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모세기관지염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문헌고찰
2. 본론
2.1. 간호사정
2.1.1. 일반적 사항
2.1.2. 질병양상(건강력)
2.1.3. 가족력
2.1.4. 어린이의 입원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2.1.5. 신체검진
3. 간호과정
3.1. 간호진단 #1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1.1. 간호목표
3.1.2. 간호계획 및 수행
3.1.3. 간호평가
3.2. 간호진단 #2 기침 및 객담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3.2.1. 간호목표
3.2.2. 간호계획 및 수행
3.2.3. 간호평가
3.3. 간호진단 #3 호흡곤란과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
3.3.1. 간호목표
3.3.2. 간호계획 및 수행
3.3.3. 간호평가
4. 결론 및 소감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호흡기 감염은 소아에게 가장 흔한 질병이며 합병증을 남겨 성인기까지 문제를 가지고 가기도 하고,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조기 진단과 치료뿐만 아니라 질병의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한 예측도 중요하다. 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부호흡기 질환으로, 작은 기도의 염증 폐쇄로 인하여 발생하며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 급성 세기관지염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학습하고, 실제 환아를 관찰하며 적절한 간호중재와 관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2. 문헌고찰
모세기관지염은 호흡기에서 가장 작은 가지인 세기관지에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최근에는 '세기관지염'이라고 한다. 호흡기는 코에서부터 시작해 상부 기관지를 거쳐 점점 더 작은 기관지로 나뭇가지처럼 분지되어 마침내 폐포까지 이르게 된다. 폐포 바로 상부의 가장 작은 기관지 분지를 세기관지라고 한다. 세기관지는 직접 폐포로 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폐포는 이를 받아 혈액으로 산소 공급을 한다.
기관지에 발생하는 모세 기관지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일어난다. 바이러스는 기관지 염증 반응을 일으켜 기관지 점막이 붓고 분비물이 많아지게 한다. 이로 인해 좁은 세기관지 막힘 현상이 생겨 폐포로의 산소 공급에 장애가 발생하고 결국에는 전신적인 저산소증 상태가 된다. 세기관지염은 영유아와 어린 소아들이 입원하게 되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세기관지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는 가장 널리 알려진 원인이며 실제로 세기관지염 원인의 50-75%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2세 이하의 어린 소아들에서 여전히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RSV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북반구의 여러 나라들에서 주로 11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유행하는 양상을 보이며 1-2월에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
RSV에 의한 급성 세기관지염에 걸렸을 때 증상이 심하여 입원하게 되는 위험 요인들을 보면 미숙아, 어린 나이, 과밀한 주거 환경, 간접흡연, 인공 수유, 유아원에 맡겨지는 경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입원 환자들의 연령대를 보면 80%가 1세 미만이며 그 중 50%는 1-3개월의 영아이다. 이는 면역 기능이 떨어지는 미숙아나 어린 소아들에게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위험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기 2-3일간 일반적인 감기 증상들인 콧물, 코막힘, 미열, 가벼운 기침 등을 보이다가 기침이 심해지면서 천명 현상과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천명 현상은 숨 쉴 때, 특히 숨을 내쉴 때 쌕쌕거리는 호흡음이 들리는 것을 말한다. 이는 세기관지가 염증으로 인해 좁아져 공기의 흐름에 막힘 현상이 있다는 것이다. 호흡곤란 증상이 점차 진행되면서 호흡수가 빨라지고 심장 박동 수도 증가하게 되고 숨 쉴 때 코가 심하게 벌렁거리고 갈비뼈 아래 부분이 쑥쑥 들어가는 현상이 관찰될 수도 있다. 호흡곤란 증상은 환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더 빠르게 진행하는 양상을 보이며 하루 중에도 오전과 오후의 상태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후의 경과를 잘 관찰해야 한다.
세기관지염은 대개 7-10일 정도 경과하면서 회복되나 2-3주까지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전반적으로 예후가 나쁘지 않으나 심한 증상을 보이는 소아들도 있다. 전체 환자 수의 10% 미만이 호흡곤란으로 인해 인공호흡이 필요하고 사망률은 1% 미만이다. 어린 영아들, 또는 천식이나 다른 폐질환을 이미 가지고 있는 소아들은 건강한 소아들에 비해 회복 기간이 더 연장되는 경향을 보인다.
진단을 위해 폐음 청진 소견에서 천명음을 들을 수 있고 숨을 내쉬는 시간이 정상보다 연장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호흡곤란으로 인해 소아들은 평소보다 더 빠르고 힘들게 숨을 쉬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흉부 방사선 촬영 결과 세기관지염이 있을 때 좁아진 세기관지를 통해 공기가 잘 빠져 나오지 못하므로 폐 전반에...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영아기의 혼자놀이 - 영아기 성장발달 (우리아이 성장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영아기 인지발달 (우리아이 성장백과)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231
의약품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55215&cid=51000&categoryId=51000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react/index.jsp
질병관리청 국가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index.jsp
아동간호학Ⅱ, 김희순 외, 수문사, 2018.
김영혜 외 14인(2018),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김영혜 외 14인(2018),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황옥남 외 4인(2018). 『성인간호학 상』. 서울: 현문사.
양선희 외(2017). 『기본간호학I』. 서울: 현문사
양선희 외(2017). 『기본간호학Ⅱ』. 서울: 현문사
원종순 외 3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서울: 현문사
서울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10
MSD 매뉴얼 일반인용 급성기관지염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D%8F%90-%EB%B0%8F-%EA%B8%B0%EB%8F%84-%EC%9E%A5%EC%95%A0/%EA%B8%89%EC%84%B1-%EA%B8%B0%EA%B4%80%EC%A7%80%EC%97%BC/%EA%B8%89%EC%84%B1-%EA%B8%B0%EA%B4%80%EC%A7%80%EC%97%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