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교학점제 토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고교학점제 개념과 사례
2.1. 고교학점제의 정의
2.2. 미국의 고교학점제
2.3. 핀란드의 고교학점제
3. 한국의 고교학점제 도입 현황
3.1. 도입 배경 및 취지
3.2. 시범 운영 현황
3.3. 도입을 위한 제반 조건
4. 고교학점제 도입의 쟁점과 과제
4.1. 교육 현실과 교육담론 간의 괴리
4.2. 교원 확충, 공간 마련 등 현실적 한계
4.3. 학생의 자율적 과목 선택 역량 보완 필요
5. 고교학점제의 발전 방향
5.1. 단계적 도입을 통한 정착 기반 마련
5.2. 교육과정 및 평가체제의 개선
5.3.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자율성 확대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도 대학과 유사한 학점제를 도입하려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는 학생들에게 진로와 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권을 보장하고, 교사의 자율성을 확대하며, 획일적이고 경직적인 교육체제를 유연화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제안되었다. 미국과 핀란드 등 주요 국가의 고교학점제 도입 배경과 운영 방식을 살펴보고, 한국의 고교학점제 도입 현황과 과제를 파악함으로써 이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선결 과제와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고교학점제 개념과 사례
2.1. 고교학점제의 정의
고교학점제란 고등학생들이 진로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이수하고, 누적된 학점이 일정한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이다.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목표를 확실히 하고 개인의 학습 진도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고교학점제는 대학에서의 학점제와 유사한 제도이지만,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와 교사의 자율성 강화를 통해 고교 교육 전반의 혁신을 목표로 한다.
2.2. 미국의 고교학점제
미국이 고교학점제를 최초로 실시하였다. 이는 대학교수 퇴임연금제도의 도입에서 출발한다. 퇴직하는 대학교수들에게 연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학 입학 자격심사 기준에 고등학교의 학업 성과 판단 기준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학들은 고등학교에 카네기 단위제 채택을 요구하였고, 고등학교들은 이를 수용하였다.
미국 고교학점제는 대학교의 학점제를 모방한 것이다. 미국 대학에서 시작된 선택과목제도를 고등학교에 도입하고자 했는데,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수강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단위가 필요했다. 이에 학업성과의 판단기준으로 '수업시간의 양'을 제시한 것이 학점제의 시초가 되었다.
미국의 고등학교에서는 지역이나 설립주체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의 자율권을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주립대나 사립대학들은 고교생이 이수해야 할 최소한의 교과목이나 학점 요건을 각자 지정하고 있다. 고교생들은 자신이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입학 요건을 확인하여 그에 맞는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미국 고교생들은 4년간 보통 22-26단위를 이수한다. 이때 1단위는 60분씩 주 4-5회, 연 24-30주, 총 120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졸업 요건으로 대부분의 주에서 고교졸업학점을 요구하고 있다.
고등학교의 경우 학년에 관계없이 학생의 흥미나 진로, 적성에 따라 수업을 신청할 수 있는 무학년제와의 결합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일부 과목에서는 신입생(9학년)과 10~12학년의 수강을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성적 평가 방식에 있어서는 과목의 난이도에 따라 가중점수를 부여할지, 표준과목과 동일한 점수체계를 적용할지 지역마다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대학과정을 미리 이수하거나 학점 보충 및 재이수를 통해 학점을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최근에는 단위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기술의 발달로 모든 것을 수업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수업의 유연성과 질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시간이 아닌 능력 중심의 새로운 학업성취도 측정 제도를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2.3. 핀란드의 고교학점제
핀란드는 1945년까지만 해도 산업이 발달하지 못했으며 천연자원도 풍부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교육 체계도 직업교육과 대학교육의 이원화된 체제를 취하였다. 그러나 1963년 핀란드 의회에서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해 공교육을 강화하기로 결정하면서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는 2차 세계대전 이후 '평등'을 중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기존의 이원적 체제가 사회적 계급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에 힘입어 국가 주도하에 중앙집권적으로 실시될 수 있었다.
핀란드만의 높은 평등주의 의식은 공평한 교육을 강조하는 토대가 되었다. 1994년 개정부터 핀란드 국가교육과정은 수업 운영의 유연성을 바탕으로 한 개인화된 학습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필수 이수 교과목을 제외한 선택 과목에 대한 수업 시간은 학교 수준에서 자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게 하였으며, 2004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개인의 필요에 따른 학습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신체·발달 장애뿐만 아니라 가정 환경, 학습 곤란도 등의 개인 조건도 학습 계획 수립 시 고려하도록 하였다. 핀란드는 2005년부터 대학생, 2016년부터는 영·유아 교육과정에서도 교사와 심리사의 관찰 및 판단에 따른 개인화 학습계획을 도입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에는 현상기반 학습을 기반...
참고 자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642267&memberNo=3674
5374&vType=VERTICAL http://www.eduj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008 https://blog.naver.com/gne_education/222003399977
김혜영, 홍후조. (2018).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6(1), pp.246-277
홍후조. (2018).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pp. 699-724
서경혜, 김란주. (2018).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과정연구』, 36(1), pp. 113-138.
최정희. (2014). 「단위제 교육과정 도입과 적용과정의 문제점」, 『교육종합연구』
최정희. 이길상 (2015). 「미국, 일본, 한국의 단위제 교육과정 비교 연구」, 『교육문화연구』
정예나. (2014). 「미국 공통핵심기준 개발의 쟁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강현석. (2018). 「고교학점제 이해와 안착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이경아. (2017). 「고교학점제 도입과 지역-학교의 협력」. 민주연구원.
교육부. (2018).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매뉴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부
이현. (2018).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비평』 (41), pp. 77-144
제주교육정책연구소. (2017). 고교학점제 및 과목 선택권 확대를 통한 학생 맞춤형 교육 적용 방안 연구.
최정희, 이길상. (2015). 미국, 일본, 한국의 단위제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 제 21권 5호 pp.3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