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수막종에 대한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2. 뇌수막종 개요
2.1. 정의
2.2. 원인 및 병태생리
3. 증상 및 진단
3.1. 증상
3.2. 진단 검사
3.2.1. 두개골 X-ray
3.2.2. CT 및 MRI
3.2.3. 뇌혈관조영술
3.2.4. 조직검사
4. 치료
4.1. 수술적 치료
4.2. 방사선 치료
4.3. 약물 치료
5. 간호
5.1. 두개내압 관리
5.2. 발작 관리
5.3. 기타 간호중재
6. 예후 및 합병증
7. 환자 사례 연구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목적
뇌는 신체의 모든 기관에 명령을 함으로써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 것을 조절하고 또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기 때문에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뇌질환은 중년 후반기부터 발생률이 증가하여 50대 이후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한다. 또 대부분의 수막종은 연령 증가에 따라 발생빈도가 증가하며 부검소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뇌종양의 30%를 차지하는 비교적 흔한 종양이다. 양성 종양으로 천천히 자라는 경우가 많으나 일부에서는 주변 뇌 조직 침윤과 빈번한 재발을 하는 악성 종양인 경우도 있다. 때문에 일단 증상을 일으켜 발견된 종양은 향후 점차 증상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많으므로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이 연구를 통해 뇌종양의 3분의 1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뇌종양에선 흔한 뇌수막종에 대해 더 연구하여 뇌에 종양이 생기면 어떤 기전으로 인해 신체에 어떤 증상들이 생기는지 알아보도록 한다. 또 그에 맞는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하여 환자가 빠른 회복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뇌수막종에 관한 지식을 쌓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1.2.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0000대학교병원에서 2023년 5월 21일에 입원한 정○○(M, 65)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23일 ~ 5월 25일까지 의료인들의 정보와 EMR 차트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고찰, 대상자 관찰, 대상자 면담 등의 방법을 통해 뇌수막종에 대해 연구하였다""
2. 뇌수막종 개요
2.1. 정의
뇌수막종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지주막 세포(arachnoid cell)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일반적으로 양성이고 성장은 느리며, 주로 40~50대 성인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성인은 천막상부에서 90%, 후두개와에서 8%, 뇌실내에서 1.3% 정도 발생하며, 소아는 전체 소아뇌종양의 1-4% 정도를 차지하고 남녀간 발생빈도의 차이는 없다"".
2.2. 원인 및 병태생리
뇌수막종의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첫째, 뇌막의 만성 염증성 반응이 수막종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외상으로 인한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수막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을 야기할 수 있다""
둘째, DNA 바이러스 감염 또한 수막종 발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simian virus 40 등의 DNA 바이러스가 수막세포에 감염되면 세포 분열을 촉진하여 종양 발생에 기여할 수 있다""
셋째, 방사선 노출이 수막종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방사선에 의한 DNA 염기의 변화와 돌연변이 유발은 수막세포 증식을 유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2번 단일 염색체나 22번 염색체 장완부의 소실이 수막종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22번 염색체에 위치한 종양 억제 유전자의 소실이 수막종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병태생리적으로 볼 때, 수막종은 주로 경막(dura mater)의 일부 세포인 지주막과립에서 기원하여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수막종은 두개강 내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으며, 약 90%가 천막상부, 10% 미만이 후두개와에 위치한다"" 수막종은 주로 양성 종양이지만, 일부는 주변 뇌 조직을 침윤하고 빈번히 재발하는 악성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수막종이 성장하면 주변 뇌 조직을 압박하여 두개내압을 상승시키고, 이로 인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종양이 뇌신경을 압박하면 그에 해당하는 신경학적 결손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종양이 뇌실을 폐쇄하면 수두증이 발생하여 두개내압이 더욱 상승할 수 있다""
3. 증상 및 진단
3.1. 증상
뇌수막종의 증상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주로 뇌 조직과 뇌 신경의 압박과 주위 뇌부종에 의해 증상이 생긴다.
후신경구 수막종(olfactory groove meningioma)은 양측 전두엽을 압박하여 서서히 진행하는 정서 장애, 무관심 등을 주 증상으로 하는 전두엽 증후군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터키안 결절 수막종(tuberculum sellae meningioma)은 종양이 성장하면서 같은 쪽의 시신경을 압박 전위시켜서 시력 소실 및 시야 장애가 가장 흔한 증상이다.
시신경 수막종(optic nerve sheath meningioma)은 안구 돌출과, 시력감퇴가 주 증상이고 외안근 운동은 마지막까지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다.
해면 정맥동 수막종(cavernous sinus meningioma)은 해면 정맥동 내의 뇌신경 압박에 의한 안구운동 장애와 안면 감각저하, 두통, 시력 소실 등의 증상이 흔하다.
시상동 주변 수막종(parasagittal meningioma)은 중간 1/3의 위치인 경우 운동-감각 영역과 근접하여 초기에 반대측 마비 및 감각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뇌실 내 수막종(intraventricular meningioma)은 주로 측내실에 존재하며 제3뇌실이나 제4뇌실에 생기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주된 증상은 폐쇄성 수두증 및 두개강 내압 ...
참고 자료
윤은자 외(2022), 9판 개정. 「성인간호학」. 수문사 p.1181~1187
송경애 외(2021), 최신 「기본간호학」. 수문사
윤종순(2022), 제 3판 개정.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현문사
약물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의약품 사전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강동수 외(1991), 「뇌수막종의 임상적 관찰」.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5 p. 320~327
김금순, 『성인간호학 1』, 수문사,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외 2명 저,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정애 외 3명 저,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신경외과학 (대한신경외과학회)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현문사)
신경계 중환자 간호 (중환자 전문 간호 교육과정 협의회, 군자 출판사)
최신 이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인체 해부학 (노명희 외,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서문자 외, 수문사)
국가암정보센터(www.cancer.go.kr)
간호사를 위한 영상의학검사 및 중재적 시술 지침서 (아산병원 영상의학팀, 대한서림)
인체 생리학(이강이 외, 현문사)
간호과정 (유해영 외,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