
1.3. 개로왕의 개혁정치와 그 한계
1.4. 개로왕의 몰락과 그에 대한 평가
1.4.1. 개로왕의 몰락 배경 및 과정
1.4.2. 개로왕에 대한 역사적 평가
1.5. 맺음말
2. 위화도 회군과 이성계의 집권과정
2.1. 위화도 회군의 역사적 배경
2.2. 위화도 회군의 전개 과정
2.3. 고려의 운명이 걸린 개경 공방전
2.4. 이성계의 정권장악
2.5. 역성혁명의 성공, 조선의 건국
2.6. 참고문헌
3. 광해군, 개혁군주의 허상
3.1. 선조는 무능했나?
3.2. 재평가
3.3. 서자 콤플렉스
3.4. 편집증 정치
3.5. 폐모살제
3.6. 대동법
3.7. 궁궐병
3.8. 중립외교
3.9. 폐주 광해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개로왕의 정치 활동과 그 평가
1.1. 머리말
백제의 한성시대가 끝나고 웅진 시대가 시작되는 과정은 백제사에서 큰 전환점을 갖는다. 화려하고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백제의 한성시대 말기는 내부적 결함과 외부적 위협으로 인해 매우 위태로웠다. 외척과 귀족세력의 발호로 인해 왕권이 약해졌으며 밖으로는 고구려가 침입하는 위태로운 형세였다. 설상가상으로 외척세력을 견제하고 분위기를 쇄신하고자 노력했던 비유왕은 살해당했다. 이 같은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개로왕이 왕위에 올랐다. 그리고 개로왕은 한성 시대의 마지막을 죽음으로 장식했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전해지는 개로왕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가 아직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개로왕이 과연 무능한 왕으로 폄하되는 것이 정당한지 따져 볼 필요가 있다. 개로왕은 개혁정치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며, 여러 방면에서 분주하게 외교활동을 한 군주이기 때문이다.
1.2. 개로왕의 즉위와 그 배경
제21대 개로왕은 비유왕의 장자로서 왕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비유왕의 죽음을 통해 개로왕의 즉위과정이 순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삼국사기』 기사에 따르면, 비유왕이 재위 29년만에 사망했는데, 그 과정이 정상적이지 않았다. 가을 9월에 흑룡이 한강에 나타났는데 잠깐 동안에 구름과 안개가 끼어 캄캄해지더니 날아가 버렸다. 왕이 죽었다. 고대에 흑룡의 출현은 불길한 징조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비유왕이 정변에 의하여 희생당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삼국사기』 백제본기 개로왕의 기록에 14년 이전의 기록이 비어 있는 점, 선왕의 무덤이 임시로 매장되어 방치되었다는 점 등을 통해 개로왕의 즉위 과정에 정변이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와 관련한 사료의 부족으로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는 없다.
다만 일부 학자들은 436년 북연-고구려 망명 사건 이후에 발생한 대고구려전에서의 패배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비유왕대에 백제와 고구려 간에 큰 전쟁이 벌어진 사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를 개로왕 즉위 초의 정변으로 연결하는 것은 어렵다는 견해도 있다.
