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학과 졸업 후 취업 및 진로에 대해 고찰하고 전공교과목과 토익 성적 향상을 위한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1.3. 용어 정의
2. 문헌고찰
2.1.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2.2.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2.3.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
3.4.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3.5. 자료 분석 방법
3.6.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4. 연구결과
4.1. 간호대학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2.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 수준
4.3.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 리더십
4.4.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4.5.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4.6.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
5. 논 의
6. 결론 및 제언
6.1. 결론
6.2. 제한점 및 제언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대학생들이 전문성을 갖추고 사회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전공선택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전공선택은 개인의 대학 생활뿐만 아니라 앞으로 직업 선택과 장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전공선택에 있어 자신의 적성과 자신감 그리고 흥미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최근 간호대학생은 본인의 적성과 흥미 등에 대한 고려보다는 취업 가능성이 높다는 기대와 부모의 권유나 성적을 고려하여 간호학과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을 통하여 간호사의 실무를 경험하고 간호전문직에 대한 가치관이 형성되며 간호에 대한 이미지 형성 및 전문 간호사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들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과중한 학습뿐 아니라 임상실습에 임해야 하므로 환자간호에 대한 무거운 책임감과 지식 및 경험부족, 엄격한 행동 규범 등과 관련된 역할적응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더욱 많은 스트레스에 접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흥미를 잃거나 자아존중감이 낮아져 부적응을 경험하고 진로정체감에 혼란 등을 겪게 될 수 있다.
1.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전공 만족도, 셀프 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 수준을 파악한다.
2)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를 파악한다.
3)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1.3. 용어 정의
'1.3. 용어 정의'
1) 전공선택 동기
(1) 이론적 정의: 전공을 고르는 행위의 원인이 흥미와 적성, 전공을 통한 자기 계발 가능성 등 행동에 대한 통제 쥐치가 내재적이었는지 인기나 취업 전망 등의 외재적이었는지를 말한다.
(2) 조작적 정의: 이 연구에서 전공선택 동기는 한예정(2014)이 구성한 도구로 자신의 적성이나 재능 그리고 흥미 등을 고려한 개인적 동기와 주변의 권유나 성적 그리고 사회적 인식 등을 고려한 사회적 동기에 대하여 측정한 점수로 정의한다.
2) 전공 만족도
(1) 이론적 정의: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전공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이다.
(2) 조작적 정의: 이 연구에서 전공 만족도는 신승호(2019)가 구성한 도구로 전공학과에 대한 인지도와 사회활동의 배경이 되는 인식 만족도, 전공영역에 대한 교수의 조언이나 전공을 심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계?교과 만족도, 교육 내용에 대한 흥미와 적성 그리고 가치 등의 일반만족에 대하여 측정한 점수로 정의한다.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라는 주제의 연구 문헌에서 인용한 용어의 정의이다.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 만족도의 이론적 및 조작적 정의를 설명하고 있다.
연구에 사용된 핵심 개념의 정의를 제시하고 있어 연구의 기반이 되는 이론적 틀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 만족도의 측정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연구의 방법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2. 문헌고찰
2.1.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여러 리더십 유형 중에서도 셀프 리더십은 자기 스스로 성취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 달성에 대한 보상을 스스로 정하거나 성취목표를 이루지 못했을 때 자아비판이나 처벌을 하는 등의 자율성을 강조한 리더십 유형이다. 셀프 리더십은 간호대학생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독립성과 자율성, 책임감에 영향을 주어 학생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에 대한 이해와 능동적인 관심이 필요한 전공만족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셀프 리더십은 취업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등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셀프 리더십이 높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낮고 임상실습만족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학과전공에 만족할수록, 임상실습에 만족할수록 셀프리더십은 높았다. 이처럼 셀프 리더십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관련 변수들과 관련이 높게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은 전공만족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셀프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2.