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일본 쇼군과 천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일본 중세 국가론에 대한 고찰
1.1. 가마쿠라막부시기 권문(權門)체제론과 동국(東國)국가론
1.1.1. 권문체제론의 성립과 한계
1.1.2. 동국국가론의 성립과 한계
1.2. 중국의 황제와 일본의 천황
1.2.1. 황제의 성격
1.2.2.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천황과의 비교
1.3. 에도 막부의 역사와 일본 근대화의 시작
1.3.1. 에도 막부의 수립과 도요토미 가문의 몰락
1.3.2. 기독교 탄압과 키리시탄
1.3.3. 쇄국정책의 시작
1.3.4. 쿠로후네 사건과 일본의 개항
1.3.5. 막부 해체와 근대화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일본 중세 국가론에 대한 고찰
1.1. 가마쿠라막부시기 권문(權門)체제론과 동국(東國)국가론
1.1.1. 권문체제론의 성립과 한계
근대 역사학의 태동 이후 전후인 1950년대까지 일본중세사 연구자들은 고대에서 중세로의 변혁 주체로서 무사(그 중에서도 특히 동국의 무사)를 설정하고, 그들이 가마쿠라막부라는 무가정권에 결집하여 고대 국가인 조정의 공가정권(公家政權)을 극복해가는 과정을 역사의 진보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특히 이시모다 쇼(石母田正)로 대표되는 전후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들은 무사를 봉건적 영주라는 의미에서 재지영주(在地領主)로 규정하고 봉건제를 추진하는 역사의 주체로 적극 평가하였다. 이른바 재지영주제론 또는 영주제론이라 불리는 이 학설은 봉건국가의 발전을 가마쿠라막부로 대표되는 무가정권을 중심으로 파악하려는 전후 일본 역사학의 기본적인 인식의 틀을 제공하였다.
이시모다의 설은 일본의 중세를 장원을 배경으로 벌어진 재지영주(도시타카)의 성장과 이를 가로막는 장원영주(도다이지)의 항쟁으로 묘사하면서, 장원영주를 고대적 세력으로 재지영주를 중세적 세력으로 규정하여 양자를 대비시킨다는 특색을 지녔다. 그러나 그 후 연구가 진전되면서 장원영주나 재지영주 모두 장원을 기반으로 존재했다는 점이 밝혀져 계급적으로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양자를 대립적인 관계로만 파악할 수 없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 이러한 영주제론에 입각한 중세론을 정면으로 비판하면서 새롭게 등장한 학설이 구로다 도시오의 권문체제론이다. 그는 1963년 발표된 논문 '日本中世の?家と天皇'에서, 종래의 통설이 가마쿠라막부시기를 고대적인 귀족정권과 봉건적인 무가정권의 대항 혹은 이중정권의 시대로 보고 후자가 전자를 압도하여 국가로 성장해나가는 과정으로 파악하는 관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귀족·무사를 포함하여 모든 지배계급이 농민을 비롯한 전인민을 지배하는 여러 기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그에 따르면, 국정에 영향력을 가진 봉건적 지배계급인 권문세가(權門勢家)는 현귀(顯貴)한 문관(文官)인 공가(천황·왕신가), 국가를 진호(鎭護)하는 사원(寺院)·신사(神社) 등으로 이루어진 사사(寺社), 무력(武力)으로 국가를 수호(守護)하는 무가의 세 유형으로 대별되었다. 이들 권문은 권세 있는 가문, 권위·세력을 지닌 문벌가를 뜻했는데 관직이나 관제상의 지위를 의미하기보다는 제도 외적인 측면이 강하며, 하나의 문벌가가 아니라 복수의 불특정 다수를 의미했다. 국정상의 직능을 분담하는 각 권문은 상호 대립과 동시에 보완 관계를 맺으며 하나의 국가권력기구, 곧 권문체제를 구성하고 있었다.
구로다는 이 같은 권문체제가 11세기 후반 원정(院政)의 성립 시점부터 15세기 중엽 오닌(應仁)의 난 무렵까지 지속되었다고 보았다. 고대 율령체제(律令體制)와 근세 막번체제(幕藩體制)에 상응하는 가마쿠라막부의 중세적 지배체제를 가리키는 개념으로 권문체제를 제시한 것이다.
구로다가 볼 때 가마쿠라막부의 성립은 무가라는 독자적인 정권의 출현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그것은 권문체제의 심화에 불과하며 무가정권이 파견한 슈고(守護)·지토(地頭)의 직권도 공가·사가 등의 권한과 상호 보완적인 것으로 막부만이 국가 권력을 독점한 것도 아니었다. 어떤 개별 권문은 다른 권문을 압도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권문 간에 발생하는 상호 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통합자·중재자로서 천황이 필요했던 것이다.
한편 권문체제론의 등장으로 수세에 처해 있던 재지영주제론자들은 여기서 많은 시사점을 얻어 이른바 율령국가 허구론을 펼쳤다....
참고 자료
남기학. (2014). 「鎌倉幕府論의 展開와 現狀」. 『동양사학연구』, 126, 151-188.
남기학. (2014). 「鎌倉幕府觀의 시대적 변천」. 『일본역사연구』, 40, 181-209.
박수철. (2014). 「일본 중세 국가론의 현황과 과제」. 『일본비평』, (11), 274-303.
이병로. (2007). 「한국에서의 일본사연구의 현황과 전망」. 『일본문화연구』, 22, 147-168.
신종대. (2007). 「가마쿠라막부의 전개와 호조씨의 막부 정치 장악과정에 관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13, 443-464.
연민수, 1998, 『일본역사』, 보고사
구태훈, 2016, 『일본고중세사』, 재팬리서치21
아사오 나오히로, 2003, 『새로 쓴 일본사』, 창비
필동정담] 중국 황제, 일본 일왕, 매일경제, 2019.5.7.
역사와 현실] 천황인가, 일왕인가, 경향신문, 2021.5.13
장영숙, 메이지유신 이후 천황제와 大韓國國制의 비교 - 전제군주권적 측면에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85권, 20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