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음절 구조에 대해 정리한 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한국어 음절 구조
2.2. 한국어 음절 제약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언어에서 음절은 매우 중요한 기본 단위이다. 발음과 청취의 최소 단위인 음절은 화자와 청자 모두가 하나의 뭉치로 인식하는 핵심적인 발화 단위이다. 비록 일상에서 의도적으로 단어의 음절수를 세어보지는 않지만, 우리의 두뇌 속에는 각 단어에 대한 정확한 음절 구조가 내재되어 있다. 만약 어떤 사람이 2음절 단어를 3음절로 잘못 발음한다면, 청자는 자신의 두뇌 내 3음절 단어 목록에서 그 단어를 찾으려 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그 단어를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음절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습득은 언어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절 구조와 그에 따른 음절 제약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한국어 음절 구조
한국어 음절 구조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의 한 음절은 초성과 중성, 그리고 종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성은 한 음절의 필수적인 부분이자 음절의 중심이 되는 '핵음'이다. 중성 앞에 오는 자음을 초성, 뒤에 오는 자음을 종성이라 ...
참고 자료
김미형,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9.
배주채, 언어학개론, 태학사, 2015.
Liu, Dongyu, 음절 구조의 차이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양상과 교육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교, 2013.
김미형,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국문화사, 2019.
조가유, 한국어와 대만 민남어의 음운적 대조 연구 : 음절구조, 음운체계, 음절구조 제약, 음소결합 제약, 음운변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이나래, 광동어권 화자의 한국어 폐쇄음 종성 발음 오류 양상 연구 : 음절구조제약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다우리 http://www.kddwsa.net/
희망나래 www.coophn.co.kr
연리지 http://www.yeonliji.com/.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교안
민현신 외, 2020, 한국어교사를 위한 한국어학개론, 사회평론아카데미
김진호, 200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박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