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관상동맥폐쇄성질환(Coronary Artery Occlusive Disease, CAOD)은 심근 관류량 유지를 위한 혈액의 요구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상태이다. 약한 관상혈규로 인해 심근조직으로 가는 산소와 영양소가 결핍되어 협심증(일시적 심근허혈)과 심근경색(지속적 허혈로 인한 심근세포 손상)이 발생한다. CAOD는 천천히 진행되는 만성질환으로, 유전적 소인, 성별, 식이, 생활습관, 흡연 등의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다. 관상동맥에 죽상경화성 병변이 발생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쇄되면 심근에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하여 협심증이 나타난다. CAOD는 CAOD 1-VD, CAOD 2-VD, CAOD 3-VD로 분류되며, 주요 증상은 흉통이다.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 관상동맥촬영술, 심전도, 스트레스검사 등이 활용된다. CAOD의 합병증으로는 협심증 재발, 심실부전, 부정맥, 기계적 결손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치료는 증상 완화와 조직관류 증진을 목표로 하며, 약물 요법,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 관상동맥우회술 등이 이용된다.
2. 관상동맥폐쇄성질환(CAOD) 개요
2.1. 정의
심근 관류량 유지를 위한 혈액의 요구량과 공급량의 불균형상태이다. 약한 관상혈규로 인해 심근조직으로 가는 산소와 영양소의 결핍이 있다. 이로 인해 협심증(일시적 심근허혈)과 심근경색(심근세포에 손상 초래하는 지속적 허혈)이 발생한다.
2.2. 원인과 위험요인
관상동맥 내에 죽상경화성 병변이 진행되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쇄되어 관상동맥질환이 발생한다. 관상동맥질환은 급성질환이 아니며 10~30년간 천천히 진행되는 질환이다. 진행률은 유전적 소인, 성별, 식이, 좌식생활습관, 흡연과 같은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다. 죽상경화증은 심장, 뇌, 신장에 관류되는 중간 정도의 동맥과 대동맥에서 분기되는 큰 동맥에 영향을 준다. 관상동맥질환은 심근의 산소요구와 심근에 공급되는 산소의 불균형으로 인해 심근에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함으로써 협심증이 발생한다. 관상동맥질환을 초래하는 위험요인은 크게 조절 불가능한 요인과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조절 불가능한 요인으로는 연령(증가할수록), 가족력과 유전적 소인, 성별(남성>여성) 등이 있고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는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당뇨병, 운동부족, 비만 등으로 나뉠 수 있다.
2.3. 분류
CAOD(관상동맥폐쇄성질환)는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첫째, CAOD 1-vd는 LAD, LCX, RCA 중 한 곳이 7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이다. 단, 다른 두 곳은 50% 미만이어야 한다. 둘째, CAOD 2-vd는 LAD, LCX, RCA 중 두 곳이 5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이다. 여기에는 Left main-coronary artery에 stenosis가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셋째, CAOD 3-vd는 LAD, LCX, RCA 중 세 곳 모두 50% 이상 stenosis가 있는 경우이다.
2.4. 임상증상
협심증(Angina pectoris)은 주요한 임상증상이다. 협심증은 활동 시 가슴, 상복부, 턱, 등, 팔 등으로 방사되는 흉통이며 통증의 양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