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전기차와 전기배터리가 중요한 이유
21세기에 들어 온난화, 환경오염으로 인해 비상사태에 놓여있다. 빙하는 녹아가고 석유 유전이 고갈될 때 4차산업 혁명과 함께 친환경적인 에너지 활용에 전 세계가 집중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런 시대 상황에 맞게 `2050 탄소 중립`을 목표로 세우고 전기 자동차 배터리를 전국 2000만 세대에 보급하고 저탄소 신산업 분야를 육성한다고 발표했다. 육성내용을 살펴보면 주요 신사업으로 재생에너지, 수소, 에너지 IT 등 3대 에너지 신산업을 키우고 철강·석유화학 등 탄소 다 배출업종의 저탄소화 전환을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수송 부문에서는 내연 기관 차량의 전기·수소 등 친환경 차 전환을 가속하고 대중교통·철도·선박 등 모빌리티 전반에 대한 혁신을 추진한다. 환경개선 효과가 큰 버스·택시·화물차 등 상용차를 중심으로 전기·수소 등 친환경 차 전환을 지원하는 한편 전국 2,000만 세대에 전기차 충전기를 보급할 방침이다. 또한, 도심·거점별로 수소충전소 2,000곳을 조성하고 그린 수소 생산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 이차전지·연료전지 한계돌파형 기술 개발을 통해 내연기관 대비 우수한 친환경 차 구매·유지 경제성을 확보한다는 목표가 있다. 이러한 목표들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볍고 편리하며 무엇보다 안정성과 안전성을 가진 전기차 배터리를 개발하는 것이 큰 관건이다.
1.2. 주요 전기차 배터리기업
세계 자동차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기업 LG 에너지 솔루션(前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은 점유율이 높다. 특히 COVID 19를 겪은 2020년, 많은 기업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으나 유일하게 한국기업들은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LG 에너지 솔루션은 한국의 화학물질, 의약품, 정밀화학 제조 기업으로, 석유화학 사업부문을 기반으로 정보전자소재, 전지사업 등을 안전하게 꾸려나가고 있다. 2020년 12월 1일 배터리사업을 분할시켜 독립법인을 세웠으며, 전 세계에 생산기지와 연구개발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삼성SDI는 전자관, 이차 전지 제조업체로 글로벌 에너지·소재 전문 기업이다.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중점으로 IT 기기와 전동 공구용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등을 생산하며, 동시에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첨단 소재도 만든다. 삼성SDI는 국내 배터리산업을 세계무대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1962년 국내 최초의 정유회사로 출범했으나, 이후 에너지·화학 분야 사업으로 분리・발전해왔다. 본격적으로 SK이노베이션이 출범한 것은 2011년 SK에서 화학, 석유, 2차전지사업을 분리하면서부터이다. SK이노베이션은 국내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늦게 뛰어들었지만, 빠른 속도로 국내 시장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등의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중국 CATL, 일본의 파나소닉, 중국 BYC 등이 세계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특히 CATL은 중국 정부의 지지와 지원을 받아 중국 내·외 자동차 브랜드의 배터리를 공급하며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LG 에너지 솔루션이 중국 내수장의 점유율을 빼앗아가며 CATL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1.3. 연간 누적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점유율
2020년 7월 배터리 시장 분석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LG화학이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에서 누적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53.3GWh로 2019년 같은 기간보다 16.8% 줄었다. 2020년 1~7월 누적 사용량은 13.4GWh로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