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분만 4기 개요
1.1. 분만 4기의 정의
분만 4기의 정의는 출산 후 1~4시간 동안 산모의 신체적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를 말한다. 이는 모아간 새로운 관계가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로, 산모의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가 크며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보이는 시기이다. 또한 부부 모두가 부모로의 전환이 되는 시기로 많은 심리적 과업이 시작된다.
1.2. 분만 4기의 특성
분만 4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분만 4기는 회복기로 출산 후 1~4시간 동안 산모의 신체적 상태가 안정될 때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는 산모와 신생아에게 매우 중요한 시기로 모자 간 새로운 관계가 시작되는 시기이다. 산모들은 의기양양해하거나 기뻐하거나 지쳐 있거나 눈물을 흘리는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이 시기는 부부 모두가 부모로의 전환이 되는 시기로 많은 심리적 과업이 시작된다. 산모들은 이때 휴식이나 안락함, 음식, 보호와 같은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가 매우 크다.
2. 분만 4기 간호 목표
2.1. 자궁이완으로 인한 출혈 예방
분만 후 지속적으로 자궁을 마사지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으며 권장되지 않는다. 그러나 자궁이 이완되는 것 같으면 자궁이 수축할 때까지 견고하면서도 부드럽게 원형으로 마사지를 해야 한다. 간호사는 출혈이 있는지 계속 관찰해야 하며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여 정맥 주입 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자궁근육의 이완은 자궁이 혈액과 혈괴들로 차서 늘어나고, 태반부착부위의 혈관들이 제대로 결찰되지 않아 출혈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드럽게 자궁저부를 마사지하여 혈액과 혈괴들을 배출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사는 자궁저부의 단단한 정도와 위치를 확인하며, 만약 부드럽지 않다면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응고물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통해 자궁근육의 수축을 도와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출혈 위험이 높은 산모의 경우 더욱 주의 깊게 관찰하고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출혈 예방을 위해 간호사는 산모의 활력징후와 회음부, 출혈 양상 등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수행해야 한다.
2.2. 열상으로 인한 출혈 및 혈종 관리
간호사는 분만 4기 동안 회음 및 출혈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오로의 양이나 색상, 냄새 등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회음부의 열상이나 봉합부위에서 지혈이 잘 되고 있는지 관찰해야 한다. 만약 패드가 15분 내에 푹 젖거나 둔부 아래에 혈액이 고이는 경우, 계속해서 혈액 손실량, 활력징후, 안색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피가 계속 흐르거나 분출되면 질이나 경관에 열상이 있는지, 회음 봉합 부위에 결찰되지 않은 혈관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산모의 혈압이 떨어지고 맥박이 증가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고, 쇼크의 증세가 보이면 산모의 자궁저부의 단단한 정도를 확인하여 부드럽게 마사지하여 혈괴를 배출시켜야 한다. 또한 정맥수액 주입속도를 증가시키고, 산모의 다리 쪽 침상을 올려주며, 산소마스크를 통하여 8~10L/분 정도로 산소를 투여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간호사는 분만 4기 동안 회음과 출혈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2.3. 수분 및 영양 섭취 관리
분만 4기 동안 수분 섭취의 제한과 수분 소실로 인해 대부분의 산모들이 분만 후 갈증을 느끼고 수분 섭취를 요구한다. 이때 간호사는 산모가 당분을 첨가한 적당량의 수분을 천천히 마시도록 지도해야 한다. 산모가 과다한 양의 수분을 급하게 마시면 오심, 구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시간 후 산모의 상태가 정상 범주 내로 안정이 되면 가벼운 식사를 제공할 수 있고, 산모가 섭취한 음식이나 수분의 양, 시간, 산모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 분만 중 수분 섭취 제한과 소실로 산모들은 갈증을 느끼지만, 간호사는 천천히 당분을 첨가한 적당량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또한 한 시간 후 산모의 상태가 안정되면 가벼운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