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매머드 생태 탐사
1.1. 관심 동기
최근에 애니메이션 '아이스 에이지 2'를 보았다. 영화에서는 해빙기에 접어들며 얼어있던 빙하들이 녹기 시작해 대홍수가 일어나고, 이로 인해 주인공 매니를 제외한 전 매머드가 멸종한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이것이 과연 사실일까?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매머드의 생태와 멸종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멸종 동물의 복원과 관련하여 매머드가 어떻게 부활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에 매머드에 대한 사전 지식들을 살펴보고, 어떤 곳을 방문하면 좋을지 알아보고자 한다.
1.2. 매머드의 속성 및 서식지
매머드는 우리에게는 맘모스란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Mammoth라는 영어 표기에도 불구하고 실제 발음은 매머드이다. 이들은 주로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에 서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일본이나 스페인 등지에서도 이들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 매머드는 초식동물이며 3~5m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코끼리의 조상이라는 설이 있으며 다른 점은 커다란 상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큰 개체의 경우 상아만 2m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젠켄베르크 자연사 박물관에는 매머드의 화석이 전시되어 있다.
1.3. 매머드의 멸종
최근까지 번성했던 매머드가 왜 멸종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두 가지 이론이 있다. 하나는 인간에 의한 과잉 살육이고, 다른 하나는 빙하기 말의 급격한 기후 변화에 따른 멸종이다. 두 번째 가설이 더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기후 변화에 의해 매머드뿐만 아니라 많은 초식동물들이 당시에 멸종했기 때문이다. 즉, 기후 변화로 인해 매머드 서식지인 초원지대가 줄어들거나 멸종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학계에서는 기후 변화가 매머드와 같은 많은 생물들의 멸종을 초래한 주요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1.4. 냉동 매머드의 발견 및 그 특성
최근 시베리아 지방에서는 냉동 매머드가 관찰되어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이들은 살아있을 때의 신체 조직을 거의 유지하고 있어 DNA 정보 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복제 기술이 발달되면 매머드를 다시 부활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하게 한다. 단지 오랜 시간이 흘러 DNA 정보들이 온전치 않아 연구가 쉽지 않다. 이러한 냉동 매머드의 발견으로 인해 멸종된 동물들을 복원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이 보여지고 있다.
1.5. 매머드의 관찰 계획
일본 유가길 매머드 박물관을 방문하여 매머드 관련 전시물을 관람하고, 이후 러시아 극동 지역으로 이동하여 페트로 하바로프스크, 캄차카, 야쿠츠크 등을 거치며 영구동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