오히려 상좌평체제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려는 비유왕과 그 측근세력과 이에 반해 귀족연합체제를 유지하려는 해씨세력 간의 대립과 갈등으로 인한 정변설이 더 설득력이 있다. 해씨세력이 비유왕대의 성세를 배경으로 비유왕의 아들인 개로보다도 해씨 소생을 차기 왕위계승자로 즉위시키려고 하지 않았을까 짐작된다. 이처럼 왕위 계승을 둘러싼 지배세력 간의 대립이 발생하자 개로와 여기, 곤지, 문주 등의 왕족과 목씨 세력 등이 정변을 일으켜 비유왕을 살해하고 정권을 장악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458년 『송서』 백제전에 송나라로부터 왕호나 장군호를 수여받은 인물들은 개로왕을 옹립한 지지세력이며, 반면 수작자에서 배제된 해씨나 진씨세력은 개로의 즉위를 반대하는 세력으로 볼 수 있다. 정변의 성공으로 왕위를 계승한 것을 통해 개로왕의 정치 능력과 업무 수행 능력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개로왕이 즉위와 함께 바로 고구려의 공격을 받게 되었다. 455년 개로왕 즉위를 계기로 고구려가 본격적으로 군사 행동에 나섰다. 광개토대왕의 남쪽 정벌 이후 고구려가 안으로 체제 정비, 밖으로 북위 관계로 인해 백제와 고구려 사이 잠시나마 긴장 관계가 이어졌다. 그런데 고구려가 개로왕 즉위를 계기로 군사를 움직였다. 이는 개로왕 즉위 초의 정변으로 인한 백제의 정정 불안을 틈타 단행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5세기 후반 고구려의 공격에 대해 백제와 신라 양국이 함께 대응하는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게 되었다. 개로왕이 고구려의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신라의 군사적 지원을 처음으로 이끌어낸 것은 백제 외교의 큰 성과로서 개로왕의 뛰어난 외교역량을 발휘한 것으로 평가된다.
즉, 즉위 초의 개로왕의 뛰어난 위기관리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1.3. 개로왕의 개혁정치와 그 한계
개로왕은 즉위 초의 정변을 극복하고 왕위를 계승했으나 대내외적으로 매우 안정적이지 않은 상태였다. 대내적으로는 상좌평제를 안정적으로 정착시켜 왕권을 뒷받침해야 했고, 왕족과 해씨세력, 진씨 및 목씨세력을 왕권 하에 편제시켜 왕권 중심의 정치를 이끌어나가야 할 필요가 있었다. 당시 백제는 고구려의 남진 위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었으나, 개로왕은 고구려와의 직접적인 대결을 자제하고 먼저 내부적으로 왕권의 안정과 강화책을 점진적으로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
개로왕은 즉위 과정에 공헌한 지지세력을 균형있게 배치하여 지배세력의 균형을 맞추었다. 『송서』에 따르면 개로왕은 즉위 3년인 457년에 유송으로부터 진동대장군을 제수받았고, 이듬해에는 그 신하 11명에 대한 관작을 요청하여 장군호를 제수받았다. 이들 11명의 귀족 가운데 8명이 부여씨 왕족이었고, 나머지 3명은 이와 성씨가 다른 귀족이었다. 8명의 왕족 중에는 정로장군 좌현왕 여곤과 보국장군 여도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은 왕의 아우인 곤지와 문주였다. 이를 통해 개로왕이 즉위하면서 권력구조가 왕족 중심으로 개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군정 장악권을 가지고 있던 해씨세력이 약화되고, 문주가 상좌평직을 차지하게 된 것에서도 확인된다. 즉, 개로왕은 즉위 과정에서 공헌한 지지세력에 대한 균형을 맞추었고, 왕족 중심의 정치체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개로왕은 전제왕권을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강력한 왕권 구축 시도에는 고구려의 부단한 남진 압박이 큰 저해 요인이 되었다. 고구려의 군사적 압박은 백제의 국력을 극도로 소모시켰고, 이로 인한 재정 궁핍은 개로왕의 개혁정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국 고구려의 기습적인 한성 공략으로 인해 개로왕은 살해당하고 그가 구축한 왕족 중심의 지배체제도 붕괴되었다.
이를 통해 개로왕은 왕권 강화와 정국안정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고구려의 군사적 위협과 그에 따른 재정 부족이라는 한계에 직면했음을 알 수 있다. 개로왕의 개혁정치는 전제왕권 구축을 지향했지만, 결국 외적 압박과 내부 갈등에 의해 좌절되고 말았다.
1.4. 개로왕의 몰락과 그에 대한 평가
1.4.1. 개로왕의 몰락 배경 및 과정
개로왕의 몰락 배경 및 과정은 다음과 같다.
