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오로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오로라와 태양의 흑점
1.1. 오로라의 색과 모양
1.2. 오로라의 발생 원리
1.3. 태양 흑점 주기와 오로라의 관계
2.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오로라 관측
2.1. 오로라 관측 지역 및 특징
2.2. 조선시대의 오로라 관측 기록
2.3. 조선시대 당시 오로라에 대한 인식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오로라와 태양의 흑점
1.1. 오로라의 색과 모양
오로라는 다양한 색상을 띠며, 녹색 또는 황록색이 가장 일반적이다. 때로는 적색, 황색, 청색, 보라색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오로라란 용어는 라틴어 'aurora'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여명을 의미하는 로마신화의 여신 이름에서 비롯된 것이다. 극광 또는 노던 라이트라고도 불리며, 동양에서는 적기(赤氣)라고 칭한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된 대전 입자들이 지구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대규모 방전 현상이다. 태양은 항상 양성자와 전자로 이루어진 플라즈마를 내뿜고 있는데, 이를 태양풍이라 한다. 대부분의 태양풍은 지구 자기장 밖으로 퍼지지만, 일부는 지구 자기장에 끌려 반알렌대라는 영역에 갇히게 된다. 이 대전 입자들이 대기 중의 분자와 충돌하면서 분자 내부의 전자가 여기되고, 다시 안정된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 오로라이다.
흑점은 태양 활동의 주기와 일치하며, 평균적으로 11년을 주기로 변동된다. 태양 활동이 활발할수록 흑점의 개수와 크기가 증가하며, 흑점 근처에서는 태양 표면 폭발인 플레어가 자주 발생한다. 플레어에 의해 대량의 고에너지 입자가 방출되고, 이것이 지구에 유입되면 강력한 자기 폭풍과 오로라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오로라의 발생 빈도는 태양 활동 주기의 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2. 오로라의 발생 원리
태양은 항상 양성자와 전자 등으로 이루어진 대전입자를 방출하고 있다. 태양에서 모든 방향으로 내뿜는 이런 플라즈마의 흐름을 태양풍이라 한다. 대부분의 태양풍은 지구의 자기장 밖으로 흩어지지만, 일부는 지구의 자기장에 끌려 반알렌대라 불리는 영역에 붙잡힌다. 반알렌대는 조개 모양으로 지구 주위에 구부려져 있고 극쪽에서는 지표에 근접해서 구부려져 있다. 대기 속에서 공기 분자와 대전입자가 서로 충돌하면 기체 분자 내부의 전자가 여기된다. ...
참고 자료
안병호, 지건화, 2015,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오로라 이야기
Hannu Karttunen, 2012, 제 5판 천문학
Michael Zeilik, 2015, 제 4판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김성혜, 2010, 오로라와 태양활동 그리고 지자기수 간의 관계
양홍진, 박창법, 박명구, 1998, 고려시대 흑점과 오로라 기록에 보이는 태양활동주기
K.Shiokawa, 2005, Low-latitude auroras observed in Japan: 1999-2004, 5
Naoto Kawai and Kimio Hirooka, 1967, Wobbling Motion of the Geomagnetic Dipole Field in Historic Time During These 2000 Years, 1,5
차지완,“한반도 상공서 오로라 찍었다... 국내 천문 역사상 처음”,2003.11.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212507
위키백과, “오로라”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B%A1%9C%EB%9D%BC, 2018.11.26.,
미항공우주국, “aurora”,
https://www.nasa.gov/content/about-auroras, 2018.4.12.,
생활 속 별과 우주 이야기, “오로라 빛의 정체-오로라 이야기2”https://www.nasa.gov/content/about-auroras , 2015.3.2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www.eaae-astronomy.org/WG3-SS/WorkShops/Auroras.html
http://abundanthope.net/pages/Environment_Science_69/Pole-Shift-North-Races-South-Crawls.shtml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