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는 개인이 설정한 진로나 직업에 대한 기준과 비교하여 현재 자신이 소속한 전공학과를 평가하는 판단과정의 산물로, 전공을 공부하면서 느끼는 주관적 즐거움과 개인의 미래와 진로에 대한 긍정적 사고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경우 타과에 비해 이론과 실습의 전공필수 교과목 비중이 크고, 의사결정과 정확·신속한 업무수행에 대한 학업, 그리고 이미 진로방향이 결정되어 있다는 사고방식 때문에 진로에 대한 만족과 전공 적응에 많은 애로사항을 겪는다."" 간호대학생은 전공과목을 공부하면서 느끼는 즐거움과 진로에 대한 사고를 결합하여 전공에 대한 만족 정도를 평가하게 되는데, 자신이 현재 소속된 전공학과가 자신의 이상이나 진로, 미래 직업에 대한 기준과 일치한다면 전공만족도는 높게 나타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전공만족도는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업에 열중할 수 있어 간호사로서의 자질 향상과 의료인으로서 임무를 다하는 지식함양과 인격을 갖추게 되므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2.3.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이란 개인이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서 얼마나 노력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결정된 진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얼마나 충실하게 행위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관한 것으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형태의 차원을 의미한다""
간호대학생은 타과 학생들에 비해 이론과 실습의 전공필수 교과목 비중이 크고, 의료인으로서 의사결정, 정확·신속한 업무수행에 대한 학업, 여기에 이미 진로방향이 결정된다는 사고방식 때문에 진로에 대한 만족과 전공 적응에 많은 애로사항을 겪기도 한다""
간호대학생들은 높은 취업률에 이끌리거나 수능성적에 맞추어 간호에 대한 충분한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입학하고, 졸업 직후에는 80% 이상이 병원에서 일하는 고정된 진로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졸업 5년 후에는 병원 간호사 희망 비율이 25%로 줄어들면서 지역사회 간호사, 공무원, 교사, 해외 진출을 원하고 있어 장기적인 진로준비행동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간호대학생들의 간호행위에 대한 동기와 포부에 영향을 미치며, 신규간호사가 되었을 때의 이직률은 감소하고 현실적응력은 향상된다"" 또한 진로준비시기가 빠를수록 자신이 원하는 곳에 취업할 확률이 높고, 진로준비가 부족하면 취업 후 사회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연구된 진로준비행동에 관련된 요인은 용어 표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과 성격유형, 진로정체감, 진로효능감, 자기효능감 등 주로 내재적인 요인이었다"" 따라서 성공적인 취업과 취업 후 적응을 위해 간호학생들에게도 충분한 진로준비행동이 필요하다""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셀프 리더십, 전공 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3.2.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남 지역 M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 학생들이다. 본 연구에 필요한 표본의 수는 G*Pow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는 .3, 검정력 .8, 유의수준 .05를 유지하는 조건에서 최소 표본 수 82명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탈락률은 20%로 고려하여 최종 표본 수는 107명으로 산정하였다.
3.3. 연구도구
1) 셀프 리더십
셀프 리더십은 Manz(1983)가 개발한 설문지를 기반으로 김한성(2003)이 수정, 보완한 총 18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자기기대, 리허설, 목표설정, 자기보상, 자기비판, 건설적 사고 등 6개의 하위요인으로 각각 3문항씩 구성되어 있으며,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셀프 리더십이 높음을 의미한다. 김한성(2003)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87이었고, 본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2이었다.
2) 전공만족도
전공만족도는 미국 Illinois 대학에서 개발한 프로그램 평가조사(Progra...
참고 자료
조호진, 이종율 (2015).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간호전문직관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2), 8498-8508.
양남영, 문선영 (2011).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7(2), 216-225.
성지아, 방소연, 김순이 (2012).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인건강과학회지, 2(2), 29-38.
조헌아, 김남희 (2014).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간호전문직관, 간호사이미지, 간호전문직업성 핵심요소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4), 548-557.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2005).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안태성, 송영아 (2015).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21(1), 10-17.
남문희, 권영채 (2013). 병원간호사의 행복지수 영향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9(3), 329-339.
함연숙, 김화순 (2012). 학제에 따른 졸업학년 간호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영향 요인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19(3), 363-373.
박현주 (2015). 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사고 성향, 셀프리더십.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2), 227-236.
이금재, 이에리쟈, 최심영 (2013). 병원간호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1), 35-46.
황성자 (2006).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2), 205-213.
