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신종바이러스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그 바이러스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토론해 보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신종감염병의 문제점
1.2. 감염병 예방 및 관리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2. 본론
2.1. 코로나19의 발생 원인
2.2. 코로나19의 문제점
2.3. 코로나19와 면역의 관계
2.4. 신종 감염병 관리
2.5. 감염병 위기관리
3. 결론
3.1. 개인위생의 중요성
3.2. 신종감염병 예방을 위한 제언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신종감염병의 문제점
신종감염병은 인류에게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신종감염병은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한다.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는 심각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여 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는 개인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큰 혼란을 초래한다.
둘째, 신종감염병은 사회적 고립을 불러일으켜 개인의 정신건강을 악화시킨다. 감염병 확산에 따른 봉쇄와 거리두기 조치로 인해 사람들은 가족, 친구들과 접촉할 기회가 줄어들어 우울감과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사회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셋째, 신종감염병은 경제적 문제를 야기한다.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소비 위축과 산업 활동 제한은 실업률 증가와 경기 침체를 초래한다. 특히 취약계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사회적 격차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 손실은 개인과 국가 모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넷째, 신종감염병은 정보의 혼란을 야기한다. 감염병 상황이 지속되면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려워지고 가짜뉴스와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국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켜 적절한 대응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결국 신종감염병은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신종감염병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가 필요하다.
1.2. 감염병 예방 및 관리의 필요성
감염병의 예방과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감염병으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감염병은 병원체가 사람과 동물 간에 전파됨으로써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감염병 확산은 사회·경제적 혼란을 초래하여 개인과 국가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감염병을 사전에 차단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감염병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실천, 백신 접종 등 개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신종 감염병의 경우 발생 초기에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고, 적절한 방역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감염병의 확산을 억제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감염병 관리를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통해 감염병 발생 시 신고 및 보고, 역학조사, 환자 관리 등에 대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법적 토대 아래 감염병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감염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감염병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신종 감염병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감염병은 개인과 국가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감염병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대비가 필요하며, 정부와 개인이 협력하여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1.3. 연구 목적
신종감염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예방 및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코로나19의 발생 원인과 문제점, 면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신종 감염병 관리와 감염병 위기관리 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위생의 중요성과 신종감염병 예방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은 전 세계적으로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과거 발생했던 사스, 메르스, 신종플루 등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도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신종감염병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고 문...
참고 자료
김나영, 신종감염병에 대한 언론보도 비교연구 :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이종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문제와 그 해결책,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정혜영 기자, [면역의 힘②] 코로나 걸려도 멀쩡한 이유? '3단 장벽' 덕분, 헬스조선, 2021.3.26.
김연희 기자, 팬데믹의 ‘약속된 출구’, 면역에 대한 모든 것, 시사인, 2020.5.18.
감염병감시체계,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1110100
감염병위기대응, 질병관리청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1020700
김우주,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반니, 2020.3, PP69~70,79~82,105,108,116~117,126~128,129~131
이도연 외 2인, 「국가 융합 R&D 기획을 위한 글로벌 연구개발 과제 정보의 활용연구 : 코로나 바이러스 연구를 중심으로」,『한국융합학회논문지』,제11권 제4호, 2020.4, PP 95-10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정식 홈페이지, 바로알기> 「코로나19란?」, 2020.4, http://ncov.mohw.go.kr/baroView.do?brdId=4&brdGubun=41 , 2020.5.21.
임유 기자, 「美 모더나 "임상서 전원 면역항체 형성"…코로나 백신 연말 나오나」,『한국경제』,2020.5.20.,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0051946971 ,2020.5.21.
조계완 기자, 「WHO, 코로나19 ‘팬데믹’ 공식 선언…“통제될 수 있다”」,2020.3.12.,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32243.html , 2020.5.21
최준호 기자,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 비밀 풀었다···RNA 전사체 세계 첫 분석」,2020.4.9., https://news.joins.com/article/23751020, 2020.5.21.
신선미 기자, 「정부 "재양성자,타인 감염시킬 위험 없어…2주 추가격리 않기로"(종합2보)」,2020.5.18., https://www.yna.co.kr/view/AKR20200518068752530 , 2020.5.21.
송경은 기자, 「‘코로나19’ 어떻게 인체세포 침투하나... 결합부위 3D구조 첫 규명」,2020.3.5., https://www.mk.co.kr/news/it/view/2020/03/232515/ ,2020.5.22.
전효진 기자, 「"평균 10년에서 1년 안으로"… 세계 10대 제약사 코로나 백신·치료제 개발, 시간표 빨라졌다」,2020.5.7.,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6/2020050604801.html , 2020.5.22
한성간 기자, 「“코로나19 환자, 증상 나타난 후 11일 지나면 감염력 잃어”」,2020.5.26., https://v.kakao.com/v/20200526085425761 , 2020.6.7
김서연 기자, 「코로나바이러스 면역 6개월만 지속..‘집단면역 무의미’」,2020.5.26., https://v.kakao.com/v/20200525204632880?from=tgt , 2020.6.7
김다솜 기자, 「러시아, 코로나바이러스 단 ‘5일’ 만에 없애는 새 치료제 개발했다.」,2020.6.01., https://www.insight.co.kr/news/286658 , 2020.6.7
신선미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 큰 변이없어, 백신개발 문제 생길 위험 적어”」,2020.5.23., https://v.kakao.com/v/20200523160030029?from=tgt ,2020.6.7
김잔디 기자,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동물실험서 효과..7월 임상목표”」,2020.6.1., https://v.kakao.com/v/20200601103621773 , 2020.6.7
전동혁 기자, 「식약처,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 특례수입 승인」, 2020.6.3., https://imnews.imbc.com/news/2020/society/article/5797558_32633.html , 2020.6.7.
주간동아, 「배트(박쥐)보다 강한 배트맨의 생존력」,2020.2.12, https://weekly.donga.com/List/3/08/11/1976792/1 ,2020.5.21.
코로나 바이러스 사진 자료 , https://www.schmc.ac.kr/seoul/selectBbsNttView.do?key=358&bbsNo=221&nttNo=238802 , 20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