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아동의 발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형 교육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찰과 기록이 필수적이다. 만 0세 아동의 경우, 신체, 인지, 사회정서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더욱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 0세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아동관찰일지 작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 발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교육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아동관찰일지 작성
2.1. 일상생활 관찰
유아는 오전 간식 시간에 교사가 손으로 바나나를 잘게 으깨어 제공하자 눈을 반짝이며 바라보았고, 입을 벌려 적극적으로 받아먹었다. 식감이 마음에 드는 듯 입을 오물거리며 천천히 씹었고, 간식 시간이 끝날 무렵에는 손을 내밀며 더 달라는 듯한 행동을 보였다. 교사가 "다 먹었네, 맛있었어?"라고 말을 걸자 유아는 옅은 미소를 지으며 교사 얼굴을 응시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는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저귀를 교체할 때 유아는 눕혀진 상태에서 교사의 얼굴을 바라보며 옹알이를 하였다. 기저귀를 교체하는 동안 편안한 표정을 유지하였고, 교사가 "기저귀 갈자~ 상쾌하지?"라고 말하자 옹알이로 반응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 상황 속에서도 유아가 정서적 안정감을 유지하며 교사와의 눈맞춤을 즐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점심시간에 교사가 이유식을 숟가락으로 떠서 유아 앞에 가져가자, 유아는 입을 벌려 적극적으로 받아먹었다. 식사 도중 숟가락을 바라보며 손을 뻗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며, 교사가 작은 스푼을 손에 쥐어주자 스스로 입에 가져가려는 시도를 보였다. 입 주변에 묻은 음식은 손가락으로 만지기도 했으며, 흘리는 양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식사에 흥미를 보이며 긍정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었다.
낮잠 시간에 교사가 포근한 담요를 덮어주며 자장가를 불러주자 유아는 교사의 얼굴을 바라보다가 서서히 눈을 감았다. 자는 동안 자세를 고쳐주었을 때 잠시 깼지만 울지 않고 다시 스스로 잠들었으며, 약 1시간 30분 동안 숙면을 취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유아의 수면 습관이 형성되고 있으며, 교사와의 애착 관계 안에서 편안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전 등원 시, 보호자와 함께 교실에 들어선 유아는 처음엔 주변을 살피며 교사 품에 안겨있었다. 교사가 "좋은 아침~ 000 왔네?"라고 인사하며 안아주자, 유아는 교사 얼굴을 바라보며 천천히 미소를 지었다. 잠시 후 교사의 품에서 내려와 매트 위에 앉아 주변 장난감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등원 초기에는 긴장된 모습을 보였으나 교사의 따뜻한 반응에 안정을 찾고 주변 환경에 관심을 보이며 적응하는 모습을 알 수 있다.
외부활동 후 기저귀를 교체하려 하자 유아는 매트 위에 누운 채 다리를 들어 올려주는 반응을 보였다. 기저귀를 갈고 있는 동안 교사의 얼굴을 바라보며 손을 뻗기도 했고, 교사가 "000 기분 좋아?"라며 말을 걸자 옹알이와 미소로 반응하였다. 이를 통해 기저귀 갈이 시간이 유아에게 불편함보다 안정적인 교감의 시간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2. 놀이활동 관찰
다음과 같은 놀이활동 관찰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색색의 천을 아동의 눈앞에서 흔들며 "이건 빨간색이야~"라고 말하자 OOO는 천을 눈으로 따라가며 시선을 고정한다. 천이 몸에 닿았을 때는 깔깔 웃으며 손을 뻗었고, 손끝으로 천을 만지며 촉감을 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