권영미, 윤은자 (2007).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 사회성,자아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3(3), 285-292.
박정원, 하나선 (2003).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2(1), 27-35.
유혜순 (2015).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 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2), 1129-1144.
한상숙, 김명희, 윤은경 (2008). 간호 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73-79
Weis, D., & Schank, M. J. (2000). An instrument to measure professional nursing values caring and activism are the two main factors in this eight-factor scal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2), 201-204.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Beck, D. L., & Srivastava, R. (1991). Perceived level and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ournal of Nursing Education, 30(3), 127-133.
김봉희, 신정하. 간호학과 성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가 학과적응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7(5):141-166.
양경희, 이정란, 박복남.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2;18(1):5-13.
김유정, 유하나, 박미정.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6;17(10):261-270.
최길순, 채민정. 일부 응급구조과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응급구조학회. 2013;17(1):51-62.
김덕진, 이정섭.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014;20(2):244-254.
이미라, 김미자.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가 간호사로서의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8;19(6):197-208.
정보연.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48.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89.
김미숙, 박소미, Wang chengying, et al.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전공만족도 및 직업관.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집. 2010;14(3):29-40.
박희민. 전문대학 학생중도탈락 요인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105.
김영희,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17(11):104-113.
윤지영. 비서학 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비서학회. 2014;23(2):111-132
천태중, 이걸재. 의료관광 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30(5):217-242.
한예정.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 조리·외식관련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149.
최상권. 경호학전공 대학생들의 가치관과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2;97.
김현주. 모델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 진로선택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3;76.
강명숙, 방은령.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전공만족도가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인간발달학회. 2015;22(4):21-46.
이은희.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들의 Big 5 성격요인이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 의사결정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강정원.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12(7):299-315.
장효임.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대학생활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55.
김민아. 무용전공 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자신감 및 학과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56.
영적안녕과 자아존중감이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오지현.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14;14(10):873-884.
이지원, 성보라, et al. 성인의 생애주기별 진로적응과업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25(4):1073-1108.
김정현. 대학의 사회적 자본이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144.
[26] 양남영, 문선영.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19(1).33-42.
남동하. 대학생의 학과선택에 따른 부모의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87.
백지숙. 대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06;4(1):3-17.
박계란, 이지민.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011;29(1):89-99.
Oh, Y. J. A study on the university life of transfer students after transferenc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6; 24(2):451-474.
방성용.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9학년도 전문대학 입시결과 발표.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9; 1(255), 1-12.
보건복지부. 2015 보건복지통계연보 [Internet]. 연구/조사/발간자료; 2015 [cited at 2020 05 19].Available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47.
신혜정, 박현정. 간호대학생의 전공몰입 경험이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17(22):643-664.
곽윤경.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산학기술 학회논문지. 2013; 14(5):2178-2186.
박인숙, 한용준. 간호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정체감, 스트레스 대처와 전공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취업 진로연구. 2017; 7(1):145-167.
권영미, 윤은자.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과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07; 13(3):285-292.
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간호전문직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005; 35(6):1091-1100.
정유정, 이혜상, 김규수. 유아셀프리더십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08; 13(3):277-293.
Neck CP, Houghton JD. Two decades of self leadership theory and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6;21(4):270-295.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63097
Manz CC, Sims HP.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91;19(4):18-35. http://dx.doi.org/10.1016/0090-2616(91)90051-A
이종율, 조미혜.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셀프 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과정의 관련성 비교연구. 한국 고등 직업교육학회논문집. 2012;13(3·4):241-253.
김경혜, 김경덕,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7;13(2):229-236.
Irvine D, Leatt P, Evans MG, Baker RG. Measurement of staffempowerment with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Journal ofNursing Measurement. 1999;7(1):79-96.
Min BC, Lim SW, Kim HK, Rhee HS. The influence factors andeffects of self-leadership: Focusing on members of the hospitals.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23(1):66-77. http://dx.doi.org/10.4332/KJHPA.2013.23.1.066
남문희, 김혜옥.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14(1):262-273.
박인숙, 한용준. 간호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정체감, 스트레스 대처와 전공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2017;7(1):145-167.
김유정, 유하나, 박미정.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016; 17(10):261-270.
