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상담사 3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청소년상담현장 및 관련 프로그램
1.1. 청소년 정신건강 현황
1.2.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 동향
1.3. 청소년 코로나 우울증 극복을 위한 대응방안
2.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기획
2.1. 사업 추진배경 및 필요성
2.2. 사업 목적 및 목표
2.3. 사업 개요
2.4. 사업 일정 및 세부 계획
2.5. 환류 계획 및 예상 효과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청소년상담현장 및 관련 프로그램
1.1. 청소년 정신건강 현황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이전과 비교하여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건수가 10% 증가하였다. 특히 2021~2022년 조사에 비해 부정적인 감정은 더욱 증가하고 긍정적인 감정은 감소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고립감, 생활관리의 어려움, 감염에 대한 두려움, 타인에 대한 분노 등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인관계 형성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온라인 관계에 몰입하는 경향이 증가하면서 자발적 고립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족과의 갈등, 소통 문제, 학업과 진로, 대인관계 등과 관련한 상담 요구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즉,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1.2.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 동향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이후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상황이 악화되었다.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 따르면, 코로나 이전과 이후 청소년 정신건강 상담 건수가 7만 명 수준에서 13만 명 수준으로 78.6% 증가하였다. 청소년들은 정서적, 성격적 문제와 더불어 학업, 진로, 대인관계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상담이 크게 늘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상황 악화를 경험한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에 비해 큰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관련 기관에서는 청소년들의 코로나 블루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청소년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대인관계 문제, 시간관리 문제 등이 있다고 밝혔으며, 이를 진단하기 위해 코로나 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재혁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교수 연구팀이 2020년 8월부터 11월까지 한국 중고교생 5만 4,94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약 30%에 해당하는 1만 6,839명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가정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기관은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상담 및 대응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
참고 자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 코로나 3년 마음 기록: 방전된 청소년의 심리, 어떻게?’, ISSUE PAPER, 2022년 1호, p.1~14
[부산] 청소년들도 '코로나 블루'..정신상담 2배, MBC경남, 2022년 3월 6일,
https://mbcgn.kr/article/kW58JiYok7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에 한국 청소년들 스트레스 커져, 동아사이언스, 2022년 9월 6일,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56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