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pacemaker 종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1.1. 심장의 전기전도 체계
1.2. 서맥성 부정맥
2. Pacemaker
2.1. Pacemaker의 정의
2.2. Pacemaker의 목적
2.3. Pacemaker의 원리
2.4. Pacemaker의 적응증
2.5. Pacemaker의 종류
2.6. Pacemaker의 모드
2.7. Pacemaker의 합병증 및 문제점
2.8. Pacemaker의 간호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1. 심장의 전기전도 체계
SA node (동방결절)은 상대정맥과 우심방 접합부에 위치하며, 분당 60-100회에 이르는 전기자극(심박동)을 생성한다. 탈분극 파동은 방실 간 경로를 통해 우심방에서 좌심방과 방실결절로 전달된다. AV node (방실결절)은 심방중격 하부에 위치하며, 심방에서 심실로 자극을 전도하는 유일한 경로이다. His bundle (히스속)은 심실간 중격에 위치하며, 좌우 각(bundle branch)을 따라 전기자극을 purkinje fiber로 전달한다. Purkinje fiber (푸르킨예 섬유)는 심실의 내막 안에 넓게 흩어져있는 흥분전달섬유로, 탈분극 파동을 빠르게 심실로 퍼뜨려 좌우 심실 수축을 일으킨다.
1.2. 서맥성 부정맥
서맥성 부정맥이란 심장의 정상적인 전기적 자극 형성 또는 전도 과정에 장애가 생겨 심박동수가 비정상적으로 느린 상태를 의미한다.
동기능부전 증후군(sick sinus syndrome / SSS)은 동결절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서맥성 부정맥이다. 동서맥(sinus bradycardia), 동정지(sinus pause/arrest), 빈맥서맥증후군(tachy-bradycardia syndrome)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동서맥은 심박동수가 40-60회/분 미만으로 느려지는 것이고, 동정지는 SA 노드가 일시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형성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빈맥서맥증후군은 서맥 환자에게서 발작적으로 빈맥형 부정맥이 번갈아 나타나는 상태이다.
방실전도 차단(atrioventricular block)은 방실 결절이나 His속, 다발성 전도로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1도 방실 차단은 PR 간격이 0.2초 이상 지연되는 것이고, 2도 방실 차단은 PR 간격이 점점 길어지다가 심실전도가 차단되는 것이다. 3도 방실 차단은 완전 차단으로 심방수축과 심실수축이 전혀 연관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서맥성 부정맥 환자에게 심박동수를 유지하기 위해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할 수 있다. 인공심박동기는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여 심박동수를 유지하는 보조 장치이다.
2. Pacemaker
2.1. Pacemaker의 정의
Pacemaker의 정의는 심박동수를 유지하기 위해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이다. 인공적으로 심근의 탈분극을 유도하는 보조장치로 전기적 자극을 심근에 전달해 탈분극 시킨 후 다시 인공심박동기로 돌아오는 회로이다.
2.2. Pacemaker의 목적
심장의 정상 전도계가 전기 자극을 생성하지 못하여 혈역학적 불안전으로 인한 임상 증상을 초래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하거나, 만성·재발성 전도장애 및 자극형성 장애가 있을 때 영구적으로 삽입하여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즉, 심장의 정상 전도계가 전기 자극을 생성하지 못해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발생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하거나, 지속적인 전도장애나 자극형성 장애가 있는 경...
참고 자료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上』 (현문사, 2017)
안정언 『프셉마음 - 심혈관계편』 (드림널스, 2021)
한동수 외 『간호 알고리즘』 (포널스출판사, 2021)
정남식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3: 순환기』 (정담, 2018)
대한심장학회 https://www.circulation.or.kr:4443/
대한부정맥학회 https://www.k-hrs.org:4433/
중환자 간호 매뉴얼(군자 출판사)
심전도의 이해(2008년 사이버 보수교육)
중환자실에서의 특수중재와 간호(2008년도 보수교육)
핵심 기본간호수기 제2판(양선희 외 공저, 현문사)
프셉마음-호흡기 간호 입문편(김지인, 드림널스)
암또의 임상노트 vol. 1(암또, 포널스)
김경남, 김철호 외(2012), 한국어판 간호 섬망 선별 도구 개발 및 검증, J Korean Acad Nurs Vol.42 No.3, 414-423
약학정보원. (2020, June 19).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www.health.kr/main.asp
항트롬빈. (n.d.).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s://labtestsonline.kr/tests/antithrombin
임상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항응고제. (n.d.). Retrieved October 18, 2020, from https://sev.iseverance.com/heart/health_info/education/normal/view.asp?con_no=7215
Winter, J. and Winter, J., 2020. ECG Educator Blog. [online] Ecg-educator.blogspot.com. Available at: [Accessed 17 October 2020].
삼성서울병원. (n.d.). 약제부: 삼성서울병원.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PH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amc.seoul.kr/asan/healthinfo/easymediterm/easyMediTermDetail.do?dictId=766
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관상동맥센터. (n.d.). Retrieved November 30, 2020, from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center/coronary_center/faq/view.asp?con_no=47162
Intracranial Pressure(ICP) Monitoring, 두개내압 감시 및 측정.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m.blog.naver.com/lhc930102/221194061460
Ventriculostomy Surgery Delhi: Micro Endoscopic Surgery India. (n.d.). Retrieved November 29, 2020, from https://www.thebrainandspine.com/ventriculostomy