개로왕은 고구려의 부단한 남진 압박에 직면하였다. 427년 평양성으로 천도한 고구려는 북위와의 각별한 외교 관계를 통해 적극적으로 남진정책을 추진했다. 고구려와의 부단한 국지전은 왕권 강화를 위한 대규모 토목공사와 함께 백제 국력의 극심한 소모 현상을 초래하였다.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 속에서 "재물이 다하고 힘이 다하여 점차 저절로 쇠약하여졌다"고 표현한 것이나, 한성함락 직전에 "백성은 쇠잔하고 군대는 약하다"고 한 개로왕의 체념적인 말투에서 백제의 극심한 재정 궁핍 현상이 확인된다.
이에 백제 왕권은 전쟁과 대규모 토목공사로 인한 재정 궁핍을 보충하기 위해 가혹한 지방 지배와 수취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전쟁과 역사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의 확보를 위해 개로왕은 철저한 지방 지배를 단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대내적인 왕권과 귀족권 간 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타개책으로 고구려 장수왕의 기습적인 한성 공략이 단행되었다.
475년 초겨울 고구려 장수왕은 3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백제를 침공하였다. 고구려군의 침공 경로는 북성인 풍납토성을 먼저 공격한 후 남성인 몽촌토성을 함락시켰다. 결국 북성이 함락되자 개로왕은 형세가 곤란하여 수십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성문을 나와 서쪽으로 도망갔지만, 고구려군에게 추격당해 아단성 밑으로 끌려가 살해당했다. 개로왕의 피살로 인해 개로왕 뿐만 아니라 대후, 왕...
참고 자료
이도학, 2005, 『백제인물사』, 주류성
문안식, 2006, 『백제의 흥망과 전쟁』, 혜안
문동석, 2007, 『백제 지배세력 연구』, 혜안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7, 『한성도읍기의 백제』, 충청남도역사문화원
문안식, 2008, 『백제의 왕권』, 주류성
양기석, 2013, 『백제 정치사의 전개과정』, 서경문화사
이우경, 2013, 『삼국사기 열전 새로 읽기』, 보고사
한성백제박물관, 2016, 『개로왕의 꿈, 대국 백제』, 한성백제박물관
이도학, 1985, 「한성말 웅진시대 백제왕위계승과 왕권의 성격」, 한국사 연구
이도학, 1990, 「한성 후기의 백제왕권과 지배체제의 정비」, 백제 논총 2권
정재윤, 1999, 「웅진시대 백제 정치사의 전개와 그 특성」, 서강대 박사학위논문
김수태, 2000, 「백제 개로왕대의 대고구려전」, 『백제사상의 전쟁』, 서경문화사
문안식, 2005.06, 「개로왕의 왕권강화와 국정운영의 변화에 대하여 - 개로왕의 전제왕권 지향과 좌절을 중심으로 -」, 사학연구 제78호 ,한국사학회
문동석, 2006, 「百濟 ?支王ㆍ蓋鹵王代 王族의 擡頭와 王權强化
= 백제 전지왕ㆍ개로왕대 왕족의 대두와 왕권강화」, 경희사학(3-25), 경희사학회
박대재, 2007.12 「『삼국사기(三國史記)』도미부(都彌傅)의 세계(世界) -2세기 백제사회의 계층분화와 관련하여-」, 선사와 고대 27권0호(229-255), 한국고대학회
강종원, 2017.01, 「한성후기 백제 대외관계의 변화가 지방통치에 미친 영향」, 역사와 담론 第81輯, 호서사학회
이도학, 2017.12, 「특집 : 한성 백제의 역사와 문화 ; 『삼국사기(三國史記)』 도림(道琳) 기사(記事) 검토(檢討)를 통해 본 백제(百濟) 개로왕대(蓋鹵王代) 정치(政治) 상황(狀況)」, 선사와 고대 27권0호, 한국고대학회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왕조교체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2004), 민현구, 일조각
고려의 멸망(1996), 박한남,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사전(2011), 양재홍, 지경사
한국의 전투와 무기(2008), 신현득 외, 현암사
전쟁으로 읽는 한국사(2013), 김광일, 도서출판 은행나무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왕의 역사(2011), 신재석, (주)삼양미디어
개혁의 실패와 역성혁명(1999), 이이화,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