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양한 가족의 출현은 사회적으로 위기인가 그렇지 않은가에 대한 각자의 견해를 제시해주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의 다양성과 위기론
2.1. 가족 위기론
2.2. 가족 진보론
3. 가족생활교육의 주제영역
3.1. 미국가족관계학회의 가족생활교육 주제영역 및 세부 내용
3.2. 선정 시 중요시해야 하는 부분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우리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가족'의 모습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에는 특정 형태의 가족이 보편적으로 여겨졌으나, 오늘날에는 한부모 가족, 조손 가족, 다문화 가족, 1인 가구 등 매우 다양한 형태의 가족들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가족 형태의 변화는 산업화, 도시화와 같은 사회 구조적 변동뿐만 아니라, 개인주의 가치관의 확산,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다. 특히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 및 경제활동 참여 증가는 가족 내 역할 분담 및 관계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혼율 증가, 재혼 증가, 국제결혼 증가 등 인구 사회학적 변화 또한 다양한 가족 형태의 출현을 가속화하고 있다.
2. 가족의 다양성과 위기론
2.1. 가족 위기론
가족의 위기론이란 가족의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위기 또는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가족위기론자들이 말하는 가족의 위기는 급격하게 새로운 형태의 가족출현으로 본래가지고 있던 가족의 구조와 기능상의 약화와 삶의 방식의 혼란과 갈등을 의미한다. 이들은 인간의 욕구인 쾌락을 쫓는 쾌락주의에 의해 가족의 변화 원인을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이기주의를 원인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사회가 산업화가 되며 점점 도시화로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의 가치 증대와 자아실현의 욕구가 강조되어, 자녀를 보호하고 사랑과 연대감을 주는 정서적인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여 이혼한 가정, 또는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와 독신으로 삶을 사는 가구 등이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가족위기론자들이 주장하는 이상적인 가족형태는 전통적으로 가족에서 보여지는 것은 성별분업에 의한 핵가족이며, 남자는 생계를 부양하고 여자는 가족들을 보살피고 가족 안 살림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가족이라는 특별하고 특유한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것이며, 가족 안에서 만이 제공할 수 있는 정서적인 유대감과 상호의존을 중심으로 두고 있다. 이혼 가정과 동거 또는 동성애 부부와 같은 새로운 가족의 형태는 이러한 정서적인 것들을 채우기 위해 대체하...
참고 자료
최선화 외, 『변화하는 사회의 가족복지』, 학지사, 2020, p. 30-80.
윤소영 외, 『가족문화 변화를 읽다』, 도서출판 신정, 2018, p. 15-45.
강준린, 『가족을 변화시키는 56가지 이야기』, 북씽크, 2014, p. 110-150.
홍봉수 외, 『가족복지론』, 공동체, 2019, p. 10-20.
여성가족부 공식누리집주소 https://www.mogef.go.kr/sp/fam/sp_fam_f001.do
전세경, 가족생활교육, 양서원, 2013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가족생활교육, 교문사, 2011
이기숙, 가족생활교육, 신정, 2010
박경일,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박희숙, 강월숙,고선영 가족복지론, 공동체
한국가족문화원, 가족과 한국사회, 경문사
'생활고' 두 자녀 버린 20대 부부 붙잡혀 YTN,
http://www.ytn.co.kr/_ln/0103_201102081305316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