박경선. 치위생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석사학위논문]. 제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년 08월
김봉환, 김계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97; 9(1):311- 333.
김지현, 소병한, 전이제, 권준용, 송지훈. 신입사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업가치의 매개효과와 기업교육훈련의 조절효과 검증.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017;19(4):155-185.
조대연, 두민영. 첫 일자리 만족도에 따른 대졸청년층 취업자의 유형 분류 및 특성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016;18(1):29-56.
이승구, 이제경.한국 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008; 21(3):1-25.
문인오, 이경완.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0;16(1):83-91.
조성연, 이선순. 성인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06;19(1):127-140.
정미현, 신미아.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6;12(2):170-177.
장태정.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셀프 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p.1-54.
강윤심.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제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p.1-68.
신승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부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p.1-62.
안형준.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 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춘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p.1-71.
임은미, 송미숙, 이수진(2011).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전공전환 준비도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4(4):1-20.
박수진, 구영애, 오윤자. 대학생의 진로 및 가치관에 따른 대학생활의 만족도차이에 관한 연구-K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생을 중심으로(2013년~2016년). 취업진로연구. 2017;7(1):121-144.
김은미, 유은영.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건과복지. 2018;20(3):81-99.
박효미, 이혜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 적응성 및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5;15(8):304-312.
고영지, 김인경.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11;17(1):62-71.
방경숙 등. 간호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009;15(1):22-31.
이승구, 이제경. 한국 대학생의 취업목표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및 첫 직장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008;21(3):1-25.
문인오,이경완.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2010;16(1):83-91.
Rönkä,A.,& Pulkkinen,L.Accumulation of problems in social Functioning in young adult hood:A developmental approach.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5;69(2):381.http://dx.doi.org/10.1037/0022-3514.69.2.381.
김남진.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산 :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3. p.1-62.
윤주영. 진로결정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수준 및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p.1-94.
Manz, C.C. & Sims, H.P. Business without bosses: How Self-Managing teams Are Building High-Performing Compan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5
이정선,김경아.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취업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2; 16(2):19-39.
박민아.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대구. 2009. p.1-42.
양남영,문선영.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셀프리더십,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11; 17(2):216-22.
한선희,유혜순. 일 지역 간호대 학생의 셀프리더십,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자기노출.한국간호교육학회지.2012,4; 18(1):130-139.
최지연.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지대학교[박사학위논문], 대전.2016. p.1-85.
이규영. 수도권지역 간호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수준. 교육문화연구, 2016,11;22(6): 233-253.
김경하.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2018. p.1-131.
이종찬, 홍아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진로 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26(1):69-92.
정유정,이혜상,김규수. 유아셀프리더십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08;13(3):277-293.
남문희, 김혜옥.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 14(1):262-273.
박혜선.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전공 학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5. p.1-46.
한예정.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에 따른 수업참여도와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의 영향관계 연구: 조리·외식관련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p.1-146.
김지연.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영향 요인.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p.1-74.
박현정, 오재우.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2014; 12(12):417-426.
황정희.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이 전공만족도 및 취업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p.1-115.
권영미,윤은자.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사회성,자아 존중감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2007; 13(3):285-292.
남문희, 이미련.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57(9). p.465-477.
Barron,D.,West,E.,& Reeves,R. Tiedtothejob: affectiveandrelationalcomponentsofnurseretention.JournalofHealthServices. Research& Policy,2007; 12(1): 46-51.http://dx.doi.org/10.1258/135581907780318419
윤은자,권영미,안옥희. 간호전문직관 측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2006; 35(6):1091-1100.
이동재. 남자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성정체감,성고정관념의 관계. 석사학위논문,연세대학교,서울. 2004. p.1-59.
안형준.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정체감, 진로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2013. p1-61.
강정원. 대학생의 전공에 대한 학업적 흥미, 대학생활 적응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2018; 12(7):299-315.
양수진, 송영수.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15; 22(12):443-470.
오은진, 공정현.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및 진로태도성숙,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통합의학회. 2019;7(1):135-144.
김보경.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 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p.1-177.
장태정.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p.1-54.
김자선. 간호대학생의 소명의식, 사회적 책임성, 셀프 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p.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