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호흡부전은 간단히 말해 급작스러운 호흡기계의 장애를 의미한다. 충분한 산소를 얻지 못해 신체대사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이는 생명이 위협받는 상황이다.
호흡부전의 객관적 증거로는 실내공기 호흡 시 동맥혈의 PaO₂ < 50mmHg, PaCO₂ > 50mmHg, pH < 7.30을 들 수 있다. 호흡부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중추신경계 억제, 척수·말초신경 장애, 근육신경장애, 흉곽 질환, 상하기도 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중 산소 부족이나 산소독성, 패혈증 등의 상황에서도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호흡부전의 병태생리로는 저압력 산소 흡입, 폐포 저환기, 환기/관류 장애, 확산장애 등을 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이 발생하고, 주요 장기의 기능 저하로 이어진다.
호흡부전 환자의 임상증상으로는 뇌 기능 저하, 심혈관계 증상, 호흡기계 증상, 대사성 증상 등이 나타난다. 치료의 목적은 저산소혈증과 호흡산증을 개선하고,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산소요법, 기계환기, 호흡재활 등의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2. 문헌고찰
2.1. 정의
급성 호흡부전은 간단히 말하면 갑작스런 호흡기계의 장애로 정의할 수 있다. 충분한 산소를 얻지 못하여 신체대사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 장애를 동반하여 생명이 위협을 받은 상태를 말한다. 객관적 증거로서, 환자가 실내공기로 호흡할 때 동맥혈의 PaO2 < 50mmHg, PaCO2 > 50mmHg, pH < 7.30로 알 수 있다.
2.2. 병태생리
급성 호흡부전은 폐포-모세혈관 간 가스교환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환기부전, 산소화부전, 환기와 산소화부전의 혼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환기부전은 폐나 흉벽의 구조적 장애, 호흡조절중추 결함, 호흡근 기능 장애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폐로 들어가는 산소가 부족하고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못한다.
산소화부전은 폐의 환기 기능은 정상이지만 관류가 비정상적인 경우로, 가스교환이 불충분하여 저산소혈증이 발생한다. 환기-관류 불균형이 주된 원인이다.
환기와 산소화부전이 혼합된 경우에는 저산소혈증이 더 심각하게 나타난다. 이는 환기와 관류 모두 저하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급성 호흡부전은 폐포-모세혈관막에서의 가스 교환 장애가 핵심 병태생리이다. 이로 인해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이 발생하게 된다.
2.3. 원인
급성 호흡부전의 주요한 원인들은 다음과 같다.
중추신경계 억제는 뇌 기능 억제나 약물의 과량 투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뇌종양, 뇌혈관질환, 감염, 뇌졸중, bulbar poliomyelitis 등의 질환이나 진정제, 마취제, 마약성 진통제, barbiturates, 신경안정제 등의 약물 남용으로 인해 호흡 중추가 억제될 수 있다.
척수나 말초신경계 장애인 척수 손상, 상부 흉수 외상, 척수염, 길랭-바레 증후군, 루게릭병 등이 호흡 근육의 기능 장애를 일으켜 호흡부전을 유발할 수 있다.
근육신경계 질환으로는 tetany, botulism, 유기인산염 중독 등이 호흡근육의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흉곽의 기형, 외상, 자연기흉 등이 호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도 질환으로는 세균감염, 이물질 흡인, 알레르기, 열상 등의 염증성 질환과 종양이 있다.
하기도 질환으로는 폐렴, 천식, 낭성 섬유증, 만성폐쇄성 폐질환, 폐색전증, 울혈성 심부전, 급성 심근경색 등이 있다.
호흡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기타 요인으로는 고지대에서의 저산소증, 산소 중독, 흡연, 패혈증, 수혈, 지방 색전증, 급성 췌장염, 방사선 치료 등이 있다.
이와 같이 급성 호흡부전은 중추신경계, 신경근육계, 흉곽, 기도, 폐 및 심혈관계의 다양한 질환과 요인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원인과 기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2.4. 임상증상
환자의 호흡곤란, 빠른 호흡, 보조근육 사용 등의 호흡기계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신경계 증상으로 불안, 혼돈, 지남력 상실, 의식 저하 등이 관찰된다. 심장계 증상으로 빈맥, 부정맥, 발한, 저혈압 또는 고혈압 등이 나타난다. 방사선검사 상 폐 침윤, 무기폐, 기흉 등의 소견이 확인된다.
구체적으로 호흡곤란, 빠른 호흡, 호흡 시 보조근육 사용 등 호흡기계 증상이 관찰된다. 이 외에도 불안, 혼돈, 지남력 상실, 의식 저하 등의 신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